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14:06:19

조습

조습
Joseub
파일:fp-06-0291-1.jpg
<colbgcolor=#51b2bd> 출생 1976년[1] ([age(1976-02-01)]세)
충청남도 아산시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본관 풍양 조씨[2] (豐壤 趙氏)
본명 조병철 趙丙喆
가족 아버지 조현묵, 어머니 임정숙
혈액형 O형
직업 현대미술가
학력 서울오류초등학교 (졸업)
개봉중학교 (졸업)
우신고등학교(서울) (졸업)
경원대학교[3] (회화과 / 학사 졸업)
경원대학교 (회화과 / 석사 졸업)
병역 제2국민역[4]

관련 링크
홈페이지 파일:jo-01s.jpg
플랫폼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소개2. 학력3. 전시경력
3.1. 개인전3.2. 2인전3.3. 기획전3.4. JNP
4. 수상경력5. 작품소장6. 레지던스7. 출판8. 강의

[clearfix]

1. 소개

대한민국현대미술가, 충청남도 온양[5]에서 출생한 현대미술작가. 서울 우신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년의 재수를 통해 95학번으로 경원대학교 회화과 동양화 전공에 입학했다. 경원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의 교육을 마쳤고 '사진'과 '영상'을 매체로 작품을 제작한다. 현재는 고전적인 연출사진으로 다양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2. 학력

1999 경원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성남
2001 경원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졸업, 성남

3. 전시경력

3.1. 개인전

2019 망望, 상업화랑, 서울
2018 광光, 갤러리 룩스, 서울
2018 광光, 우민아트센터, 청주
2016 네이션, 인디프레스, 서울
2015 바보들의 배, 조습마씨, 제주
2014 어부들, 갤러리 조선, 서울
2014 일식, 사진미디어공간 포톤, 부산
2013 일식, 박수근 미술관, 양구
2013 달타령2: 해를 품은 달, 팔레 드 서울, 서울
2012 달타령, 복합문화공간 에무, 서울
2010 컨테이너, 카즈, 오사카, 일본
2008 누가 영원히 살기를 원하는가, 갤러리 2, 서울
2007 악몽, 스페이스 빔, 인천
2005 묻지마, 대안공간 풀, 서울
2001 조습의 한국 여행기, 갤러리 오투, 서울
2001 명랑교 첫 부흥회 “난 명랑을 보았네!”,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인사미술공간, 서울

3.2. 2인전

2003 제2회 타이틀 매치전 ‘이강소 vs 조습’, 쌈지스페이스, 서울

3.3. 기획전

2023 충돌 포르쉐와 덤프트럭, 아트플러그 연수, 인천
2023 우민보고, 우민아트센터, 청주
2023 소버린 아시안 예술상, 소버린 재단 갤러리, 홍콩

2022 오래된 감각들, 정문규미술관, 파주
2022 우리들의 캐리커쳐, 스페이스99, 서울
2022 가면무도회,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21 가야할 미래 김근태, 김근태 기념도서관, 서울

2020 뜨악, 자하미술관, 서울
2020 시대를 보는 눈: 한국의 근현대미술,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9 간식행사를 넘어, 서울시립미술관 세마창고, 서울
2019 농담 결코 가볍지 않은, 경북대학교 미술관, 대구
2019 제26회 4.3미술제: 경야, 예술공간 이아, 제주

2018 모든평화, 교동초등학교, 인천
2018 균열 II,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8 국립현대미술관 기증작품 특별전 2010-2018,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8 여전히 무서운 아이들, 돈의문박물관마을, 서울
2018 보고 싶은 얼굴, 이한열기념관, 서울
2018 경기아카이브_지금, 경기상상캠퍼스, 수원
2018 GMoMA 컬렉션 하이라이트, 경기도 미술관, 안산
2018 일종의 자화상, 정읍시립미술관, 정읍
2018 버리지 못하는 것들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

2017 매팅 더 시티,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서울
2017 포스트모던 리얼,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
2017 2017이 1987에게, 연세대학교 100주년 기념관, 서울
2017 키워드 한국미술 2017: 광장예술 - 횃불에서 촛불로,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17 20면체 분광기,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서울
2017 제24회 4.3미술제: 회향, 비아아트, 제주
2017 신소장품 2013-2016 삼라만상: 김환기에서 양푸둥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2017 병행/사회, 우민아트센터, 청주
2017 도시 · 도시인, 북서울미술관, 서울

2016 미술, 인천을 말하다, 남동소래아트홀, 인천
2016 앉는 법, 인디프레스, 서울
2016 대구사진비엔날레-아시안 익스프레스,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16 행복의 나라, 북서울 미술관, 서울
2016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2016 효 · 어 · 예, 전북도립미술관, 완주
2016 제23회 4.3미술제: 새도림,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16 경기잡가, 경기도미술관, 안산
2016 쇼케이스, 북서울미술관, 서울
2016 제3지대, 가나인사아트센터, 서울

2015 서울사진축제 '위대한 여정', 북서울 미술관, 서울
2015 김근태 추모전 - 포스트 트라우마, 서울시청 시민청 갤러리, 서울
2015 터와 길, 제주종합문화예술센터, 제주
2015 경계의 문화 - 지역에서 길을 묻다, 화촌면 사무소, 홍천
2015 소란스러운 뜨거운 넘치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2015 제14회 동강국제사진제,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2015 제22회 4.3미술제: 얼음의 투명한 눈물,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14 내안에 DMZ,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안산
2014 잔상의 기억, 가일 미술관, 가평
2014 잔상의 기억, 칼렌 갤러리, 위시콘 주, 미국
2014 제21회 4.3미술제: 오키나와, 타이완, 제주 사이-제주의 바다는 갑오년이다,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13 장면의 재구성#2, 북서울미술관, 서울
2013 생생화화, 경기도미술관, 안산
2013 사진과 사회,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2013 니바투어-한국 나이지리아 현대미술전, 토탈미술관, 서울
2013 인천아트클럽,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2013 공공적 소란, 아트스페이스 풀, 서울
2013 검은 사각형, 스페이스 101, 서울
2013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오씨아이미술관, 서울
2013 그날의 훌라송,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2013 유머러스, 스페이스 케이, 대구

2012 아트 X 게임 - 바츠혁명, 경기도미술관, 안산
2012 도시 유람기, 신세계 갤러리, 서울
2012 플레이 타임, 문화역 서울 284, 서울
2012 메타데이터: 전복적 사진, 우민아트센터, 청주
2012 인천 앞바다에 왜 사이다가 떳을까?, 인천아트플렛폼, 인천
2012 비롱잉, 예술의전당, 서울
2012 만국 박람회, 우민아트센터, 청주
2012 여기 사람이 있다,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2012 친절한 미술씨, 복합문화공간 에무, 서울

2011 파산의 기술, 송도 #퍼스트, 인천
2011 플랫폼아티스트,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2011 더 리얼리 컨템퍼러리, 라이트 에디션스 갤러리, 싱가폴, 싱가폴
2011 새로운 발흥지, 우민아트센터, 청주
2011 플랫폼 페스티발,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2011 분쟁의 바다 화해의 바다,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2011 발굴의 금지, 아트스페이스 풀, 서울
2011 인천상륙작전,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2011 코리안 랩소디 - 역사의 횡단, 삼성미술관 리움, 서울
2011 바늘 하나 들어갈 틈, 스페이스99, 서울

2010 장한 시민상, 아트스페이스 풀, 서울
2010 통기타 치는 미스 홍, 일현미술관, 양양
2010 인천미술은행 신 소장품 전, 인하대학교 병원, 인천
2010 대한민국 - 미래모색, 안동문화예술의 전당, 안동
2010 기억의 경계, 아직 쓰여지지 않은.., 포천아트밸리, 포천
2010 풍부한 무질서, 금천예술공장, 서울
2010 견지동 99번지, 평화박물관, 서울
2010 노란선을 넘어서, 경향갤러리, 서울
2010 긍지의날, 아트스페이스 풀, 서울

2009 소설 01: ‘이준호 ( )를 찾습니다’, 테이크아웃드로잉-아르코, 서울
2009 마케팅 타임, 금천예술공장, 서울
2009 스펙타클과 현대미술, 티브이 12 갤러리, 서울
2009 다시 건너간다, 경향갤러리, 서울
2009 박하사탕,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9 악동들 - 지금여기, 경기도 미술관, 안산
2009 극장전, 삼성극장, 부산
2009 시티레이 - 경계를 넘어서, 스페이스 빔, 인천
2009 다함께 다문화,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
2009 자생적 시각의 확장 - 시네로망, 연수 갤러리, 인천
2009 자생적 시각의 확장 - 시네로망, 쿤스트 독 갤러리, 서울
2009 아름다운 동행, 여의도 광장, 서울
2009 블루닷 아시아 - 밤의 발명전, 예술의 전당, 서울
2009 여가 - 위장된 노동, 진 레퍼스 스페이스, 하노버, 독일
2009 한국현대사진 60년 1948-2008,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2009 신 소장품 전 <공공의 걸작>, 경기도미술관, 안산

2008 ‘거울아, 거울아’ - 그림 속 사람들 이야기, 국립현대미술관 어린이 미술관, 과천
2008 과학정신과 한국의 현대미술, 카이스트, 대전
2008 두렵지않다; 그러나 말하자면 두렵다, 175 갤러리, 서울
2008 레드카펫 - 오픈스튜디오 6, 창동국립미술창작스튜디오, 서울
2008 쌈지스페이스 1998-2008, 쌈지스페이스, 서울
2008 파편의 선택, 케이-아트 스페이스, 성남
2008 전향기 - 김수영 추모 40 주년 기념, 대안공간 풀, 서울
2008 한국현대사진 60년 1948-2008,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8 누군들 따뜻한 남쪽마을이 그립지 않으랴, 천관문학관, 장흥
2008 민중의 고동 - 한국미술의 리얼리즘 1945-2005, 후츄시립미술관, 후츄, 일본
2008 팝 앤 팝, 성남아트센터, 성남
2008 ‘업 투 더 미닛’, 코리아아트센터, 부산
2008 제2회 노보시비르스크 현대사진전, 노보시비르스크 시립미술관, 노보시비르스크, 러시아
2008 민중의 고동 - 한국미술의 리얼리즘 1945-2005, 오타니 기념미술관, 효고, 일본
2008 오늘의 한국미술 - 미술의 표정,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서울
2008 박하사탕 - 한국현대미술 중남미 순회전, 아르헨티나 현대미술관,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2008 근린시설, 대안공간 풀, 서울
2008 민중의 고동 - 한국미술의 리얼리즘 1945-2005, 미야코노죠 시립미술관, 미야자키, 일본

2007 어제 안에 오늘 - 잊혀진 전쟁, 살아있는 기억, 토탈미술관, 서울
2007 달콤 쌀벌한 대선, 대전 중구 문화원, 대전
2007 민중의 고동 - 한국미술의 리얼리즘 1945-2005,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 후쿠오카, 일본
2007 정황과 예술, 감염된 인물, 대원갤러리, 서울
2007 비욘드 아트 페스티발,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2007 달콤 쌀벌한 대선, 대안공간 충정각, 서울
2007 민중의 고동 - 한국미술의 리얼리즘 1945-2005, 반다이지마 미술관, 니이가타, 일본
2007 박하사탕 - 한국현대미술 중남미 순회전, 산티아고 현대미술관, 산티아고, 칠레
2007 한국의 행위예술 1967 -2007,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7 한국현대미술 100인: 1970-2007, 코리아아트센터, 부산
2007 아시아의 사랑,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 후쿠오카, 일본

2006 정치 디자인 디자인 정치, 제로원 디자인센터, 서울
2006 우리, 또 다른 우리, 국민아트갤러리, 서울
2006 제1회 서울국제사진페스티발, 토포하우스, 서울
2006 친숙해서 낯선 풍경,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아르코 미술관, 서울
2006 사진의 껍질, 회화의 피부, 갤러리 나우, 서울
2006 방아쇠를 당겨라, 비비 스페이스, 대전
2006 다중세계 - 오늘의 아시아 현대 미술, 블랙번 현대미술관, 블랙번, 영국

2005 유죄교사 김인규와 그의 죄 없는 친구들, 꽃 갤러리, 서울
2005 17x17, 토탈미술관, 서울
2005 제3회 후쿠오카 트리엔날레,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 후쿠오카, 일본
2005 뿌리에 지도를 그리다, 케이-아트 스페이스, 성남
2005 그때 그 상, 갤러리 세줄, 서울
2005 불일치: 한국 현대 미술, 리처드 부러시 갤러리, 뉴욕, 미국

2004 상상의 나라, 경기문화재단 아트센터, 수원
2004 젊은 모색,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4 온고잉 프로젝트-오픈 써킷, 상명미디어 아트스페이스, 서울
2004 시국선언전, 민주화운동 기념사업회, 서울
2004 제2회 부산비엔날레 '틈' - 영화욕망,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2004 리얼링, 사비나 미술관, 서울

2003 아시아의 지금 - 근대화와 도시화,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마로니에 미술관, 서울
2003 우체부는 천재다: 한국에서의 경험과 상상, 몬테비디오, 암스테르담, 네델란드
2003 반전 평화,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
2003 믹스 & 매치, 경기문화재단 아트센터, 수원
2003 미술과 놀이, 예술의 전당, 서울
2003 깊은 그림, 대안공간 풀, 서울
2003 제1회 막스 꼬뮤날레, 이화여자대학교 삼성교육관, 서울

2002 광화문만화경, 광화문 갤러리, 서울
2002 미디어속의 자화상전, 갤러리 우덕, 서울
2002 공공의 꿈 종로 - 낯선 거리에 대한 몇 가지 에피소드, 대안공간 풀, 서울
2002 현장 2002 로컬컵, 쌈지 스페이스, 서울
2002 인천 - 미술의 오늘,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
2002 쌈지스페이스 오픈스튜디오 3, 쌈지 스페이스, 서울

2001 ‘바람바람바람’, 광화문 갤러리, 서울
2001 돌아온 유령 - 현실과 발언 21주년 반 기념전, 대안공간 풀, 서울
2001 굿 디자인 페스티벌, 코엑스, 서울
2001 안티 바른아트, 동덕 아트 갤러리, 서울
2001 제5회 서울 국제 만화애니메이션 페스티벌 - 명랑시대전, 코엑스 태평양관, 서울
2001 합창,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
2001 인천현대미술초대전,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
2001 무한광명새싹알통강추, 정독도서관, 서울
2001 하루, 갤러리 오투, 서울
2001 점전, 사비나 갤러리, 서울

2000 릴레이 릴레이,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인사미술공간, 서울
2000 안티조선, 대안공간 풀, 서울
2000 행복도안 - 유쾌한 이미지들의 페스티벌, 대안공간 풀, 서울
2000 대한민국 차세대 대표선수, 신세계 갤러리, 인천
2000 한국 현대미술 신세대흐름전,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마로니에 미술관, 서울

1999 300 작가의 연하장전, 대안공간 루프, 서울
1999 2000 공장 미술제, 삼애물산, 이천
1999 첫 번째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대안공간 풀, 서울
1999 영화주권 문화독립, 부산민주항쟁기념관, 부산
1999 성남 과거와 현재의 얼굴, 성남시청, 성남
1999 인천포스트 ‘대화’,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
1999 복정에서 오리까지, 삼성플라자 갤러리, 성남
1999 행복한 푸른 - 자기에 대한 자동기술, 대안공간 풀, 서울

3.4. JNP

2007 엑티비팅 코리아: 타이드 어브 컬랙티브 엑션, 고벳 - 브루스터 아트갤러리, 뉴 플리머스, 뉴질랜드
2007 제이엔피-엑스트라, 도쿄원더싸이트, 도쿄, 일본
2006 제6회 광주비엔날레 ‘열풍변주곡’, 광주비엔날레 전시장, 광주

* JNP는 노재운, 박찬경과의 공동작업

4. 수상경력

2017 제16회 <우민 미술상> - 우민재단
2005 제13회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 문화관광체육부

5.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경기도미술관, 안산
대구미술관, 대구
토탈미술관, 서울
오씨아이미술관, 서울
플렛폼 엘, 서울
수원시립미술관, 수원
부산현대미술관, 부산
우민아트센터, 청주
평화박물관, 서울
박수근 미술관, 양구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인천문화재단 미술은행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 후쿠오카, 일본
김근태기념도서관, 서울

6. 레지던스

2017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서울
2014 - 2016 조습마씨, 제주
2013 박수근 미술관, 양구
2011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2010 금천예술공장, 서울
2008 창동 국립미술창작 스튜디오, 서울
2007 도쿄원더싸이트, 도쿄, 일본
2006 비즈아트, 상하이, 중국
2001 쌈지스페이스, 서울

7. 출판

<광光>, 우민아트센터, 2018
<붉은 등을 들어라>, 도서출판 습지, 2013
<일식>, 도서출판 습지, 2013

8. 강의

2018 - 2021 가천대학교 예술대학 회화조소전공 시간강사
2016 - 2016 계원예술대학교 순수미술과 시간강사
2009 - 2011 경원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시간강사
2004 - 2006 경원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시간강사



[1] 빠른 1976년으로 1975년생들과 같이 학교를 다녔다.[2]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 증찬성공(贈贊成公) 23세 병(炳) 항렬.[3] 현) 가천대학교[4] 시력으로 인한 5급 판정.[5] 현) 아산시. 2살때 부모님과 서울로 이사와 초중고를 서울에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