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7 23:00:56

조선대학교 박물관



파일:조선대학교 흰색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10><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nopad>
학교 정보
||
학부 및 대학원 캠퍼스 및 시설 역사 박물관 미술관
기타 정보
출신 인물 사건 사고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ef422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ef4222>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ef4222;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립
국립광주박물관 국립광주과학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박물관
공립
광주김치박물관 광주시립미술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 남도향토음식박물관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
사립
광주가톨릭박물관 동곡뮤지엄 드영미술관 무등현대미술관
비움박물관 우제길미술관 은암미술관 의재미술관
주안미술관 한국미용박물관 장황남 정보통신박물관 국윤미술관
대학교
전남대학교 박물관 전남대학교 의학박물관 조선대학교 박물관 조선대학교 미술관
}}}}}}}}} ||

<colbgcolor=#4ebbaa> 조선대학교박물관
<colcolor=#fff> 로고
종류 국립 박물관
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09 (조선대학교) 서석홀 2층
개관 1992년
연락처 062-230-6333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2.1. 역대 관장2.2. 발굴
3. 전시실
3.1. 호남선사문화실3.2. 특별전
4. 관람 안내5. 교육 및 행사6. 여담

1. 개요

광주광역시 동구(광주광역시) 필문대로 309(조선대학교) 서석홀 2층에 있는 대학 박물관이다. 약 10만년 전부터 시작된 호남 역사와 문화의 시작과 발달 과정을 보여주는 귀중한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지난 29년간 화순 도산유적. 순천 죽내리유적[1], 장흥 신북유적[2], 임실 하가유적, 진안 진그늘유적, 순천 월평유적[3]의 조사와 연구로 밝혀낸 결과물을 관람할 수 있다.

2. 역사[4]

  • 2023. 12. 박물관 재개관

2.1. 역대 관장

2.2. 발굴

구석기시대의 유적이 대다수다.
* 영광 군동 유적[5]
* 임실 하가유적
* 순천 죽내리유적
* 진안 진그늘유적
* 장흥 신북유적
* 화순 도산유적

3. 전시실

3.1. 호남선사문화실

3.2. 특별전[6]

보성강 구석기인들의 낙원 특별전을 하였다.

4. 관람 안내

  • 관람 시간: 월~금 10~17시[7]
  • 관람료: 무료
  • 점심 시간 12~13시[8]

5. 교육 및 행사

이름 기간 비고
지역민과 함께하는 열린박물관[9] 2023.7.11~13, 8.8(화)[10], 7, 8.10(목)[11],22 학생, 시민까지 전 체험이 무료와 동시에 전시 해설까지 들을 수 있다. 대학혁신지원사업 프로그램, 선착순 20명, 신청한 후 문자가 가고, 불참할 경우 프로그램 각자 다르지만 대기자가 있어 연락하라고 안내하였다.

6. 여담

  • 구석기시대 유적을 주로 발굴해서 전시 절반이 구석기시대 유적이다.
  • 호남선사문화실 이후로 기증한 문화재가 있고, 지난 특별전이 있다.
  • 올해 프로그램을 끝나고 12월 다시 재개장할 것이라고 하니 재개장한 모습을 기대해도 좋다.
  • 광주광역시 소재 박물관미술관 시간여행 스탬프 대상인 곳.
  • 전남대학교박물관, 전남대의학박물관과 함께 광주광역시 내 소재 대학 캠퍼스 내에 대학박물관이 있다.

[1] 전라남도 기념물 172호)[2] 전라남도 기념물 238호)[3] 사적 458호, 구석기시대 유적 중 사적으로 지정된 것은 호남지방 유일[4] https://museum.chosun.ac.kr/museum/542/subview.do[5] 국립나주박물관 소장 새무늬 청동기[12]가 이 유적에서 발견되었다.[6] https://museum.chosun.ac.kr/museum/564/subview.do[7] 토.일.공휴일 및 학교에서 정하는 휴일, 조선대학교 홈페이지에서 확인하거나 박물관에 직접 관람이 되는지 전화하는 게 좋다.[8] 이 시간대에는 못 들어간다.[9] https://museum.chosun.ac.kr/museum/552/subview.do?c=Zm5jdDF8QEB8JTJGYmJzJTJGbXVzZXVtJTJGMTE1JTJGMjUxNTYyJTJGYXJ0Y2xWaWV3LmRvJTNG[10] 이 기간엔 청동유물모양 향초 체험[11] 이 기간엔 석고방향제 만들기 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