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1 22:54:35

입방상피



1. 개요2. 단층입방상피3. 중층입방상피

1. 개요

파일:상피세포의 분류.png

상피는 세포의 모양과 쌓인 층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 이중 세포의 모양에 따른 구분법에 따라 세포의 높이와 폭이 거의 같은 입방세포로 이루어진 상피를 입방상피라고 한다.
이러한 입방상피는 세포의 층수에 따라 한 층의 세포층으로 이루어진 단층입방상피와, 여러 층의 세포층으로 이루어진 중층입방상피로 다시 분류할 수 있다.

2. 단층입방상피

단층입방상피는 표면에서 보면 세포가 다각형을 띠고 있고, 수직으로 절단해서 보면 정사각형 또는 입방체 같은 세포로서 그 가운데에 원형의 핵이 있다. 이 상피는 주로 분비 및 흡수, 보호, 그리고 수정체섬유의 형성에 기여한다. 단층입방상피의 예시로는 난소 표면, 수정체상피, 갑상샘, 콩팥의 집합세관, 분비샘들의 일부 도관 등이 있다.
세포의 꼭대기면에는 섬모를 갖고 있는 경우도 있는데, 단층섬모입방상피라 하며 세기관지에서 볼 수 있다.
아래 사진은 콩팥의 집합관으로, 단층입방상피를 구성하는 한 층의 입방세포를 관찰할 수 있다.

파일:단층입방상피.jpg

3. 중층입방상피

중층편평상피는 표면층과 바닥층 모두 입방상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상피를 가로절단면으로 보면 표면에 있는 세포들이 바닥층에 있는 것들보다 크기가 작다.
중층편평상피는 대표적으로 땀샘의 분비관에서 볼 수 있다.
아래 사진은 두피의 땀샘으로, 입방세포가 여러 층으로 쌓여 중층입방상피가 이루어진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파일:중층입방상피.jpg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