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1 16:30:52

정민기 (미술가)

1. 정민기 (미술가)

본 문서는 공개 자료·언론 보도·전시 DB·서지에 근거한 사실 위주의 서술을 지향합니다. 해석은 최소화하며 논란 소지가 있는 평가는 배제합니다.

정민기 Jung Min-Gi 鄭民基
파일:Jung Min-Gi's Portrait in his studio in 2020.jpg
작업실에서 (2020)
국적 : 대한민국
활동 분야 : 시각예술(텍스타일·설치·퍼포먼스)
핵심 매체 : 천·실·솜, 염료/아크릴, 재봉틀 드로잉
키워드 : 기억, 소멸, 증언, 주변화된 인물군


1. 정민기 (미술가)
1.1. 개요1.2. 작업 세계
1.2.1. 매체와 공정1.2.2. 주제와 개념어1.2.3. 현장/커뮤니티 기반 작업
1.3. 인터뷰1.4. 주요 작품1.5. 주요 전시
1.5.1. 개인전1.5.2. 단체전/프로젝트
1.6. 주요 레지던시1.7. 같이 보기1.8. 출처


1.1. 개요

대한민국의 시각예술가. 천·실·솜과 재봉틀 드로잉을 바탕으로 회화·설치·퍼포먼스의 경계를 넘나든다. 작업은 해체와 봉합, 평면과 입체, 기록과 기억의 전환 과정을 통해 존재·소멸·증언의 주제를 다룬다 [1][2]. 2020년대에는 대형 천 작업과 의인화된 형상군을 선보였고, 연작으로 발표한 〈포각화(Ifasmoglyph)〉, 〈질량이 없는 사람들(Massless People)〉, 〈어머니들이 슬픈 나라(A Country Where Mothers Mourn)〉 등이 알려져 있다 [1][2]. 자연물에 바느질을 더해 ‘공존’, ‘자연·생태·환경’ 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작업을 발표해 왔다.[4]

1.2. 작업 세계

1.2.1. 매체와 공정

* 재봉틀 드로잉 : 직조된 천 위에 실을 누적해 선·면을 구성하고 염료·아크릴을 병용한다 [3].
* 해체–봉합 : 반입체 형상을 제작한 뒤 해체하여 평면으로 전환하는 공정을 통해 형상의 시간성과 정체성의 가변성을 드러낸다. 표면을 꿰매고 뜯는 과정을 반복해 기억의 층위를 물질적으로 기록하며, 증언의 은유로 기능한다 [2].

1.2.2. 주제와 개념어

* 존재/소멸/증언 : 사회적 재난·트라우마, 주변화된 개인·군상에 대한 관찰·채록을 바탕으로 이미지화한다 [1][3].
* 질량이 없는 사람들(Massless People) : 실체가 희미해지거나 변주되는 존재군(신화적 인물, 의인화된 개념, 기록에서 탈락한 개인 등)을 가리키는 작업 범주로, 형상·흔적·빈자리의 병치를 통해 집단 기억의 공백을 다룬다 [2][5].
파일:Jung Min-Gi is lying on top of his work ‘The Country Where Mothers Mourn'_2020.jpg
A Country Where Mothers Mourn (2020)

1.2.3. 현장/커뮤니티 기반 작업

*이응노의 집 창작레지던시(2022) 홍성 지역을 여행하며 수집한 ‘버려진 목제’, ‘조개껍질’, ‘유목’ 등 자연의 재료를 바탕으로 ‘재봉틀’ 작업을 통해 다양한 생명체들의 형상을 탄생시켜 자연물과 인공물의 융합된 결과물을 만들었다.
* 오빈리 레지던시(2023–2024) 기간, 양평읍 오빈리 일대를 기반으로 나뭇가지·돌멩이·건축 폐기물 등 소멸/유휴 재료를 수집해 마을을 보살피는 정령의 토템으로 재구성하는 프로젝트를 전개했다. 이 과정에서 포착한 지역과 자연의 일상 장면은 천 위에 실로 새기는 포각화 작업으로도 기록되었다 [9][10].
  • 작가 노트(요지): “세계 곳곳의 동시간에 벌어지는 사건들의 대비되는 분쟁과 평온의 장면들을 되새기며” — 연작 〈만인만상–오빈리〉로 전개 [10].

1.3. 인터뷰

작가의 작업 전반과 방법·주제 의식을 설명하는 인터뷰. 개요·작업 세계 단락과 연동해 참고하면 이해가 쉽다.

1.4. 주요 작품

* 어머니들이 슬픈 나라 A Country Where Mothers Mourn (2020) — 천·혼합재료, 재봉틀 드로잉. 상실과 애도의 이미지를 다룬다 [1].
* 포각화 Ifasmoglyph (2020~) — 암각화(巖刻畵)처럼, ‘헝겊에 (布) 새기는(刻) 회화’라는 공정적 은유를 통해 형상과 기호가 교차하는 평면/반입체 작업군 [2][3].
* 질량이 없는 사람들 Massless People (2024~) — 실체가 없거나 형태가 자주 변하는 존재들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 해체된 신체·의인화된 형상·공백의 연출을 통해 기억의 재구성 문제를 제기 [2][5].

1.5. 주요 전시

1.5.1. 개인전

* 2024 질량이 없는 사람들(Massless People), 갤러리 이마주(서울) [2][5]
* 2022 Shelter from Silence, 이응노의집(홍성) [4]
* 2022 Rest on a chair, 갤러리 벗이(용인) [6]
* 2020 모계사회, 앤더슨벨(서울) [13]
* 2017 정민기, 아미미술관(당진) [7]

1.5.2. 단체전/프로젝트

* 2025 Two Times: Time Perspective, 이당미술관 (추가 확인 필요)
* 2023 FACE; 얼굴, 갤러리 인(서울) (추가 확인 필요)
* 2020 Forgotten Faces: Visual Representation of Trauma and Mass Killing in Asia, 찰스 B. 왕 센터(스토니브룩대, 뉴욕) [1]
* 2013 재봉틀 드로잉 쇼, 서울시청 시민청 바스락홀(퍼포먼스) [8]

1.6. 주요 레지던시

* 2023–2024 사부작 이음창작소(양평) [9][10]
* 2022 이응노의집 창작스튜디오(홍성) [4]
* 2020 벗이미술관(용인) [7]
* 2016 아미미술관(당진) [7]

1.7. 같이 보기

* 화가
* 재봉틀
* 드로잉
* 퍼포먼스 아트
* 한국 현대미술

1.8. 출처

# IIAS, The Newsletter 86 — “Can art be a form of historical truth?” (Forgotten Faces 맥락·작품 언급)
https://www.iias.asia/the-newsletter/article/can-art-be-form-historical-truth
# 한국화랑협회 GAOK — 〈질량이 없는 사람들〉 기획/웹진 페이지
https://koreagalleries.or.kr/gaok/%EC%A0%95%EB%AF%BC%EA%B8%B0-%E5%B1%95/
# ENSEOUL — Mingi Jung (갤러리 내 작가 페이지)
https://web.archive.org/web/20250911065658/https://www.enseoul.com/artists/25-mingi-jung/
# 시사뉴스 — “‘자연·생태·환경’… 이응노의집, ‘정민기 展’ 개최”(2022-06-14)
https://www.sisa-news.com/news/article.html?no=202187
# 코리아갤러리즈 포털 — 〈질량이 없는 사람들(Massless People)〉 전시 페이지
https://koreagalleries.or.kr/exhibition/%EC%A7%88%EB%9F%89%EC%9D%B4-%EC%97%86%EB%8A%94-%EC%82%AC%EB%9E%8C%EB%93%A4-massless-people/
# 용인신문 — ‘Rest on a chair’ 전시 보도
https://www.yongin21.co.kr/news/articleView.html?idxno=66694
# 김달진미술연구소 전시 DB — 〈두 개의 시간 Time Perspective〉(이당미술관)
https://www.daljin.com/?BC=gdv&GNO=D103492
# 아주경제 — ‘재봉틀 드로잉 쇼’(2013-05-05)
https://www.ajunews.com/view/20130505000102
# 사부작 이음창작소 — TEAM & RESIDENTS(정민기 2023·2024 참여)
https://www.sabujak.art/team-residents
# 사부작 이음창작소 — 정민기 2024 작업(〈만인만상–오빈리〉 노트/이미지)
https://www.sabujak.art/portfolio-collections/my-portfolio/%E1%84%8C%E1%85%A5%E1%86%BC%E1%84%86%E1%85%B5%E1%86%AB%E1%84%80%E1%85%B5-2024-%E1%84%8E%E1%85%A1%E1%86%BC%E1%84%8C%E1%85%A1%E1%86%A8-%E1%84%80%E1%85%AA%E1%84%8C%E1%85%A5%E1%86%BC-%E1%84%8C%E1%85%A1%E1%86%A8%E1%84%91%E1%85%AE%E1%86%B7
# 국립중앙도서관 서지 — ISBN 9791187950097
https://www.nl.go.kr/seoji/contents/S80100000000.do?schM=intgr_detail_view_isbn&page=6&pageUnit=10&schType=simple&schStr=%EC%A0%95%EB%AF%BC%EA%B8%B0&isbn=9791187950097&cipId=228761766%2C#link
# 국립중앙도서관 서지 — ISBN 9791187950134
https://www.nl.go.kr/seoji/contents/S80100000000.do?schM=intgr_detail_view_isbn&page=6&pageUnit=10&schType=simple&schStr=%EC%A0%95%EB%AF%BC%EA%B8%B0&isbn=9791187950134&cipId=228988767%2C#link

# Andersson Bell X Jung Mingi (앤더슨벨 협업)
https://anderssonbell.cafe24.com/collaboration/jungmingi.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