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자(작두)]]{{{#!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
작두의 등장인물인 자의 능력을 정리한 문서다.2. 害(해)
- 서릿바람 : 한번의 주문으로 일반 요귀들을 얼리고 제압할 수 있는 공격타입의 능력이다.[1]
- 서리너울 : 서릿바람으로 요귀들을 얼려서 가둬버리는 메즈기 타입의 능력.
3. 破(파)
- 천경 : 해당 능력을 이용해 귀신들을 성불시키거나 용진의 각성을 해제시킨다. 장산범이 자신의 흉내를 내자 이 기술로 가볍게 파훼시켰다.[2]
- 환류 : 서릿바람을 일으켜 눈을 가리는 연막을 일으키는 능력.
4. 合(합)
4.1. 지지모사
자 대감의 고유 능력으로, 부채를 이용해 다른 십이지신의 능력을 잠시 모방할 수 있다.
모티브는 쥐가 손톱을 먹고 사람으로 둔갑하는 설화 or 십이지 설화에서 결승점에 도착할 때까지 소의 머리에 올라타 모습을 감췄던 이야기를 따온 것으로 보인다.
* 묘(卯) 검은 달
대상과 자신을 현실의 공간과 분리시켜 하늘에는 붉은 달이 떠 있는 검은 공간에 가둔다. 그리고 붉은 달이 쪼개지면서 대상을 분쇄한다.
모티브는 쥐가 손톱을 먹고 사람으로 둔갑하는 설화 or 십이지 설화에서 결승점에 도착할 때까지 소의 머리에 올라타 모습을 감췄던 이야기를 따온 것으로 보인다.
* 묘(卯) 검은 달
대상과 자신을 현실의 공간과 분리시켜 하늘에는 붉은 달이 떠 있는 검은 공간에 가둔다. 그리고 붉은 달이 쪼개지면서 대상을 분쇄한다.
| |
- 미(未) 화림(花林) 도환생꽃(道還生花)
꽃을 소환하여 대상에 몸에 흡수시킨다. 죽어가는 사람도 살릴 수 있는 엄청난 치유 능력이나 인간의 몸으로 신의 힘을 사용하기에 부작용이 존재한다.
- 인(寅)태산무(太山舞)
부채로 땅을 내리쳐 지형을 변화시켜 대상을 포위하거나 공격한다.
5. 천기
- 서릿바람 : 기존의 서릿바람보다 몇 배로 위력이 증폭된다.
6. 자시(子時) 천위(天威) 각성
자시(밤 11시부터 새벽 1시까지)에 본래의 힘을 되찾는 능력. 이 2시간 사이에는 자대감의 모습이 성인의 모습으로 급성장하고 모든 능력의 위력이 대거 폭증한다.[3]
[1] 십이지에서 자(子)는 오행으로 수, 계절 중 겨울을 담당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적절한 능력.[2] 이때 거울에 장산범의 진짜 모습이 비춰지고 이 거울이 깨지면서 장산범의 시늉이 풀리는 연출이 나오는데, 해당 능력이 하늘의 거울이라는 뜻이기 때문인 듯.[3] PV 1분 50초에 장산범에게 추격당하던 권용진 앞에서 부채를 펼치는 사람이 바로 자시의 자대감이다. 이로 보아 대감들 전원이 시간에 따른 각성 능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