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1 01:14:47

채희영


蔡熙永, Chea, Hee-young
1940년 8월 7일 ~ ([age(1940-08-07)]세)

1. 개요2. 생애3. 선거 이력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본관은 인천(仁川)[1].

2. 생애

1940년 8월 7일 경상북도 문경군(현 문경시) 산양면 불암리 195번지에서 장남으로[2] 태어났다.[3] 1954년 3월 16일 문경산양초등학교(21회), 1957년 2월 14일 문경중학교(8회), 1961년 2월 16일 함창고등학교(7회)를 졸업하였다. 1961년 8월 24일 대한민국 육군에 입대하여 1964년 8월 6일 하사로 만기전역하였다.[4] 이후 문경군 점촌읍 점촌리(현 문경시 점촌동) 472번지에 본적을 두고 태권도 체육관 '무덕관' 관장, 예비군 점촌읍 제3중대장, 제일생명 점촌영업소장 등으로 근무하였다.

1978년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북도 문경군 점촌읍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1981년 초대 대통령선거인단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경상북도 문경군 점촌읍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83년 7월 20일부터 1989년 7월 20일까지 경북제10지구의료보험조합 대표이사를 지냈다. 1983년 영남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최고관리자과정을 수료하였다. 1984년 대구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에서 최고기획관리자과정을 수료하였다. 1989년 5월 20일부터 1995년 3월 20일까지 점촌시의료보험조합 대표이사를 지냈다. 1990년 2월 28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한 뒤 1993년 2월 19일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일반행정 전공으로 행정학 석사 학위[5]를 취득하였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북도 문경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자유당 김학문 후보에 밀려 4위로 낙선하였다. 이후 주식회사 한국퍼티 대표이사를 지냈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제6대 경상북도의회 문경시 제2선거구에 출마하여 자유민주연합 장사원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2001년 경도대학 지방행정학과에서 행정법 담당 강사로 근무하였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북도의회 문경시 제2선거구에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북도의회 문경시 제2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고우현 후보에 밀려 2위로 낙선하였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북도의회 문경시 제2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고우현 후보에 밀려 2위로 낙선하였다.

201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북도 문경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고윤환 후보에 밀려 4위로 낙선하였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북도의회 문경시 제2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고우현 후보에 밀려 2위로 낙선하였다.

3. 선거 이력

연도 선거종류 선거구 소속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여부 비고
1978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경북 문경 점촌읍

[[무소속(정치)|
무소속
]]
- 낙선
1981 초대 대통령선거인단 선거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 당선 초선
1995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북 문경시장

[[무소속(정치)|
무소속
]]
8,379 (16.09%) 낙선 (4위)
1998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북 문경 2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9,414 (48.18%) 당선 (1위) 초선
2002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무투표 당선 재선
2006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무소속(정치)|
무소속
]]
4,880 (26.38%) 낙선 (2위)
2010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7,038 (42.85%)
2012 상반기 재보궐선거 경북 문경시장 3,096 (7.46%) 낙선 (4위)
2014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북 문경 2 5,599 (31.10%) 낙선 (2위)

[1] 소감공파(少監公派)-양정공파(襄靖公派)-졸재공파(拙齋公派) 31세 희(熙) 항렬.[2]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선거공보물[3]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선거공보물[4] 병무청공고제2002-26호(지방선거당선자의병역사항공개) 616쪽 참조.[5] 석사 학위 논문: 지방정부의 재정자립 확립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지방세제 개편을 중심으로(19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