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최원태와 원태인을 합친 통칭으로, 두 선수의 이름을 연결한 밈이다.이 통칭은 두 투수 모두 KBO 리그에서 주목받는 젊은 선발 자원임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고비마다 아쉬운 활약으로 팬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일이 많아 생겨났다. 특히 중요한 경기에서의 실점과 타자를 쉽게 잡지 못하는 모습이 종종 조롱의 대상이 되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최원태인”은 KBO 리그 내에서 전형적인 ‘준 에이스’ 이미지의 상징처럼 사용되며, 둘의 특성과 팀 상황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기도 한다.
2. 유래
“최원태”는 LG 트윈스에서 삼성으로 이적“원태인”은 삼성 라이온즈의 토종 에이스로 성장했지만, 2023 시즌 후반기 이후 흔들리는 모습으로 팬들의 원성을 샀다.
3. 인식
“최원태인”이라는 단어는 특정한 실력 부족이 아니라, 안정성과 멘탈 관리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는 투수들을 조롱하는 의미로 사용된다.공통점
- 선발진에서 중간 이상의 성적은 보장하지만, 결정적인 상황에서는 흔들리는 경향이 있다.
- 피홈런이 많고, 투구 수 관리가 어려워 5~6이닝에서 교체되는 경우가 잦다.
- 팬들의 기대를 저버리는 경기가 적지 않아 “멘탈이 원태인급, 피칭은 최원태급”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4. 성적 비교
2025 시즌 | |||||||
선발 경기 | 이닝 | ERA | WHIP | 승리 | 삼진 | 평균 구속 | |
km/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