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00:30:54

인도양 상공 니어미스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Indian Ocean mid-air incident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colcolor=#000000,#dcdcdc> 발생일 2017년 1월 7일
유형 니어 미스, 항적 난기류
발생 위치
[[오만|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남남서 인도양 상공
기종 A380-861
CL-600 챌린저
운영사 에미레이트 항공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MHS 에이비에이션
기체 등록번호 A6-EUL
D-AMSC
출발지 EK412: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두바이 국제공항
D-AMSC:
[[몰디브|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말레 국제공항
도착지 EK412: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시드니 국제공항
D-AMSC: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아부다비 국제공항
탑승인원 EK412: 승객: ?명 / 승무원: ?명
CL-600: 승객: 6명 / 승무원: 3명
생존자 두 기체 탑승객 전원 생존

1. 개요2. 사고 진행3. 사고 원인4. 사고 이후

[clearfix]
파일:A6-eul.jpg
파일:d-amsc.jpg
사고 2개월 뒤, 시드니 국제공항에서 이륙하는 A6-EUL 사고 3개월 전,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국제공항에서 이륙하는 D-AMSC

1. 개요

몰디브에서 아부다비로 가던 챌린저 600 비즈니스 제트기가 자신들보다 1000피트 위에서 날던 두바이발 시드니행 A380의 항적 난기류로 추락할 뻔한 사고.

2. 사고 진행

오전 6시 52분, 말레 국제공항 36 활주로를 이륙한 챌린저기는 30여분 뒤 순항고도 34,000피트에 도달했다. 순항고도에 도달한 챌린저기는 GOLEM 지점을 지나 KITAL로 비행중이었다. 한편 두바이발 시드니행 에미레이트 항공 412편도 오전 6시 55분 이륙해 35,000피트를 순항중이었다.

파일:accident1.jpg
오전 8시 38분 7초, 두 기체는 1000피트 차이로 교차하여 지나갔다. 약 1분여 뒤, EK412편의 항적 난기류에 휩쓸린 챌린저기는 우측으로 기울며 기수가 들리기 시작했다. 이후 챌린저기는 더욱 우측으로 기울며 기수가 내려갔고 최소 3회, 추정치 5회 가량 나선형을 그리며 급강하하기 시작했다. 급강하 도중 두 엔진이 모두 실속상태에 빠졌고 파워를 잃게 되었다. 원래대로라면 램 에어 터빈이 기체에서 빠져나와 최소한의 동력을 유지해야 했으나 급강하로 나오지 못했고 결국 조종사들이 수동으로 기수를 든 끝에야 챌린저기는 수평을 되찾을 수 있었다. 이때 챌린저기의 고도는 원래 비행하던 고도보다 10000피트 아래까지 떨어져 있었다. 챌린저기의 승객과 승무원들은 중경상을 입었고 오만 무스카트에 비상착륙했다. 한편 챌린저기를 추락시킬 뻔 한 A380기는 아무것도 모른 채 예정대로 비행해 19시 58분 시드니에 착륙했다.
파일:accident2.jpg
▲ 비상착륙후 챌린저기의 내부

3. 사고 원인

파일:yg4w53j.gif
항적 난기류[1]가 사고의 원인으로 꼽혔다. 이 항적 난기류는 기체의 크기가 커질수록 더욱 커지고 강해지는데, 세계에서 가장 큰 제트 여객기인 A380기가 만들어낸 항적 난기류에 소형 비즈니스 제트기가 들어갔으니 당연히 멀쩡히 지나갈 리가 없었다.

4. 사고 이후

챌린저기는 봉바르디에의 진단 끝에 설계하중을 넘은 과격한 비행으로 수리불능 판정을 받았다.

파일:accident3.png
이후 D-AMSC는 날개가 분리된 채로 An-124기에 실려 운송된 뒤 스크랩 되었다.

이 사고로 인해 A380An-225 항공편에는 Super 콜사인이 붙으면서 안전거리를 더 이격해서 운항해야 한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1] 비행기가 지나가면 날개끝에서 생기는 와류로 위 GIF에서 비행기가 지나간 이후 양 날개끝에서 생기는 두 소용돌이가 이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