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육군 준장 진학근 Jin Hak Keun | |
학력 |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지역학[1] / 석사[2]) 미국 육군 지휘참모대학 (군사학 / 석사) |
<colbgcolor=#2A5034>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1997년 ~ 현재 | |
임관 | 육군사관학교 (53기) |
현재 계급 | 준장 (대한민국 육군) |
현재 보직 | 보직불명 |
주요보직 | 합동참모본부 작전기획과장 국방부 정책관리담당관 한미연합사단 참모장 제1보병사단 제11보병연대장 제32보병사단 제97보병연대 제2대대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장군으로 현 계급 준장, 현 보직 대한민국 국방부 군사보좌관이다.2. 생애
충남고등학교를 졸업[3]한 후 육군사관학교(53기)에 입교하여 학사 학위 취득과 함께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2008년 2월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국제지역학(중국)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미국 육군 지휘참모대학에서 군사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직능은 작전이다.
3. 주요 직위
- 대령
4. 여담
- 임관 후 첫 부임지가 특전사 제13공수특전여단(현 특수임무여단)이었으며 장교임에도 특수전, 고공침투(HALO), 해상척후조(SCUBA), 대테러작전과 같은 고도의 특수작전 과정을 모두 수료한 독특한 경력을 갖고있다.
- 대대장 시절 인명구조로 뉴스에 났다. #
5. 관련 문서
[1] 중국학 전공[2] 석사 학위 논문: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ROK-PRC military cooperation : based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ory (2008. 02.)[3] 육사 선배로 곽종근 육군 중장(47기)이 있다.[4] 육군 대령 지휘관 보직 중 요직으로 수많은 장군들을 배출했다. 전임 김대봉, 후임 최동련[5] 국방부장관 수행, 업무보좌, 말씀관리, 정책보좌 등 기능을 수행하는 상당한 요직이며 수행 업무, 대개 이 자리에서 더 주요한 참모 직책으로 이동하여 준장 진급한다. 유무봉(육사 42 / 소장) - 강신철(육사 46 / 대장) - 양태봉(육사 47 / 소장) - 여인형(육사 48 / 중장) - 강관범(육사 49 / 소장) - 김화종(육사 50 / 소장) - 곽태신(육사 51 / 준장) - 양진혁(육사 52 / 소장) - 진학근(육사 53 / 준장) 등 역대 역임자는 대개 육사 출신이며 정책통 혹은 작전통이었고 모두 장군 진급에 성공했다. 대신 이 자리는 준장 진급 대상이 되기 이전에 거치는 자리였고 준장 진급 자체는 다른 직위에서 했다.[6] 전임 문종화, 후임 홍제완[7] 전임 김성구, 후임 김철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