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22:23:59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20번대

창원 버스 384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
1. 개요2. 20번 (경남대학교-대방동)3. 21번 (월영아파트-소답동)4. 21-1번 (경남대학교-북면온천)5. 21-2번 (북면온천-경남대학교)6. 21-3번 (북면온천-경남대학교)7. 21-4번 (명주-소답동) - 신흥여객8. 21-5번 (경남대학교-신성)9. 21-6번 (죽동-경남대학교)10. 21-8번 (경남대학교-신전)11. 21-9번 (마산역-둔덕)12. 22번 (해운중학교-성주사역)13. 23번 (해운중학교-대방동)14. 24번 (마산역-원전)15. 24-1번 (마산역-구복)16. 24-2번 (마산역-욱곡)17. 24-3번 (마산역-옥계)18. 24-5번 (소답동-명주(순환)) - 신흥여객, 마창8개사19. 24-6번 (소답동-명주(순환)) - 신흥여객, 마창8개사20. 24-7번 (주도-대방동) (폐선) - 신흥여객21. 25번 (월영아파트-소답동)22. 26번 (덕동-소계동)23. 26-1번 (덕동-소계동)24. 26-2번 (덕동-소계동)25. 27번 (월영아파트-창원전문대(순환))26. 27-1번 (경남대학교-창원전문대(순환))27. 28번 (경남대학교-창원터미널)28. 29번 (가포본동-소답동) (폐선)

1. 개요

20번대 노선은 경남대-합포로 축으로 운행하는 노선에 부여되던 번호대였다.

2. 20번 (경남대학교-대방동)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터미널 - 대원동 - 충혼탑 - 창원병원 - 삼일상가 - 은아아파트 - 대동백화점 - 가음정주공아파트 - 남산초등학교 - 대방동

첫차는 경남대 5시 30분, 대방동 5시 29분
막차는 경남대 23시 25분, 대방동 23시 07분
8대가 23분 간격으로 하루 48회 운행하였다.

마산시 창원출장소 시절부터 다니던 노선으로 원래 1980년대까지는 40번과 함께 창원 구간을 순환하던 노선[1]이었으나, 1992년에 대방동으로 연장되고, 40번과 분리되면서 위 노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대방초등학교를 종점으로 하던 초기에는 성원3차아파트 경유였으나 대방동 택지개발이 완료된 이후에는 남산초등학교 경유로 바뀌었고, 그 후 변동없이 2005년 개편 때까지 운행하였다.

개편 때 폐선되었다.

3. 21번 (월영아파트-소답동)

월영아파트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북동공설시장(소답동 방면)/윤병원(월영아파트 방면) - 소답동

첫차는 월영A 5시, 소답동 5시 45분
막차는 월영A 23시, 소답동 23시 29분
7대가 19분 간격으로 하루 62.5회 운행하였다.

역사와 전통이 있던 노선으로 월영아파트 연장만 제외하면 개편 전까지 거의 변동없이 꾸준히 다니던 노선이자 아주 오래 전인 소답동이 순수 마산시였던 시절부터 다니던 노선. 인지도도 대단히 높은 편이라 읍면노선들이 시내 노선 번호대로 바뀔 때 줄줄이 이 노선의 지선번호로 바뀔 정도였다.[2]

여담으로 경남대학교에서 소답동까지의 구간이 43번과 완전히 똑같았다.[3]

한 때 창원이 개발되기 전에는 10분대 간격으로 다닐 때도 있었으나, 창원시 개발과 반비례하여 이 노선은 몰락하여 개편 직전에는 63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4]

개편 때 공식적으로는 폐선되었다. 실질적으로는 2023년 8월 26일 이후 기준으로 창원 버스 102가 대부분의 구간을 대체하고 있다.[5]

4. 21-1번 (경남대학교-북면온천)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창원여중 - 동정동 - 굴현고개 - 화천리 - 동전입구 - 신동 - 북면사무소 - 북면온천

첫차는 경남대 5시 30분, 북면온천 6시
막차는 경남대 21시 33분, 북면온천 22시 02분
3대가 57분 간격으로 하루 18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합성동-북면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90-1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1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21번대 북면행 노선 중에서 제일 맏형에 해당하는 노선으로 실제 배차도 3대 54분 간격으로 다녔었다. 시간대 별로 오곡, 초소, 상천, 명촌, 아산, 외감, 내감을 일부 경유하였다.

개편 때 지선 구간은 모두 동생들에게 넘겨 주고 20번이 되었다.

5. 21-2번 (북면온천-경남대학교)

북면온천 - 북면사무소 - 신동 - 동전입구 - 화천리 - 굴현고개 - 동정동 - 창원여중 - 창원역 - 한국전력 - 마산시외터미널 - 마산역 - 마산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첫차는 경남대 7시 36분, 북면온천 6시
막차는 경남대 22시 15분, 북면온천 21시 10분
1대가 180분 간격으로 하루 6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합성동-북면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90-3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1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공식적으로는 북면 기점, 경남대 종점인 노선인데, 실질적으로는 경남대 기점으로 운행하였던 노선이다. 다만 21-1번과는 달리 첫차는 북면에서 출발하였다. 시간대 별로 초소와, 상천을 일부 경유하였다.

개편 때 21번이 되어서, 이 노선의 지선구간이 정규노선화 되었다.

6. 21-3번 (북면온천-경남대학교)

북면온천 - 북면사무소 - 신동 - 동전입구 - 화천리 - 굴현고개 - 동정동 - 창원여중 - 창원역 - 한국전력 - 마산시외터미널 - 마산역 - 마산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첫차는 경남대 8시, 북면온천 6시 20분
막차는 경남대 22시 25분, 북면온천 21시
1대가 175분 간격으로 하루 6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합성동-북면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90-4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1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공식적으로는 북면 기점, 경남대 종점인 노선인데, 실질적으로는 경남대 기점으로 운행하였던 노선이다. 다만 21-1번과는 달리 첫차는 북면에서 출발하였다. 시간대 별로 갈전과 무동을 일부 경유하였다.

개편 때 22번이 되어서, 이 노선의 지선구간이 정규노선화 되었다. 그리고 2015년 3월 20일부터 창원역 - 한국전력 - 시외터미널 - 마산역 구간 대신 팔용사거리 - 삼성창원병원 - 양덕초등학교 구간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7. 21-4번 (명주-소답동) - 신흥여객

명주 - 해양드라마세트장 - 군령삼거리 - 마전 - 도만 - 다구 - 광암 - 진동 - 태봉 - 밤밭고개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북동공설시장(소답동 방면)/윤병원(명주 방면) - 소답동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명주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84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1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시외버스 당시 신흥여객이 이 노선에 공동배차 한것으로 추정된다. 경남대-소답동 구간은 21번과 동일하여, 21번 행선판에 -4를 검은색 전기테이프(...)로 작게 만들어 붙이고 다니기도 했다.

특히 이 노선은 타 마창 시내버스와 달리 신흥여객이 단독으로 운행하였고 마이비카드도 1년 정도 늦게 받았다. 한때 회수권을 받지 않았던 적도 있었다.

시간대별로 석곡, 수정을 경유하였다. 24-7번이 폐선된 이후 1대 증차되어 주도마을도 추가로 경유하였다.

시외버스에서 시내버스로 형간전환하면서 소답동으로 연장된 이래 시간대 노선 추가만 제외하면 노선 변동이 전혀 없다. 2001년 마산역 칼질때도 살아남았고, 2005년 개편때 환승센터 칼질때도 살아 남았을 정도.

개편 때 노선번호만 65번으로 바뀌어서 존치되었다가 유니시티2단지 완공 및 로봇랜드 개장으로 인해 2019년 9월 6일부로 기점이 유니시티2단지로 변경되고 하루 7회 로봇랜드까지 연장 운행하게 되었다. 또, 이 때부터 북동공설시장은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2023년 6월 10일부터는 종점이 명주로 다시 단축되었다가 2023년 8월 26일부터 하루 7회 로봇랜드 연장 운행이 재개되었다.

8. 21-5번 (경남대학교-신성)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창원여중 - 소답시장 - 소답초등학교(본포방향)/윤병원 - 사단앞(경남대 방향) - 만남의광장 - 용잠삼거리 - 다호 - 석산 - 봉곡 - 봉강 - 본포 - 신전 - 일동 - 신성

첫차는 경남대 6시 25분, 신성 6시 10분
막차는 경남대 21시 40분, 신성 21시 30분
2대가 105분 간격으로 하루 10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합성동-본포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92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1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동읍방면 21번대 노선중 맏형으로써 2대로 운행하였다. 원래는 본포까지만 운행하였으나, 본포-신전간 도로가 개설됨에 따라 신성까지 운행하였다. 하루 1회 죽동으로 운행하는 지선도 있었다.

개편 때 40번이 되어서, 남모산, 북모산마을까지 연장되었다.

9. 21-6번 (죽동-경남대학교)

죽동 - 봉강 - 봉곡 - 석산 - 다호 - 용잠삼거리 - 만남의광장 - 사단앞 - 윤병원(경남대방향)/소답초등학교 - 소답시장(죽동 방향) - 창원여중 - 창원역 - 한국전력 - 마산시외터미널 - 마산역 - 마산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첫차는 경남대 8시 45분, 죽동 7시
막차는 경남대 21시 30분, 죽동 19시 30분
1대가 190분 간격으로 하루 5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합성동-죽동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92-2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1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공식적으로는 죽동 기점, 경남대 종점인 노선인데, 실질적으로는 경남대 기점으로 운행하였던 노선이다. 다만 21-5번과는 달리 첫차는 죽동에서 출발하였다. 하루 1회 송정마을까지 연장 운행하였다.

개편 때 42번이 되어서, 송정까지 연장 및 기존 시내버스가 운행되지 않던 주남저수지, 신등초교, 판신마을, 합산 경유로 변경되었다.

10. 21-8번 (경남대학교-신전)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창원여중 - 소답시장 - 소답초등학교 - 만남의광장 - 용잠삼거리 - 다호 - 석산 - 봉곡 - 봉강 - 죽동 - 대방 - 대산면사무소 - 모산 - 신성 - 일동 - 신전

첫차는 경남대 5시 30분, 신전 7시 10분
막차는 경남대 18시 30분, 신전 20시 20분
1대가 245분 간격으로 하루 4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합성동-동읍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92-2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1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여담으로 개편 직전 마산/창원 시내버스 중에서 운행 소요시간이 두번째로 긴 노선이었다. 그래서 하루 4회 밖에 운행하지 않았다. 가장 긴 노선은 같은 신전을 들어오는 392번.

개편 때 41번이 되어서, 본포로 연장되었다.

11. 21-9번 (마산역-둔덕)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양덕1동(둔덕방향)/한일타운(마산역방향) - 마산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태봉 - 진동 - 진북면사무소 - 국군마산병원 - 진전면사무소 - 개양 - 대정 - 금암 - 거락 - 의산 - 술인방 - 들담 - 둔덕

첫차는 마산역 7시 55분, 둔덕 6시 20분
막차는 마산역 21시 05분, 둔덕 22시 20분
1대가 190분 간격으로 하루 5.5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둔덕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번호는 불명.

개편 때 76번이 되어서 진동으로 단축되었다가 재연장되었다. 그리고 마산시외터미널 및 양덕1동을 경유하지 않고 역전지구대(양덕로)를 직접 경유한다.

12. 22번 (해운중학교-성주사역)

해운중학교 - 경남대학교 - 대동씨코아 - 돝섬터미널 - 해안도로 - 대우백화점 - 신해안도로 - 신세계백화점 - 마산운동장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창원역 - 북동공설시장(성주사역 방면)/윤병원(해운중학교 방면) - 도계주유소 - 명지여고 - 상북초등학교 - 지귀상가 - 창원컨트리클럽입구 - 대동그린코아 - 창원의집 - 경남도청 - 병무청 - 수협도지회 - 경창상가[6] - 창원남고 - 남산터미널 - 성주사역[7]

첫차는 해운중 5시 20분, 성주사역 5시 40분
막차는 해운중 23시 20분, 성주사역 23시 03분
5대가 38분 간격으로 하루 29.5회 운행하였다.

굴곡도 꽤 있는 편이고 거기다 장거리에 수요가 적은곳만 골라 다니던 노선이라, 파행운행이 잦던 노선이다. 원래 노선은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구간 및 경상남도교육청 - KBS창원방송총국 - 신한은행 구간[8]을 경유하고 상남시장(창원 방면)/경창상가(마산 방면) 구간 분리에 천선동(성주사 입구)까지 운행하였으나 1992년경에 병무청 및 삼일상가 경유로 바뀌었고,[9] 1994년경에 수협도지회 경유 및 경창상가 양방향 경유로의 변경에 성주사역까지로 노선이 단축되면서 위 노선으로 정착되었다.

개편 때 창원 구간만 공식적으로 창원 버스 213이 되긴 했지만, 213번은 명지여고, 대원동 경유만 제외하면 구 43번과 거의 같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폐선이다.

13. 23번 (해운중학교-대방동)

해운중학교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터미널 - 창원병원 - 삼일상가 - 성산아트홀 - 경남도청 - 병무청 - 은아아파트후문 - 사파동성아파트 - 대방초등학교 - 대방동

첫차는 해운중 5시 19분, 대방동 5시 19분
막차는 해운중 23시 14분, 대방동 22시 56분
8대가 22분 간격으로 하루 48회 운행하였다.

마산시 창원출장소 시절부터 다니던 노선으로 원래 1980년대까지는 43번과 함께 창원 구간을 순환하던 노선[10]이었으나, 1992년에 대방동으로 연장되고, 43번과 분리됨과 함께 창원호텔 경유(창원남고, 경창상가 미경유)로 바뀌면서 위 노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해운중학교 연장 외에는 큰 변경없이 2005년 개편때 까지 운행하였다.

개편 때 폐선되었다. 단, 경남도청~대방동 구간은 2023년 6월 10일 이후 기준으로 창원 버스 101이 대신하고 있다.

14. 24번 (마산역-원전)

마산역 - 한일타운 - 마산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현동초등학교 - 수정 - 반동 - 난포 - 심리 - 원전

첫차는 마산역 5시 45분, 원전 6시 40분
막차는 마산역 21시 10분, 원전 22시 30분
2대가 60분 간격으로 하루 12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원전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80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4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소답동까지 운행하였으나 2001년 통합노선 단축때 마산역으로 단축되었다.

시간대별로 용호를 경유하였으며. 원전 출발 아침 1회 한정 덕동, 가포 경유로 운행하였다.

개편 때 62번이 되어서 수정으로 단축되었다가 재연장되었다.

15. 24-1번 (마산역-구복)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양덕1동 - 마산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현동초등학교 - 수정 - 반동 - 장구 - 구복

첫차는 마산역 6시 40분, 구복 6시 10분
막차는 마산역 22시, 구복 22시 20분
2대가 60분 간격으로 하루 12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구복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80-1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4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소답동까지 운행하였으나, 90년대 후반에 마산역으로 단축되었다.

개편 때 24-2번과 통합, 61번이 되어서 수정으로 단축되었다가 재연장되었다.
(개편 전에는 밤밭고개를 경유했지만 현재의 61번은 가포날개, 가포본동을 경유한다.)

16. 24-2번 (마산역-욱곡)

파일:24-2_81.gif
마산역 - 경남은행본점 - 무학여고 - 불종로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현동초등학교 - 수정 - 내포 - 욱곡

첫차는 마산역 8시 30분, 욱곡 6시 50분
막차는 마산역 22시 15분, 욱곡 21시
1대가 170분 간격으로 하루 6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욱곡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80-2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4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소답동까지 운행하였으나, 90년대 후반에 마산역으로 단축되었으며, 2001년 통합노선 단축 당시에 명주로 연장되었다가 다시 환원되었다.

일부 시간대에 안녕, 욱곡, 구복으로 운행했던 적도 있으나, 안녕마을 노선이 24-3번으로 정착된 이후에는 일부 시간대 반동, 유산 경유로 운행하였다.

개편 때 24-1번과 통합, 61번이 되어서 수정으로 단축되었다가 재연장되었다.

17. 24-3번 (마산역-옥계)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양덕1동 - 마산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현동초등학교 - 수정 - 안녕 - 옥계 - 반동

첫차는 마산역 8시 05분, 옥계 6시 15분
막차는 마산역 21시 20분, 옥계 22시 20분
1대가 160분 간격으로 하루 6.5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옥계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80-3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24번대 번호로 변경하였다.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소답동까지 운행하였으나, 90년대 후반에 마산역으로 단축되었다.

2001년 통합노선 단축 이전까지는 2대로 운행하였는데, 2대가 노선이 달랐다. 1반은 옥계경유 원전행이었으며, 2반은 안녕경유 옥계행이었다. 이후 1대로 감차되면서 시간대별 반동, 안녕 경유로만 운행하게 되었다.

개편 때 60번이 되어서 수정으로 단축되었다가 재연장되었다.

18. 24-5번 (소답동-명주(순환)) - 신흥여객, 마창8개사

소답동 - 윤병원 - 창원역 - 한국전력 - 마산시외터미널 - 마산역 - 마산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태봉 - 진동 - 광암 - 다구 - 도만 - 마전 - 군령삼거리 - 해양드라마세트장 - 명주 - 욱곡 - 내포 - 수정 - 현동초등학교 - 밤밭고개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북동공설시장 - 소답동

첫차는 소답동 5시 40분, 명주 7시
막차는 소답동 19시, 명주 20시 20분
1대가 200분 간격으로 하루 5회 운행하였다.

2002년 3월경 신설된 노선으로 신흥여객과 마창8개사 매일 번갈아 가면서 운행하였다. 24-6번과 함께 진동-명주-수정순으로 운행하던 노선이다.

개편 때 64번이 되어서 존치되었고 마창8개사가 순환배차한다. 그 후 로봇랜드 개장으로 인해 2019년 9월 6일부로 로봇랜드로 종점이 변경되고 기점이 소답동에서 마산역으로 단축되었다. 그리고 2023년 6월 10일부로 63번과 통폐합되어 진동환승센터 - 광암 - 다구 - 도만 - 마전 - 명주 - 욱곡 - 로봇랜드 - 구산면사무소 - 덕동 - 현동 - 밤밭고개 - 경남대학교 - 마산합포구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경로로 운행하는 것으로 바뀌었고 운행업체가 제일교통신흥여객으로 결정되었으며, 신흥여객 차량은 마산역에서 더 나아가 마산시외터미널 - 구암동 - 창원역 - 의창동환승센터 경로를 거쳐 유니시티2단지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19. 24-6번 (소답동-명주(순환)) - 신흥여객, 마창8개사

소답동 - 윤병원 - 창원역 - 한국전력 - 마산시외터미널 - 마산역 - 마산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현동초등학교 - 수정 - 내포 - 욱곡 - 명주 - 해양드라마세트장 - 군령삼거리 - 마전 - 도만 - 다구 - 광암 - 진동 - 태봉 - 밤밭고개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북동공설시장 - 소답동

첫차는 소답동 8시 10분, 명주 6시 10분
막차는 소답동 17시 40분, 명주 19시
1대가 200분 간격으로 하루 4.5회 운행하였다.

2002년 3월경 신설된 노선으로 신흥여객과 마창8개사 매일 번갈아 가면서 운행하였다. 24-5번과 함께 수정-명주-진동순으로 운행하던 노선이다.

개편 때 63번이 되어서 존치되었고 신흥여객이 단독배차한다. 그 후 유니시티2단지 완공 및 로봇랜드 개장으로 인해 2019년 9월 6일부로 기종점이 유니시티2단지 및 로봇랜드로 각각 변경되었다. 그 후 2023년 6월 10일에 64번에 통폐합되었다.

20. 24-7번 (주도-대방동) (폐선) - 신흥여객

주도 - 광암 - 진동 - 태봉 - 밤밭고개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불종로 - 육호광장 - 무학여고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창원역 - 사단앞 - 도계주유소 - 명서동 - 농협한마음공판장 - 지귀상가 - 대동그린코아 - 창원의집 - 경남도청 - 검찰청 - 법원 - 사파동성아파트 - 대방초등학교 - 대방동

2002년 5월 3일 300-2번 좌석버스가 형간전환한 노선으로 신흥여객이 운행하던 노선이다. 원래 명주, 욱곡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형간전환 하면서 주도로 단축되었다. 운행 당시 3.5회, 약 270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2003년 하반기에 폐선되었다.

21. 25번 (월영아파트-소답동)

파일:25_27(1).gif
파일:25_27(2).gif
파일:25_27(3).gif
파일:25_27(4).gif
월영아파트 - 경남대학교 - 제일여고 - 완월초등학교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북동공설시장(소답동 방면)/윤병원(월영아파트 방면) - 소답동

첫차는 월영A 5시 08분, 소답동 5시 57분
막차는 월영A 22시 51분, 소답동 23시 40분
6대가 21분 간격으로 하루 52회 운행하였다.

21번과 더불어 꽤 오래된 노선으로 월영아파트 연장만 제외하면 개편 전까지 변동 없이 꾸준히 다니던 노선. 21번과의 차이점이라면 고운로 경유(현. 마산합포구청 미경유) 여부 밖에 없었다. 그래도 21번에 비하면 배차간격이 조금 길기는 해도 개편 직전까지 다니기는 잘 다녀주던 노선이었다.

개편 때 폐선되었다. 이후 2023년 6월 10일부터 동년 8월 25일까지 창원 버스 122가 전 구간을 대체하였고 동년 8월 26일부터 창원 버스 102가 그 구간을 계속 대체하여 사실상 부활하였다.

22. 26번 (덕동-소계동)

덕동 - 현동초등학교 - 밤밭고개 - 새동네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구암동 - 소계시장 - 경상고등학교 - 소계동

첫차는 덕동 5시 20분, 소계동 6시 15분
막차는 덕동 21시 46분, 소계동 22시 41분
3대가 51분 간격으로 하루 23회 운행하였다.

역시 16번과 마찬가지로 덕동-소계동 시리즈의 맏형에 해당하는 노선으로, 26-1, 26-2번 생기기 전 리즈시절때는 15분 간격으로 다니던 노선인데... 두 노선 분리 후 개편 직전까지는 45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개편 때 수정으로 바뀌고 구암동 구간이 순환노선으로 변경되어 창원 버스 260이 되었다

23. 26-1번 (덕동-소계동)

덕동 - 현동초등학교 - 밤밭고개 - 만날고개 - 신산복도로 - 한우아파트 - 완월초등학교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구암동 - 소계시장 - 경상고등학교 - 소계동

첫차는 덕동 6시 11분, 소계동 5시 15분
막차는 덕동 22시 03분, 소계동 22시 58분
2대가 68분 간격으로 하루 15회 운행하였다.

90년대 초반, 신산복도로 개설로 26번에서 4대 분리로 신설된 노선. 개편 직전에는 2대 68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개편 때 별도 대체노선 없이 폐선되었다.

24. 26-2번 (덕동-소계동)

덕동 - 가포날개 - 가포본동 - 가포고등학교 - 한국철강 - 해운중학교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구암동 - 소계시장 - 경상고등학교 - 소계동

첫차는 덕동 5시 37분, 소계동 6시 35분
막차는 덕동 21시 29분, 소계동 22시 27분
3대가 51분 간격으로 하루 22회 운행하였다.

1997년 19번, 19-1번, 29번이 폐선되면서 26/26-1번에서 차출되어 신설된 노선으로, 3대 45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개편 때 수정 연장 및 구암동 구간이 순환노선으로 변경되어 창원 버스 261이 되었다. 그런데 2009년 노선 대변경 때, 노선이 단축되어 월영아파트까지만 운행하고 수정 및 가포본동으로는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결국 2차 대개편일인 2023년 6월 10일부로 폐선되었다.

25. 27번 (월영아파트-창원전문대(순환))

월영아파트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정우맨션 - 양덕1동 - 삼성병원 - 차룡단지 → 창원여중 → 소답시장 → 도계주유소 → 명서동 → 문성고 → 창원전문대 → 충혼탑 → 대원동 → 농산물시장 → 창원대로 → 차룡단지 (이후 역순)

첫차는 월영A 5시, 팔용동 6시 22분
막차는 월영A 22시 15분, 팔용동 23시 37분
5대가 30분 간격으로 하루 36회 운행하였다.

창원시내를 순환하던 흔한 노선으로, 27-1번과 더불어 창원농산물시장을 경유하는 몇 안되는 노선중 하나였으며 팔용로에서 시내로 나오는 거의 유일한 일반버스였다. 과거 차룡단지길이 생기기 전에는 한국전력 - 창원역 경유로 운행했었고 또한 소답동까지만 운행했었으나 이후 순환노선으로 변경되면서 도계동, 명서동, 대원동 경유로 연장되었으며 농산물시장에 진입하기 전에는 대원경남아파트와 창원터미널을 경유했었다.

창원 F3 대회가 있었던 날에는 창원전문대를 경유하지 않고 문성고 - 창원운동장 - 정우상가 - 삼일상가 - 창원병원 - 올림픽공원 - 충혼탑 구간으로 돌아서 운행하기도 하였다.[F3]

개편 때 27-1번과 통합하여 대방동으로 연장, 창원 버스 106이 되었다. 이후 창원 버스 106은 불모산동으로 재연장되어 운행 중이다.

26. 27-1번 (경남대학교-창원전문대(순환))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수출후문 - 정우맨션 - 양덕1동 - 삼성병원 - 차룡단지 → 창원대로 → 농산물시장 → 대원동 → 충혼탑 → 창원전문대 → 문성고 → 명서동 → 도계주유소 → 소답시장 → 창원여중 → 차룡단지 (이후 역순)

첫차는 월영A 5시 15분, 팔용동 6시 37분
막차는 월영A 22시 30분, 팔용동 23시 52분
5대가 30분 간격으로 하루 36회 운행하였다.

27번이 순환노선으로 변경되면서 생긴 노선이자 창원시내를 순환하던 흔한 노선으로, 27번과 더불어 창원농산물시장을 경유하는 몇 안되는 노선 중 하나였으며 팔용로에서 시내로 나오는 거의 유일한 일반버스였다. 과거 차룡단지길이 생기기 전에는 한국전력 - 창원역 경유로 운행 했었으며 농산물시장에 진입하기 전에는 대원경남아파트와 창원터미널을 경유했었다.

창원 F3 대회가 있었던 날에는 창원전문대를 경유하지 않고 충혼탑 - 올림픽공원 - 창원병원 - 삼일상가 - 정우상가 - 창원운동장 - 문성고 구간으로 돌아서 운행하기도 하였다.[F3]

개편 때 27번과 통합하여 대방동으로 연장, 창원 버스 106이 되었다.

27. 28번 (경남대학교-창원터미널)

28번 노선도
경남대학교 - 제일여고 - 한우아파트 - 서원곡입구 - 마산여중 - 경남은행본점 - 시외터미널/도원예식장 - 양덕1동 - 삼성병원 - 한국전력 - 창원역 - 소답시장(창원터미널 방향)/윤병원(경남대 방향) - 도계초등학교 - 명서동 - 대원동 - 대원경남아파트 - 창원터미널 - 농업기술센터 - 명서동 (이후 역순)

첫차는 경남대 5시 05분, 창원터미널 6시 10분
막차는 경남대 22시, 창원터미널 23시 05분
4대가 38분 간격으로 하루 28회 운행하였다.

역시 옛날부터 운행하던 노선으로 과거에는 구암동 경유 소답동까지만 운행하였으나, 삼성병원 경유로 바뀌고 도계동으로 연장, 창원터미널로 연장 이후 대원동 경유가 추가되면서 위 노선으로 개편을 맞이하게 되었다.

주로 수요가 나올만한 곳들을 묘하게 피하는데다 이래저래 중복노선도 많아서 수요가 많지는 않았다. 그래서 파행운행이 잦았던 노선 중 하나이다. 당시 71-1번과 더불어 삼성병원 - 한국전력 코스로 운행하던 몇 안되던 노선.[13] 개편 이후로는 어느 노선도 이 코스를 이용하지 않는다.

개편 때 대체노선 없이 폐선되었다.

28. 29번 (가포본동-소답동) (폐선)

가포본동 - 가포고등학교 - 한국철강 - 해운중학교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성안백화점[14]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북동공설시장(소답동 방면)/윤병원(가포본동 방면) - 소답동

21번의 가포동 연장 노선으로 1997년에 이와 거의 동일한 26-2번 노선이 신설되면서 폐선되었다.[15]


[1] 이 때 당시 창원구간 노선은 한국전력 → 동서식품 → 창원터미널 → 대원동 → 충혼탑 → 창원병원 → 삼일상가 → 창원중부경찰서 → 병무청 → 경남도청 → 성산아트홀 → 정우상가 → 창원운동장 → 명곡로타리 → 명서동 → 도계주유소 → 사단앞 → 창원역 → 한국전력 순으로 순환 운행하였다.[2] 당시 우성여객 소속 읍면 노선들이 80번대 번호로 다니던 시절에도 21번과 동일노선이라는 팻말을 달고 다닐 정도였으니 말이다.[3] 심지어, 소답동/대방동 방향 북동공설시장 경유 및 월영아파트/경남대학교 방향 윤병원 경유까지 완전히 똑같았기 때문에, 43번의 소답동 단축형 노선이라고 불리기도 했었다.[4] 개편 전에도 40번대 노선들과 100% 완벽한 중복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폐선을 할 수 없었던게, 이 노선의 고정수요가 있어서라고 전해진다. 그만큼 인지도 하나만큼은 제대로 끝내줬다는 소리. 배차간격이 60분으로 늘어나도 파행운행을 하지 않고 꼬박꼬박 잘 다녔으니 말 다했다.[5] 21번과의 차이점은 월영아파트/해운중학교 기종점 차이와 고운로 경유 차이 뿐이다.[6] 상남재래시장이 존재할 당시에는 마산 방면에만 경창상가를 경유하였으나, 상남재래시장이 철거된 이후에는 경창상가 양방향 경유로 변경되었다.[7] 천선동(성주사 입구) 미경유.[8] 중앙대로 구간[9] 그 때, 중앙대로에 함께 경유하던 54번 노선이 폐선되고, 17번 노선이 수협도지회 경유로 61번, 71번, 308번 노선이 성산아트홀 및 롯데아파트 경유로 각각 변경됨으로써, 중앙대로는 시내버스가 전혀 다니지 않는 길이 되었다.[10] 이 때 당시 창원구간 노선은 한국전력 → 동서식품 → 창원터미널 → 창원병원 → 창원남고 → 경창상가 → 삼일상가 → 창원중부경찰서 → 병무청 → 경남도청 → 정우상가 → 창원운동장 → 명곡로타리 → 명서동 → 도계주유소 → 사단앞 → 창원역 → 한국전력 순으로 순환 운행하였다. 43번과는 달리 상남시장을 경유하지 않고 대신 경창상가를 경유하였다.[F3] 창원 F3 대회가 열리면 그 기간 동안 충혼로 일부 및 주변 몇 도로가 F3 경주로로 쓰이기 때문에 해당 구간은 경주용 자동차를 제외한 모든 차량에 대한 통행이 차단되었다.[F3] [13] 당시 한국전력 방향으로는 현재의 구암남11길, 삼성병원 방향으로는 현재의 구암남10길로 운행하였다. 두 길 모두 일방통행 동네 골목길인데 정류소까지 있었다는건 함정. 그런데 차룡단지길이 생기기 이전인 초창기에는 삼성병원을 경유하는 노선 모두가 이 길을 거쳤었다.[14] 현재의 신세계백화점 마산점.[15] 차이점이라면 가포본동/덕동 기점과 소답동/소계동 종점 그리고 창원역/경상고등학교 경유 차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