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19 11:52:44

제12기 대주배 남녀 프로 시니어 최강자전

1. 개요2. 예선3. 본선
3.1. 16강3.2. 8강3.3. 4강3.4. 결승전

1. 개요

대주배 남녀프로시니어최강자전의 12번째 대회. 이번 대회 4강 진출자들(유창혁, 이창호, 서봉수, 목진석)들은 제6기 이붕배 신예 최고위전 4강 진출자들(김다빈, 스미레, 홍세영, 원제훈[1])과 연승전을 치르게 된다. [2]

2. 예선

파일:제12기대주배예선.png
  • 예선은 1월 22일부터 24일까지 3일간 12개조 토너먼트로 12명을 선발한다. 예선 대진표

3. 본선


  • 본선은 3월 7일부터 열리며 대국은 오후 1시와 3시 30분에 진행한다.
  • 중계: K바둑 (캐스터 - 하호정 四단[4], 해설 - 양상국 九단)
제12기 대주배 남녀 프로시니어 최강자전 본선 대진표
16강 <colbgcolor=#dcdcdc,#383b40> 8강 <colbgcolor=#dcdcdc,#383b40> 4강 <colbgcolor=#dcdcdc,#383b40> 결승
-김영환- 서봉수 -서봉수- 유창혁
우승
서봉수
김혜민 -김혜민-
-김영삼-
-권효진- 유창혁 유창혁
유창혁
최명훈 -최명훈-
-김은선-
이창호 이창호 이창호 이창호
준우승
-박지은-
-장수영- -한종진-
한종진
-양 건- -이성재- -목진석-
이성재
목진석 목진석
-오정아-

3.1. 16강

대국 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 2025년
3월 7일
13:00 최명훈 김은선 191수 흑 불계승
2국 15:30 목진석 오정아 135수 흑 불계승
3국 2025년
3월 20일
13:00 장수영 한종진 174수 백 불계승
4국 15:30 권효진 유창혁 254수 백 13집반승
5국 2025년
3월 21일
13:00 서봉수 김영환 193수 흑 불계승
6국 15:20 양 건 이성재 253수 백 24집반승
7국 2025년
4월 4일
13:00 김혜민 김영삼 305수 흑 불계승
8국 15:30 박지은 이창호 160수 백 불계승

3.2. 8강

대국 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 2025년
4월 25일
13:00 최명훈 유창혁 180수 백 불계승
2국 15:30 목진석 이성재 95수 흑 불계승
3국 2025년
5월 2일
13:00 서봉수[5] 김혜민 357수 흑 1집반승
4국 15:30 이창호 한종진 225수 흑 불계승
  • 8강 유일한 여자 기사였던 김혜민마저 탈락하며 여자기사가 전부 탈락했다.

3.3. 4강

대국 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 2025년
5월 9일
13:00 유창혁 서봉수 241수 흑 5집반승
2국 15:30 목진석 이창호 325수 백 6집반승

3.4. 결승전

제12기 대주배 남녀프로시니어 최강자전 결승전
일정
흑번
백번
결과
2025년 5월 16일 유창혁 이창호 267수 흑 불계승
우승
유창혁 九단 (대주배 두 번째 우승)

12기 대주배 결승은 국내 시니어 대회 최고의 빅매치로 평가되는 유창혁이창호가 결승 대결을 벌이게 됐다. 10기 대회 첫 출전 이후 3년 만에 처음으로 대주배 결승에 오른 이창호의 우승이냐? 아니면 유창혁이 10기 대회 우승 이후 2년 만의 두 번째 대주배 우승을 달성할지 여부가 주목되는 결승이다.



[1] 원래는 허재원 선수가 4강에 진출했으나 군입대로 인해 대체 선수 자격으로 출전한다.[2] 결과는 이붕팀의 선봉으로 나선 스미레가 대주팀의 서봉수, 목진석을 연파하고 2연승을 달렸고, 대주팀의 세 번째 주자 유창혁이 스미레의 연승을 막았으나 이붕팀의 두 번째 주자인 홍세영이 다시 유창혁과 대주팀 마지막 주자 이창호까지 연파하며 이붕팀이 4-1로 최종 승리했다.[3] 김명완 선수의 불참으로 인한 대체 선수 자격으로 와일드카드를 받았다.[4] 결승전은 김미리 五단이 캐스터를 맡았다.[5] 서봉수 九단의 프로 통산 1800승(조훈현 九단, 이창호 九단에 이은 역대 세 번째)로도 기록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