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0><colcolor=#fff> 진두태 陳斗台 | |
출생 | 1927년 2월 12일 |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 |
사망 | 1951년 3월 8일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박지산 인근 | |
복무 | 대한민국 해병대 |
최종계급 | 해병대 중위 |
복무 기간 | 1949~1951 |
[clearfix]
1. 개요
진두태(陳斗台, 1927년 2월 12일 ~ 1951년 3월 8일)은 대한민국의 6.25전쟁 참전 군인이다.2. 생애 및 군 경력
초기 생애 및 해병대 창설 참여진두태는 1927년 2월 12일,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출생하였다.
1949년 4월, 해병대 창설 멤버로 참여하였으며, 당시 병조장(원사) 계급으로 제주 4·3 사건 진압 작전에 참가하여 큰 공을 세웠다.
6.25 전쟁 참전
전쟁 초기 및 원산상륙작전 참전
1950년 6.25 전쟁 발발 직후, 군사지역에서 적과 교전 중 포로로 잡혔으나 탈출에 성공하였다.
이후 아군의 북진 작전에 참가하여 원산상륙작전, 고성 전투, 함흥지구 전투 등에서 전공을 세웠다.
정선-평창 전투 및 최후의 교전 (1951년 3월 8일)
1951년 3월, 진두태 중위는 새로운 작전에 투입되기 위해 정선군 여량리에서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 방면으로 진격하고 있었다.
당시 강원도 산악 지역에는 깊은 눈이 쌓여 있었고, 적군은 유리한 고지에서 매복을 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진두태 중위는 1개 분대를 이끌고 적정을 살피며 전진하던 중, 적의 매복 공격을 받아 포위되었다.
그는 즉각 부하들에게 철수를 명령하고, 적의 공격을 한 몸에 받으며 최후까지 항전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수의 적을 사살하며 저항하였으나, 결국 적의 총탄을 맞고 장렬히 전사하였다.
전사 이후
약 1시간 후, 후퇴했던 부하들이 다시 현장으로 돌아왔을 때, 진두태 중위는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처참한 모습으로 발견되었다. 그는 끝까지 부하들의 생명을 지키며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진정한 전쟁영웅이었다.
그의 용맹함과 희생정신을 기려, 생전에는 "해병 중의 해병" 이라는 칭송을 받았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진두태 중위의 희생과 공적을 기리기 위해 1951년 중위로 1계급 특진을 부여하였으며, 같은 해 충무무공훈장을 추서하였다.
또한 2013년, 대한민국 국가보훈처는 그를 "3월의 6.25 전쟁영웅"으로 선정하였다.
3. 공훈
충무무공훈장 (1951년, 사후 추서)해병대 중위 1계급 특진 (1951년, 사후 추서)
국가보훈처 이달의 6.25전쟁영웅(2013년 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