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22:08:20

찰스 하드 타운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e90606>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 올해의 인물 (1960년대)
Time Person of the Year 1960's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attachment/Time1960.jpg파일:attachment/time_1961.jpg파일:attachment/time_1962.jpg파일:attachment/time_1963.jpg파일:attachment/time_1964.jpg
<rowcolor=#fff> 1960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61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62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63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64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파일:Person Of The Year 1965.jpg파일:Person Of The Year 1966.jpg파일:attachment/time_1967.jpg파일:attachment/time_1968.jpg파일:attachment/time_1969.jpg
1965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66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67년
1968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69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파일:Time_Inc_white.png
}}}}}}}}} ||
찰스 하드 타운스
Charles Hard Townes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출생 1915년 7월 28일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그린빌
사망 2015년 1월 27일
미국 캘리포니아 오클랜드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직업 물리학자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미국의 물리학자. 유도 방출에 의한 전자기파의 증폭, 일명 메이저레이저의 기본원리를 발명한 인물이다.

1964년구소련의 물리학자 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 니콜라이 바소프와 함께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2005년에는 종교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템플턴상을 받았다.

2. 생애

1936년 듀크 대학교에서 물리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 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 진학하여 1939년 동위원소 분리와 핵 스핀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0년에는 컬럼비아 대학교의 물리학 교수이자 컬럼비아 방사선 연구소의 전무 이사로 취임했다.

1955년부터 1956년에는 파리 대학교도쿄대학에서 구겐하임 펠로우와 풀브라이트 강사로 일했다.

1961년부터 1967년까지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교무처장 겸 물리학 교수로 취임했다.

1967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대학원 및 우주 과학 연구실 교수를 역임한 경력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