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30 00:07:27

자료조직

1. 개요2. 상세3. 정의 및 구성요소4. 분류학의 중요성
4.1. 조직계통학의 탐색
5. 분류와 개념의 관계
5.1. 관념과 개념, 명사5.2. 개념의 내포와 외연5.3. 개념의 종류
6. 분류표
6.1. DDC6.2. KDC

1. 개요

자료조직 / 정보조직

자료조직(정보조직)은 인간의 지식과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고 배열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인간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방법과 기준으로 정보자료를 분류해왔다. 이러한 분류는 인간의 체계적 사고와 실천적 행위의 결과로 볼 수 있다.

고대부터 인간은 분류를 통해 주변 환경과 자신을 이해하려 노력했다. 고대 문명, 그리스•로마의 철학자, 중세의 무슬림 학자, 근대 사상가 및 사서 등은 다양한 학문, 지식, 과학, 자료를 분류하기 위한 지적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였다. 또한, 분류는 인간의 본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삶 자체가 범주적 사고의 결과로 볼 수 있다.

분류의 중요성은 혼란과 불분명함을 질서와 체계로 바꾸는 데 있다. 분류를 통해 인간은 명확성, 간결성, 체계성, 신속성, 효율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는 인간의 불안감을 줄이고, 환경을 통제하며, 안정감을 찾게 해준다.

일상생활에서도 우리는 지속적으로 분류를 실천한다. 옷장의 옷을 계절별로 분류하거나, 지갑 속의 화폐를 단위별로 구분하는 것도 분류의 한 예이다. 이러한 분류 작업은 대상의 특징, 형상, 성격, 내용, 가치 등을 기반으로 분석하고 파악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모든 분류행위는 그 대상을 이해하고 분별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요약하면, 자료조직(정보조직)은 인간의 지식과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배열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인간의 분류능력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분류는 인간의 삶과 문화, 학문의 발전에 깊은 영향을 미치며, 일상생활에서도 지속적으로 실천되고 있다.

2. 상세

자료조직은 정보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성, 정리하는 과정이다. 그리하여 유용하고 접근이 용이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류는 자료조직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서, 데이터나 정보의 일정한 기준에 따라 그룹화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분류의 어원적 의미로는 '끼리끼리 나누는 것' 또는 '그룹으로 만드는 행위(Grouping)' 등으로 정의할 수 있지만, 좀 더 정의될 필요가 있다. 분류의 정의와 그것이 자료조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 분류의 정의[출처]
    분류는 다양한 사전적 의미를 가진다. 『우리말 큰사전』에서는 "종류를 따라서 나눔"이라고 간략히 정의하며, 일본의 『GOO 사전』은 "사물을 그 종류, 성질, 계통 등에 따라 나누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여기에 더해 「世界大百科事典」에서는 분류를 대상을 유(類)에 따라 순차적으로 체계화하는 과정으로 해석한다.
    Oxford English Dictionary에서는 분류를 공통된 특성 또는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배열하는 결과나 작업, 그리고 그를 위한 시스템이나 방법으로 설명한다.
    위의 사전적 의미들을 통합해 볼 때, 분류는 정보나 데이터를 공통의 특성이나 유사성을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배열하는 작업 또는 그 결과를 의미한다. 또한, 그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이나 방법 또한 포함된다.
  • 자료조직과 분류의 관계
    자료조직은 정보나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류는 이러한 자료조직의 중심에 있다. 즉, 분류 없이 자료조직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분류를 통해 유사한 데이터나 정보는 한 그룹으로 묶이고, 찾기 쉽게 체계화된다. 이는 정보의 접근성을 높이며, 사용자에게 빠르게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3. 정의 및 구성요소

자료분류의 정의와 구성요소
  • 자료분류의 정의
    자료분류의 기원은 고대 로마의 경제적 계층화에서 비롯되었다. 그 당시 사람들은 경제적 부를 기준으로 다양한 집단을 구성하였고, 이를 "classis"라 부르게 되었다. 이러한 원칙은 현대의 '분류'라는 개념으로 발전하였고, 이를 통해 다양한 대상을 논리적으로 군집하고 질서화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주요 사전과 학자들에 따라 분류의 정의는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분류의 본질적 의미와 그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 자료분류의 구성요소
    자료분류는 지식의 질서화를 목적으로 하는 지적 작업이다. 이러한 작업은 피분류체, 분류원리, 그리고 분류지라는 3가지 핵심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 피분류체: 분류의 대상이 되는 항목이다. 예를 들면, 다양한 도서나 연속간행물, 시청각자료 등의 자료들이 피분류체에 해당한다.
  • 분류원리: 분류를 진행할 때 적용되는 기준이나 원칙입니다. 분류원리는 학문 분류를 중심으로 하며, 실제로 분류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다양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 분류지: 분류의 결과로 나타나는 구분된 항목들의 의미다. 예를 들면, 문학이라는 주제를 분류할 때 시, 희곡, 소설 등으로 나누는 경우, 이러한 구분된 항목들이 분류지에 해당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통해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질서화함으로써 정보의 접근성과 가치를 높일 수 있다.

4. 분류학의 중요성

생물 분류학은 생물의 다양성을 형태, 구조, 생식 및 발생 등의 특징에 따라 분류하는 학문이다. 주로 택소노미와 계통분류학에서 이를 다루며, 생물의 종류와 그들 사이의 관계를 의미 있는 순서로 나타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과정에서 택소노미와 분류, 계통분류학 등의 용어가 서로 교차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1. 동정(알파 택소노미): 표본을 분석하여 다양한 객체들을 인식하고 그룹화하는 초기 단계.
2. 분류(베타 택소노미): 분류된 군을 계통적으로 배열하는 종합적 단계.
3. 종 형성과 진화(감마 택소노미): 생물의 다양성 원인을 설명하기 위한 연구 단계.

4.1. 조직계통학의 탐색

조직진화론은 생물학의 진화 이론을 조직의 맥락에 적용한 것으로, 조직의 형태와 환경 특성 간의 적합성을 중심으로 한다. 조직계통학은 이론을 바탕으로 조직 간의 차이와 연관성을 연구한다.

McKelvey는 조직 과학의 맥락에서 계통분류학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택소노미: 조직들을 구분하고 그 발전 원인을 이해하는 연구.
2. 진화: 조직의 출현 및 변화에 대한 연구.
3. 분류: 조직을 특정 분류 기준에 따라 정렬하는 활동.

또한, 조직의 일반 분류는 연구, 설명, 예측, 정보 검색, 변수 처리 등 다양한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분류와 개념의 관계

분류는 다양한 대상들을 구분하는 행위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상들을 실체로만 보지 않아도 분류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신, 우리는 이러한 대상들의 개념을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은 관념과 명사와 깊은 관련이 있다.

5.1. 관념과 개념, 명사

개념은 대상의 일반적 관념으로 볼 수 있으며, 이것을 명사로 표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명사는 개념을 표현하는 도구이다.

5.2. 개념의 내포와 외연

개념은 내포와 외연, 두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된다. 내포는 개념의 깊이, 외연은 개념의 넓이로 볼 수 있다. 개념을 분명하게 정의하고, 분류하는 것은 이 두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5.3. 개념의 종류

개념은 여러 방법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유(類)개념과 종(種)개념: 유개념은 외연이 큰 개념을, 종개념은 그보다 더 구체적인 개념을 의미한다.

  • 상위 개념, 하위 개념, 동위 개념: 이들은 유개념과 종개념을 포함하는 상하 관계를 설명한다.
  • 구체 개념과 추상 개념: 구체적인 대상을 지칭하는 개념과 대상의 속성이나 관계를 지칭하는 개념이다.
  • 반대 개념과 모순 개념: 두 개념이 서로 반대되는 관계를 가지거나, 아예 서로 배타적인 관계를 가진다.

여기서 제시된 내용은 개념과 그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본적인 지식이다. 이러한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더 복잡한 개념의 구조와 기능을 탐색할 수 있다.

6. 분류표

6.1. DDC

6.2. KDC



[출처] 자료조직개론 1: 분류 - 저자: 오동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