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24 Japan Rugby League One | |||
| |||
<colbgcolor=#000><colcolor=red> 기간 | 2023.12.9 ~ 2024.5.26 | ||
팀 수 | 디비전 1 - 12개 | ||
디비전 2 - 6개 | |||
디비전 3 - 5개 | |||
2022-23 | 2024-25 |
[clearfix]
1. 개요
일본 1부 럭비 리그의 21번째 시즌이자 재팬 럭비 리그 원의 3번째 시즌.럭비패스TV와의 제휴로 정규시즌 일부 경기와 플레이오프를 무료로 실시간 시청할 수 있다.
2. 디비전 1
<colbgcolor=#000> Division 1 | |
<colcolor=red> 우승 | 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도쿄 (6회) |
준우승 | 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8회) |
리그 1위 | 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
강등 | 하나조노 긴테쓰 라이너스 |
최우수 선수 |
12개팀을 컨퍼런스 A,B로 구분한다. 1~5라운는 같은 컨퍼런스끼리, 6~11라운드는 다른 컨퍼런스끼리, 12~16라운드는 같은 컨퍼런스끼리 경기를 치른 뒤 전체 순위에 따라 상위 4개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하위 3개팀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된다. 정규 시즌은 5월 6일까지이며 포스트시즌은 5월 18일에 시작했다.
시즌 도중 대회와는 별도로 2월에 슈퍼 럭비의 뉴질랜드 팀인 치프스와 블루스가 시즌 전 일본에 방문하여 2주간 4개의 구단과 맞붙는 크로스보더 럭비가 열린다.
- 도쿄 SG 7 : 43 블루스
- 사이타마 WK 38 : 14 치프스
- 요코하마 E 22 : 57 블루스
- S 도쿄 베이 30 : 35 치프스
2.1. 참가 구단
<rowcolor=#fff> 구단 | 경기장 | 감독 | 주장 | 지난 시즌 |
컨퍼런스 A | ||||
S 도쿄 베이 | 에도가와구 육상경기장 | 2위/우승 | ||
도쿄 SG | 지치부노미야 럭비장 | 3위 | ||
BL 도쿄 |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 5위 | ||
시즈오카 BR | 야마하 스타디움 | 8위 | ||
고베 S | 고베 유니버시아드 기념 운동장 | 9위 | ||
미에 H | 미에현영 스즈카 스포츠 가든 | D2 2위 | ||
컨퍼런스 B | ||||
사이타마 WK | 구마가야 럭비장 | 1위/준우승 | ||
요코하마 E | 닛파츠 미츠자와 구기장 | 4위 | ||
도요타 V | 도요타 스타디움 | 6위 | ||
BR 도쿄 | 코마자와 올림픽 공원 육상 경기장 | 7위 | ||
사가미하라 DB | 사가미하라 기온 스타디움 | 10위 | ||
하나조노 L | 히가시오사카시 하나조노 럭비장 | 12위 |
2.2. 정규시즌
||<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rowcolor=red>||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플레이오프
강등전
<rowcolor=#fff> 구단 | 승 | 무 | 패 | 득실 | 승점 |
사이타마 WK | 16승 | 747/275 (+472) | 75점 | ||
BL 도쿄 | 14승 | 1무 | 1패 | 554/373 (+181) | 65점 |
도쿄 SG | 10승 | 1무 | 5패 | 584/425 (+159) | 50점 |
요코하마 E | 10승 | 6패 | 518/446 (+72) | 49점 | |
고베 S | 9승 | 1무 | 6패 | 647/459 (+188) | 45점 |
S 도쿄 베이 | 8승 | 1무 | 7패 | 554/447 (+107) | 44점 |
도요타 V | 9승 | 7패 | 498/450 (+48) | 43점 | |
시즈오카 BR | 6승 | 2무 | 8패 | 501/513 (-12) | 33점 |
사가미하라 DB | 6승 | 10패 | 457/637 (-180) | 27점 | |
BR 도쿄 | 3승 | 13패 | 321/203 (-182) | 17점 | |
미에 H | 1승 | 15패 | 242/744 (-502) | 7점 | |
하나조노 L | 1승 | 15패 | 353/704 (-351) | 6점 |
정규시즌 마지막 16라운드에서 홈 팀이 모조리 지는 대참사가 일어났다. 6팀 중 4팀은 미에, BR 도쿄, 하나조노같은 밑바닥 팀이었는데, 그와 달리 상위권인 도쿄 선골리앗이 중위권인 쿠보타 스피어스에게 지는 이변이 일어나기도 했다.
2.3. 플레이오프
정규시즌 종료 2주 뒤에 시작되며 4강전과 3/4위전은 지치부노미야 럭비장에서, 결승전은 도쿄 신국립 경기장에서 열린다. 평균 관중이 매우 높은 이번 시즌은 과연 작년 결승전 관중 42,000명을 깰 수 있을지 기대된다.2.3.1. 4강전
킥오프 | 5.18.(토) 14:05 | 경기장/관중 | 지치부노미야 럭비장 (15,464명) | 주심 | |
득점 | <rowcolor=#fff> 4분 | 7분 | 9분 | 27분 | 44분 | 53분 | 59분 |
<rowcolor=#000> | 5 다케야마🏉 | 10 코넬슨🏉 | 13 마쓰다P | 20 드알렌데🏉 마쓰다C | |||
<rowcolor=#000> | 3 타무라P | 10 시온🏉 타무라C | 17 다케자와🏉 타무라C |
킥오프 | 5.19.(일) 14:05 | 경기장/관중 | 지치부노미야 럭비장 (17,133명) | 주심 | |
득점 | 8분 | 22분 | 37분 | 42분 | 53분 | 55분 | 64분 | <rowcolor=#000> 74분 |
<rowcolor=#000> | 7 피어스🏉 모웅가C | 14 사사키🏉 모웅가C | 21 프리젤🏉 모웅가C | 28 나이캄불라🏉 모웅가C | ||||
<rowcolor=#000> | 3 타카모토D | 10 호리코시🏉 타카모토C | 13 타카모토P | 20 호킹스🏉 타카모토C |
2.3.2. 3/4위전
킥오프 | 5.25.(토) 12:05 | 경기장/관중 | 지치부노미야 럭비장 (9,509명) | 주심 | |
득점 | 4분 | 13분 | 18분 | 24분 | 29분 | 36분 | 42분 | 45분 | 52분 | 75분 | 80분 |
<rowcolor=#000> | 7 마쓰시마🏉 타카모토C | 14 가키나가🏉 타카모토C | 21 고바야시🏉 타카모토C | 28 이오아니🏉 타카모토C | 33 이오아니🏉🏉 | 40 에미🏉 콜비C | |||||
<rowcolor=#000> | 7 마츠이🏉 타무라C | 12 모리🏉 | 19 마츠이🏉🏉 타무라C | 26 고쿠라🏉 타무라C | 33 마츠이🏉🏉🏉 타무라C |
2.3.3. 결승전
킥오프 | 5.26.(일) 15:05 | 경기장/관중 | 도쿄 신국립 경기장 (56,486명) | 주심 | |
득점 | 5분 | 20분 | 27분 | 35분 | 45분 | 63분 | 68분 | <rowcolor=#000> 74분 |
<rowcolor=#000> | 3 마쓰다P | 6 마쓰다P | 13 건터🏉 마쓰다C | 20 코아먀🏉 마쓰다C | ||||
<rowcolor=#000> | 7 나이캄불라🏉 모웅가C | 10 모웅가P | 17 나이캄불라🏉🏉 모웅가C | 24 모리🏉 모웅가C |
관중 56,000명은 리그 역사상 최대 기록이다.
3. 디비전 2
<colbgcolor=#000> Division 2 | |
<colcolor=red> 우승 | 우라야스 D-락스 |
준우승 | 토요타자동직기 셔틀스 아이치 |
승격 | 우라야스 D-락스 |
강등 | - |
최우수 선수 |
3.1. 참가 구단
<rowcolor=#fff> 구단 | 경기장 | 감독 | 주장 | 지난 시즌 |
GR 히가시카츠 | 가시와노하 스타디움 | D1 11위 | ||
우라야스 DR | 코마자와 올림픽 공원 육상 경기장 | 1위 | ||
S 아이치 | 파로마 미즈호 스타디움 | 3위 | ||
가마이시 SW | 가마이시 우노스마이 기념 경기장 | 4위 | ||
RH 오사카 | 요도코 사쿠라 스타디움 | D3 1위 | ||
규슈 KV | 베스트 덴키 스타디움 | D3 2위 |
3.2. 정규시즌
<rowcolor=#fff> 구단 | 승 | 무 | 패 | 득실 | 승점 |
우라야스 DR | 9승 | 1패 | 365/152 (+213) | 42점 | |
GR 히가시카츠 | 8승 | 2패 | 411/224 (+187) | 37점 | |
S 아이치 | 7승 | 3패 | 345/195 (+150) | 34점 | |
RH 오사카 | 3승 | 7패 | 187/389 (-202) | 12점 | |
규슈 KV | 2승 | 8패 | 162/263 (-101) | 12점 | |
가마이시 SW | 1승 | 9패 | 210/457 (-247) | 7점 |
1~3위 결정전/승급전
4~6위 결정전
참고로 7라운드 가마이시와 히가시카츠의 경기는 강설로 취소되었다.
3.3. 1~3위 결정전
<rowcolor=#fff> 구단 | 승 | 무 | 패 | 득실 | 승점 |
우라야스 DR | 2승 | 105/48 (+57) | 10점 | ||
S 아이치 | 1승 | 1패 | 37/71 (-34) | 4점 | |
GR 히가시카츠 | 2패 | 42/65 (-23) | 1점 |
3.4. 4~6위 결정전
<rowcolor=#fff> 구단 | 승 | 무 | 패 | 득실 | 승점 |
RH 오사카 | 2승 | 43/30 (+13) | 8점 | ||
규슈 KV | 1승 | 1패 | 54/54 (0) | 4점 | |
가마이시 SW | 2패 | 50/63 (-13) | 1점 |
강등전
4. 디비전 3
<colbgcolor=#000> Division 3 | |
<colcolor=red> 우승 | 히노 레드 돌핀스 |
준우승 | 시미즈 건설 고토 블루 샤크스 |
승격 | 히노 레드 돌핀스 시미즈 건설 고토 블루 샤크스 |
최우수 선수 |
2024-25시즌부터 디비전 3에 참가할 신규 3팀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5팀에서 6팀으로 확장될 예정.
4.1. 참가 구단
<rowcolor=#fff> 구단 | 경기장 | 감독 | 주장 | 지난 시즌 |
고토 BS | 고토구 유메노시마 육상경기장 | D2 5위 | ||
히노 RD | 지치부노미야 럭비장 | D2 6위 | ||
WG 아키시마 | 도쿄 국립경기장 | 3위 | ||
SA 히로시마 | 히로시마현 종합운동장 | 4위 | ||
주코쿠 RR | 히로시마현 종합운동장 | 5위 |
4.2. 정규시즌
<rowcolor=#fff> 구단 | 승 | 무 | 패 | 득실 | 승점 |
히노 RD | 10승 | 1무 | 1패 | 512/272 (+240) | 49점 |
고토 BS | 9승 | 3패 | 413/297 (+116) | 42점 | |
WG 아키시마 | 5승 | 7패 | 369/452 (-83) | 20점 | |
SA 히로시마 | 4승 | 8패 | 314/464 (-150) | 20점 | |
주고쿠 RR | 1승 | 1무 | 10패 | 267/390 (-123) | 9점 |
승급
승급전
4라운드 히노와 주고쿠의 경기는 주고쿠 선수 중 건강이상자가 발생해 취소, 무승부 처리되었다.
마지막 라운드에서 아키시마가 38:33로 히로시마를 이기며 4위에서 3위로 올라 승급전에 진출했다.
5. 디비전 1/2 승강전
승강전 1차전은 하위 팀의 홈에서, 2차전은 상위 팀의 홈에서 열린다. 1 차 전 | 우라야스 D-락스 21 : 12 하나조노 라이너스 |
셔틀스 아이치 39 : 57 미에 히트 | |
그린 로켓츠 토카츠 21 : 40 블랙 램스 도쿄 |
2 차 전 | 하나조노 라이너스 30 vs 35 우라야스 D-락스 |
미에 히트 15 vs 24 셔틀스 아이치 | |
블랙 램스 도쿄 55 : 0 그린 로켓츠 토카츠 |
6. 디비전 2/3 승강전
승강전 1차전은 하위 팀의 홈에서, 2차전은 상위 팀의 홈에서 열린다.<colbgcolor=#000><colcolor=#fff> 1차전 | 가마이시 시웨이브스 37 : 19 워터 구시 아키시마 |
2차전 | 워터 구시 아키시마 26 : 41 가마이시 시웨이브스 |
7. 상훈
- 페어플레이 팀[1]
- 디비전 1 : 시즈오카 블루 레브스
- 디비전 2 : 우라야스 D-록스
- 디비전 3 : 주고쿠 전력 레드 레귤리온스
- 신인상 : 타카모토 미키야 (도쿄 SG)
- 최우수 심판 : 후루세 카츠키
- 드림팀
<rowcolor=#fff> 포지션 이름 소속 1 키무라 세나
BL 도쿄 2 하라다 마모루
BL 도쿄 3 오페티 헬루 (3연속)
S 도쿄 베이 4 워너 디언스 (2연속)
BL 도쿄 5 루어드 드야허
사이타마 WK 6 아디 사비아
고베 S 7 섀넌 프리젤
사이타마 WK 8 잭 코넬슨
사이타마 WK 9 코야마 타이키
사이타마 WK 10 리치 모웅가
BL 도쿄 11 말로 투이타마
시즈오카 BR 12 딜런 라일리 (4연속)
사이타마 WK 13 데미언 드알렌데
사이타마 WK 14 오자키 세이야 (2연속)
도쿄 SG 15 아이작 루카스
BR 도쿄
8. 통계
- 총 경기 : 172경기[2]
- 총 관중 : 1,142,294명 (평균 6,641명)+53%
<rowcolor=#fff> 디비전 1 디비전 2 디비전 3 승강전 8,929명+55%
PO 포함 9,558명3,276명+88% 1,456명+1% 3,702명+63% - 최다 득점
- 디비전 1 :
브린 개틀랜드[3] (고베 S), 217점
- 디비전 2 :
프레디 번스 (S 아이치), 107점
- 디비전 3 :
쿤라드 판바이크 (고토 BS), 156점
- 최다 트라이
- 디비전 1 :
말로 투이타마 (시즈오카 BR), 15회
- 디비전 2 :
헨리 제이미 (가마이시 SW)/
이시이 아키라 (우라야스 DR)/
야스다 타쿠헤이 (우라야스 DR), 8회
- 디비전 3 :
쿤라드 판바이크 (고토 BS), 11회
9. 기타
이번 시즌은 꾸준히 우상향하는 일본의 럭비 인기에 힘입어 역대 최대 관중 기록을 세웠다. 하위 디비전을 포함한 모든 경기의 평균 관중이 톱리그 시절 최대 기록[4]을 넘어섰다.4월 첫 주부터 세 디비전 총 관중이 지난 시즌 총 관중을 넘었으며, 디비전2에선 9라운드 RH 오사카와 S 아이치 경기에 9,171명이 찾아 최대 기록을 세웠다. 이미 2라운드와 7라운드에서 각각 8,586명과 8,682명으로 최대 기록을 세운 뒤 한 번 더 경신한 것. 날이 갈수록 높아지는 일본 럭비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