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03 11:11:08

자코포 다 폰토르모


파일:138_le_vite,_jacopo_pontormo.jpg
<colbgcolor=#ddd,#000><colcolor=#000,#ddd> 자코포 다 폰토르모
Jacopo da Pontormo
출생 1494년 5월 24일
피렌체 공화국 폰토르모[1]
사망 1556년 12월 31일
피렌체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화가

1. 개요2. 생애3. 대표작

1. 개요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활동한 르네상스 후기, 매너리즘 시기의 화가.

2. 생애

본명은 자코포 카르치(Jacopo Carucci)이다. 폰토르모라고 불리는데,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빈치 출신의 레오나르도인 것처럼 성이 아니라 사실은 출신 지역을 가리키는 말이다. 1494년 5월 24일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방의 폰토르모에서 태어났다. 부모를 일찍 여의고 불우했으나 피렌체로 와서 안드레아 델 사르토의 작업실에서 배우며 피렌체 화파의 전통을 익힌다. 조르조 바사리는 폰토르모가 사르토의 제자로서 초기 르네상스의 고전적 균형을 뛰어넘는 독창적인 스타일을 발전시켰다고 기록한 바 있다.

그는 1510년대 무렵부터 메디치 가문의 후원을 받아 피렌체와 그 주변 지역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1520년대부터 매너리즘의 특징인 과장된 포즈, 강렬한 색채, 감정적 표현을 작품에 도입하며 동시대 화가들과 차별화되었다. 말년에는 고립된 생활을 했으며, 1557년 피렌체에서 사망했다. 그의 작업일지와 스케치북은 그의 예술적 과정과 심리적 상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남아 있다.

3. 대표작

파일:Jacopo_Pontormo_-_Kreuzabnahme_Christi.jpg

십자가에서 내림(The Entombment of Christ, 1525-28, 피렌체, 산타 펠리치타 교회(Santa Felicità)의 카포니 예배당(Capponi Chapel))
- 폰토르모의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 매너리즘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비현실적인 색채(분홍, 청록), 부자연스러운 인물 포즈, 공간의 모호함이 두드러진다. 전통적인 원근법을 무시하고 감정적 긴장감을 극대화한 점이 특징이다. 미술사학자들은 이 작품을 매너리즘의 대표작으로 보며 폰토르모가 감정과 시각적 불안정성을 통해 종교적 주제를 재해석했다고 평가한다.


파일:Pontormo-visitation-after-restorationRGB.jpg

성모의 카르미냐노 방문(Carmignano Visitation, 1528-30, 카르미냐노(Carmignano)의 산 미켈레 에 산 프란체스코 교회)
- 성모와 성 엘리자베스의 만남을 묘사한 작품으로 부드러운 색채와 감정적 교감을 강조한 구도를 보여준다. 인물들의 우아한 포즈와 비현실적인 색감은 매너리즘의 모습을 보여준다.


파일:07halber.jpg

창병의 초상(Portrait of a Halberdier, 1529-30, 미국 로스앤젤레스, 게티 박물관(J. Paul Getty Museum))
- 폰토르모의 초상화는 심리적 깊이와 우아한 선이 특징이며 이 작품은 그의 세속적 주제에 대한 접근을 보여준다. 이 그림은 피렌체의 귀족적 이상을 반영하며 매너리즘 특유의 정교함과 세련미를 잘 드러내고 있다.
[1] 엠폴리(Empoli)의 근교 지역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