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 있던 83번은 폐선이 되었음[49]에 따라 72번을 이용해야하는데 서천터미널이나 하구둑에서 하차하여 하구둑일경우는 302번대, 303번대를 이용한다. 서천에서는 20번대[참고]를 이용하면 된다. 바로 장항공고로 넘어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단점일경우 요금발생이다.[51]
[1940~1973] 장항농업고 시절, 현재는 장항송림산림욕장이다. 또 일부 교목인 향나무는 남아있다고 한다.[1973~] 어느날 사회복지법인이 송림리의 땅을 매입하면서 이전과 함께 공업계로 바뀌는 시기가 오고 말았는데 당시 농공으로 유지하려고 했으나, 계획이 접어들면서 현재까지 내려오는 공업고로 길을 걷게 되었다.[3] 만약에 한자로 사용했더라면, 長項農業高等學校 영어로 번역했다면 Janghang Agricultural High School, 당시 로고는 불명[4] 영문으로는 Chungnam Chosun Technical High School로 불렸고,한문으로는 忠南朝鮮工業高等學校로 불려왔다.[당시로고][#] 1940~1978 끝으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9] 1978년~2019년 3월 1일 개편후에 사라진 학과 이다.[10] 조선공고로 개칭 이후 생겨났으나 2021년 끝으로 확정적으로 이름을 장항공고로 바뀌면서 2021년 끝으로 마지막으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11] 1978년, 전기제어과라는 이름으로 1반씩 총 3반에 전자과 전기과 제어과로 나뉘게 되었지만, 2008년에는 전자과를 없애고 2010년 이후부터는 제어과도 사라지게 되고 2019년 이후 전기과으로 통합되었다.[12] 여학생 한정으로 치마는 같은 베이지색으로 입는다.[13] 텃밭이 있어서 주로 식물을 키우기도 한다.[14] 운동장 부근에 있다[15] 정문 부근에 있다.[16] 4동 1층에 있다[17] 본동 2층에 있다[18] 정문으로 들어와 좌측기준 3번째 건물이다[19] 기계과 사무실과 CAD실습실, 제도실습실, 컴퓨터활용생산실습실,밀링실, 선반실, CNC기기, MCT(머시닝 센터),CNC선반 실습실이 있다[20] 정문으로 들어와 우측 1번째 건물이다, 옆에 체육관이 위치해있다[21] 취업부 사무실이 같이 있다.[22] 전에는 잡카페 알바생이라는 학생들에게 봉사시간을 주면서 카페 였다. 카페느낌도 날 수 있다 수 많은 선생님들께 쿠폰을 받아 당일에 음료와 일부 과자 2개를 바꾸는 것으로 음료는 알바생이 해준다.[23] 이 문서 수정일 기준으로(2023년 12월 19일) 인조잔디 공사와 마무리 과정이 남았다, 족구장과 풋살장이 있는데, 풋살장 규격에 적합하지 않는다고 한다. 완공은 2024년 1월경으로 보인다. 전에 사실상 방치만 된 기계과 실습동을 리모델링을 할 생각이였으나, 풋살장으로 확정[24] 사실상 재학중인 학생들이 갈일이 없긴하다. 장애인 학생들이 자격증을 취득하고(바리스타 자격증), 원활한 교육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있다.[25](1998년 기준)출신 인물 및 시군민들이 언급[26] (1939~1960) 4.19 혁명자 최초 사망자, 당시 경무대앞에서 이승만에게 의사전달을 간청하다 총상으로 사망했다. 그를 알리기 위해, 장항공고에 노희두의혼비를 설치했다.[27] 전 충남도의원과 서천군의회의장[28] 3.13 전국동시조합선거 충남 후보, 1985년 졸업[29] 장항농고 졸업생,3.13 전국동시조합선거 충남 후보[30] 전서천군의원,자유국민당의 주요인물[31] 3.13 전국동시조합선거 충남 후보[32] (1929년~2019년) 소설가, 주요 작품으로 〈동굴 주변〉, 〈내일은〉, 〈산정의 신화〉, 〈별과 선율〉, 〈창문〉이 있음[반공오열사] 625전쟁 당시 서천지역을 점령한 북한군에 대항해 구국동지회를 결성하고 적의 동향을 아군에게 알리다 체포돼 생을 마감해 이를 기리기 위해, 매년 9월에 추모제를 열고있다.[반공오열사][반공오열사][반공오열사][반공오열사][38] 고려대 법대교수 출신에 지난 2017년 향년 92세로 사망했다.[39] 합동참모본부 주임원사이다. 졸업 당시에 농업고 출신이라면, 1940~1977년 사이에 졸업 하신 것으로 보인다.최소 1960년생이다.[40] 2학년 되기전에 담임교사와 취업부 교사가 용접반 도제반으로 나누는 선택권을 부여하는데 도제반이 학교에 연결된 인근 회사로 연결 되며 군산이나 서천등등 연결된다.[41] 과거에는 60명,100....등 모집했지만, 저출산 현상이 한몫이지만 장항학생들은 인문계인 장항고 또는 일반고로 빠지다보니 장항학생들과 비교시 군산비율이 더 높다..[42] 여담으로 타 학교와 비교하면 영상 퀄이 많이 부족하다. 영상편집을 할 학생을 가위바위보로 정했냐는 말도 있을 정도로 홍보 영상을 만들라했더니만.. 신입생 소개하는 영상처럼 편집했다는 것인데, 이외 영상 하나 더 있었다. 밑 영상 만들기 전으로 추측되나, 시청 시 영상 길이만 짧을 뿐 이지 오류가 몇 있다. ex 인원수 총합 60명 모집인데, 40명으로 쓴 실수도 존재한다.[43] 기벌포영화관에서 이름과 함께 장항공고에서 촬영했다고 한다.[44] 현대중공업, 삼성으로 연결되는 케이스가 있었으나, 삼성은 진짜 미친광기 아닌 이상 극 확률을 존재하며 대부분 학교에서 연결되는 학교로 빠진다...[45] 기존에는 남학생들만 쓸 수 있었다.사실상 공업이 남초라 여학생이 보기 힘든건 맞지만 여학생이 있긴 있었던 시절에는 통학하고 다녔다고 한다.[46] 군산기준으로는 미룡동, 조촌동... 등 정류장이 없다.[47] 서천기준으로는 기산면, 화양면...등 정류장이 없다.[48] 1.5km 거리인데 진짜 웬만하면 모르는 사람도 걸어도 15분~ 19분 거리다[49] 예전엔 임시 정류장을 쓰던 하구둑으로 진입하여 300번대 타고 넘어갈 수 있었다.[참고] 23번은 헷갈림 주의. 하교시에도 잘 맞춘다면 승차 가능한데, 군산▪︎장항 , 서천▪︎ 장항 방면을 꼭 확인해야 한다. 서로 다른 방면으로 진입한다.[51] 서로 다른 교통 카드사를 이용하기에 환승이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