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酒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당#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당#|]][[주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 주당(유전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당(유전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당(유전자)#|]][[주당(유전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株當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액면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액면가#|]][[액면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주식회사에서 발행하는 1주의 가격을 말하지만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이 아니라 회사의 정관에서 정한 가격이다.
4. 主堂
20세기 초에는 가톨릭 성당을 주당(主堂)이라고 불렸다.조선시대에서는 뒷간을 지키는 귀신을 말한다.
5. 籌堂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비변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비변사#|]][[비변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비변사의 이칭은 위의 말고도 이칭으로 비국(備局), 주사(籌司), 묘당(廟堂)이라고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