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9:09:24

천마하라고 누가 칼들고 협박함

천마하라고 누가 칼들고 협박함
파일:천마 누칼협.jpg
장르 퓨전 무협, 환생
작가 크루크루
출판사 Arete
연재처 네이버 시리즈
연재 기간 2023. 04. 18. ~ 2024. 10. 01.

1. 개요2. 줄거리3. 연재 현황4. 역대 표지5. 특징6. 등장인물7. 설정
7.1. 무공
8. 비판9. 여담

[clearfix]

1. 개요

한국의 퓨전 무협, 환생물 웹소설. 작가는 <게임의 신, 돌아오다>, <오크제국건설기>, <천재 무림 트레이너>를 집필한 크루크루.

2. 줄거리

“선택하거라. 이곳에서 죽는 것과, 본좌의 제자가 되는 것 중에서.”
웬 정신 나간 할배가 목에 칼을 들이대며 물었다.
알고 보니, 천마신교의 교주란다.

3. 연재 현황

2023년 4월 18일 네이버 첫 독점연재가 시작되었다.

2023년 11월 10일 작가의 외조부상으로 첫 휴재를 하였다.

2024년 10월 1일 571화로 본편이 완결하였다

4. 역대 표지

역대 표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천마하라고_누가_칼들고_협박함.jpg
파일:천마 누칼협.jpg
1차 표지 2차 표지 }}}}}}}}}

5. 특징

마교가 배경인 마교물이며, 주인공은 현대 한국인 출신 환생자인 퓨전 무협 작품이다. 성장물 속성도 있다.

제목의 누칼협 패러디 이외에도 중요한 특징이자 차별점을 하나 꼽으라고 한다면 바로 부작용. 흔히 '마공은 성취가 빠르지만 부작용이 심하고 성취가 낮지만, 정종무공은 반대로 성취가 느리지만 부작용이 없고 성취가 높다.'를 장치로써 제대로 실현하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런 부작용은 등장인물들 마다 다 다르고 광범위해, 캐릭터성을 부여해준다. 또한 이런 부작용, 심마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캐릭터들의 행동원리에도 개연성을 부여하기 쉬운 장치가 되었다.

6.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천마하라고 누가 칼들고 협박함/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설정

  • 경지
    • 삼류
      단전에 내공을 모으는 데 성공한, 이제 갓 무공을 익힌 이들이라면 .
    • 이류
      내공을 활용해 초식을 펼칠 수 있게 된다면
    • 일류
      단순히 정해진 동작에 따라서만 운용하는 수준을 넘어, 다양한 동작에 맞춰 자유자재로 내공을 운용할 수 있다면
    • 절정
      기의 발출이 가능해진 경지. 다만 상위 마공을 익힌 이들이라면 길어야 십수 년이면 누구나 기의 발출에 성공할 수 있다. 또한 초절정이라는 경지는 절정이라는 경지와 인해경 사이의 간극이 너무 커서 붙은경지다.[1]
    • 인해경(認解境)
      환골탈태(換骨奪胎)이루는 경지. 다양한 방식으로 인해경에 들 수 있다. 중원에서는 기본적으로 강기를 자유자재로 다루는 경지로 칭해진다. 자신을 온전히 깨닫고 받아들였기에 마음을 품으면 몸과 기운이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으며, 때문에 주인공은 기의 발출 및 조작이 하나로서 완벽해지건 여러 방식을 익히며 최적화된 형태를 알아내건 절정지경에서 다루는 기예에 따라 인해경에 도달하는 방법 또한 달라지리라 예측했다. 수련을 통해 경지에 익숙해지면 이기어검술이나 검환, 허공답보, 호신강기 등을 펼칠수 있다.
      천마신교는 탈마에 성공했을 시 환골탈태를 이뤄 인해경에 도달할 수 있는가로 상위 마공을 분류한다.
      무하립 아짐(محارب عظيم, 위대한 전사), 바타르(Баатар, 용사), 대마법사, 오러마스터등의 이름으로 칭해진다.
    • 천통경
      도가에서는 입선경, 불가에서는 무상정각이라 부른다. 마교에서는 천마신공이 탈마에 이르면 도달하는 경지로 알려져 있으며, 천통경 역시 천마신공에서 서술하는 경지에 해당한다. 사실상 천하제일인이나 되어야 닿는 경지라 공통된 명칭은 없다.
  • 마공 경지
    이하의 경지는 각각의 마공에서 겪는 공통적인 과정을 논할 뿐, 해당 마공의 강함이나 부작용의 심각함, 그리고 극마와 탈마에 도달했을 때 이룩하게 되는 공통적인 경지와는 별개의 개념이다. 주로 상위 마공을 익힐 경우 절정까지도 빠르게 도달하며 탈마에 성공했을 시 인해경에 도달한다고 묘사된다.
    • 입마
      마공을 익히며 무공에 익숙해지고 부작용을 겪기 시작하는 경지. 정파의 무공이 정석적으로 임독양맥을 뚫고 기운을 쌓으며 차근차근 수행하는데 반해, 마공은 초식에 필요한 혈도부터 뚫어가며 사혈 등의 위험한 혈맥도 우직하게 뚫어내기에 수행이 빠르다. 대신 편집증, 성욕과다, 정신분열, 강박 등 정신에 미치는 악영향이 다양하고 극마까지는 수행과 부작용의 성장이 함께 이루어지기에 마공이라 불리운다.
    • 극마
      마공에서 논하는 극한의 경지. 가장 부작용과 위력이 심대한 시점으로, 극마까지의 도달은 마공 특유의 빠른 성장속도와 위험성 때문에 살아만 있다면 어떻게든 도달하는 이도 많다. 위험성과 부작용의 상승조차 결국은 마공이 마공인지라 경지의 상승과도 같은 뜻이기 때문이다.
    • 탈마
      마공의 한계와 부작용을 넘어선 경지. 탈혼무정검의 경우 무공에서 논하는 최고의 동작에 대한 강박을 버리고 무공의 진의인 자유로운 전환에 대한 새로운 경지에 도달해 강박증에서 논하는 최강의 위력과 최고의 동작보다도 위대해지면 도달하는 식으로 묘사되는 것이 그 예시.

7.1. 무공

  • 천마신공
    천통경에 이르기 위한 무공. 이기어검부터 심검까지 의념에 익수해지기 위한 깨달음을 담고있다.
    • 천마군림보
  • 멸세신공
    일목이 만든 무공. 555화에야 이름이 정해진다.
    • 멸세혼옥장
    • 멸혼검뢰
    • 멸세탄지공
  • 탈혼무정검
    부작용은 편집증
  • 폭렬마라검법
    부작용은 분노조절장애
  • 소수마공
    부작용은 여성은 공감능력 저하, 남성은 성욕증가
  • 혈호적조공
    혁련세가의 마공. 부작용은 과도한 집착증세, 즉 속칭 얀데레.
  • 혈영18검
    혁련세가의 마공
  • 암주혈사공
    실을 사용하는 무공.부작용은 성욕증가
  • 마령단섬도
    구양세가의 마공
  • 백화마공
    백씨세가의 마공.암기술로 부작용은 관심병.
  • 독고구검
    부작용은 오직스스로 나아가는 것만이 정답이라고 여기게 된다. 즉 고집불통
  • 광혼검법
    부작용은 조현병. 완성되자 양의심공처럼 사용할수 있게 되었다.
  • 무영십사수
    부작용은 피해망상.
  • 귀령신궁
    부작용은 감각이 예민해지는 것.
  • 흑뢰마장
    부작용은 살인충동.
  • 광령풍마창
    부작용은 정신이 산만해지는 것.
  • 수라혈권
    열양기공

8. 비판

초중반의 마도관에서의 에피소드가 질질 끈다는 비판이 많았다. 또한 남색가로 오해하는 착각물로 변모했다면서 하차하는 이들도 많았는데, 이를 수용해서 작가는 남색에 대한 오해를 이후에 수정을 하여 내보냈고 진행속도 역시 빨라졌다는 평가도 다시금 따라오게 되었다.

9. 여담


[1] 억지로 강기를 만드는 경지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