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 분야 자격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농어업토목기술사 |
- | 토목산업기사 | 토목기사 | - | ||||
- | - | - | 토목구조기술사 | ||||
- | - | - | 토질및기초기술사 | ||||
- | - | - | 도로및공항기술사 | ||||
건설재료시험기능사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 건설재료시험기사 | - | ||||
도화기능사 | - | - | - | ||||
- | - | - | 상하수도기술사 | ||||
석공기능사 | - | - | - | ||||
- | - | - | 수자원개발기술사 | ||||
잠수기능사 | 잠수산업기사 | 잠수기능장 | |||||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 - | - | → | - | |||
지도제작기능사 | - | - | - | ||||
지적기능사 | 지적산업기사 | 지적기사 | 지적기술사 | ||||
- | - | - | 지질및지반기술사 | ||||
- | - | 응용지질기사 | - | ||||
- | - | - | 철도기술사 | ||||
철도토목기능사 | (2022년 폐지) | 철도토목기사 | - | ||||
측량기능사 | - | - | - | ||||
- |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술사 | ||||
콘크리트기능사 | 콘크리트산업기사 | 콘크리트기사 | - | ||||
- | - | - | 토목시공기술사 | ||||
- | - | - | 토목품질시험기술사 | ||||
항공사진기능사 | - | - | - | ||||
항로표지기능사 | 항로표지산업기사 | 항로표지기사 | - | ||||
- | - | - | 항만및해안기술사 | ||||
- | - | - | 해양기술사 | ||||
- | - | 해양공학기사 | - | ||||
- | - | 해양자원개발기사 | - | ||||
- | 해양조사산업기사 | - | - | ||||
- | - | 해양환경기사 | - | ||||
공간정보융합기능사 | 공간정보융합산업기사 | - | - |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電算應用土木製圖技能士 Craftsman Computer-Aided Civil Drafting | |
중 분류 | 142. 토목 |
관련 부처 | 국토교통부 |
시행 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1. 개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 및 관리하는 토목 계열의 자격증을 말한다.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는 CA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토목 설계 도면을 작성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자격증이다.2024년 기준 1, 3, 4회차와 의무검정이 시행 중이다.
이름에 '캐드'가 직접 들어가는 전자캐드기능사는 착각하기 쉽지만 전혀 관련없는 별개의 자격으로, ORCAD라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활용한 PCB 도면 작성 능력을 평가한다. AutoCAD를 활용한 토목 도면 작성능력을 평가하는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와는 담당 분야가 완전히 다르다.
2. 필기
- 시험과목: 토목제도(CAD), 철근콘크리트, 토목일반구조
- 시험방법: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 합격기준: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 응시료: 14,500원
연도 | 응시자 | 합격자 | 합격률 |
2024년 | 2310 | 1395 | 60.4% |
2023년 | 2606 | 1519 | 58.3% |
2022년 | 2113 | 1326 | 62.8% |
2021년 | 2445 | 1495 | 61.1% |
2020년 | 1799 | 1143 | 63.5% |
3. 실기
- 시험과목: 전산응용 토목제도 작업
- 시험방법: CAD를 활용한 작업형(약 3시간)
- 합격기준: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 시험내용: 도로 횡단면도, 도로 종단면도, 옹벽 구조도 등 다양한 토목 도면을 CAD로 작성.
- 응시료: 21,900원
- 특이사항: 계산기 반입 불가
연도 | 응시자 | 합격자 | 합격률 |
2024년 | 1676 | 1046 | 62.4% |
2023년 | 1681 | 954 | 56.8% |
2022년 | 1463 | 977 | 66.8% |
2021년 | 1676 | 1335 | 79.7% |
2020년 | 1450 | 1054 | 72.7% |
2022년 실기시험 출제기준이 변경된 후로 합격률이 떨어지고 있다.
개정전에는 실기시험이 4시간 이었던 작업시간이 3시간으로 변경된 점과 실기작업 주요 항목이 변경 되었는데, 원래는 옹벽에 표준단면도와 일반도 그리고 철근상세도를 작도했으나, 개정후로는 철근상세도가 빠지고, 추가로 횡단면도와 종단면도가 추가되었다.
여기서 개정 후에 추가된 종단면도 작업시에 성토고와 절토고 표를 작도할 때, 계산을 해야되는 작업이 있는데
암산으로 해도 단순한 계산 문제다. 실수 오차를 막기위해 계산기 반입은 불가능하니 캐드 내에 있는 계산기를 사용해서 작업을 하는 것을 권한다. 캐드 프로그램내에 계산기는 사용해도 상관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