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08:10:32

케이드 고든

카이데 고든에서 넘어옴
파일:Kaide Gordon 2023-2024.png
<colcolor=#fff> 포츠머스 FC No. 14
케이드 고든
Kaide Gordon
<colbgcolor=#293f9c> 본명 케이드[1] 쉰 고든
Kaide Sheene Gordon
출생 2004년 10월 5일 ([age(2004-10-05)]세)
잉글랜드 스태퍼드셔주 버턴어폰트렌트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
[[자메이카|]][[틀:국기|]][[틀:국기|]]
신체 180cm / 체중 70kg
포지션 윙어
주발 왼발
소속 <colbgcolor=#293f9c><colcolor=#fff> 유스 더비 카운티 FC (2013~2020)
프로 더비 카운티 FC (2020~2021)
리버풀 FC (2021~ )
노리치 시티 FC (2024~2025 / 임대)
포츠머스 FC (2025~ / 임대)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293f9c><colcolor=#fff> 역대 등번호 더비 카운티 FC - 41
리버풀 FC - 49
노리치 시티 FC - 21
포츠머스 FC - #
후원사 아디다스
에이전시 파일:Creative Artists Agency 로고.svg
가족 켈란 고든
}}}}}}}}} ||

1. 개요2. 클럽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대회 기록5. 여담6.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잉글랜드포츠머스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윙어.

2. 클럽 경력

2.1. 더비 카운티 FC

2013년에 더비 카운티 유스팀에 입단하였다.

2020년 12월 29일, 버밍엄 시티전 후반 89분에 그레임 시니와 교체되며 성인 무대 데뷔전을 치렀다.

훌륭한 활약을 바탕으로 처음에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진한 링크가 떴으나, 겨울 이적 시장 막판 리버풀 FC로 이적하는 것이 근접했다는 보도가 떴다.

2.2. 리버풀 FC

2021년 2월 5일, 리버풀 입단 오피셜이 떴다. 이적료는 £1m이며, 옵션에 따라 £3m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한다.

2.2.1. 2021-22 시즌

프리시즌에 소집되어 유스 중 유일하게 꾸준히 기회를 받았다. 클럽에서 거는 기대가 큰 모양.

U-19팀에서 뛰다가 2022년 3월 3일, EFL컵 16강 노리치전에 선발출전하며 성인팀 데뷔전을 치렀다. 오리기에게 한차례 좋은 스루패스를 찔러주는 등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고, 풀타임을 소화하였다.
파일:고든.gif
고든의 1군 데뷔골

FA컵 64강 슈루즈베리 타운전에 선발 출장해 팀이 0-1로 뒤져 있는 상황에서 침착한 슈팅으로 동점골을 기록하며 17세 96일의 나이로 리버풀 최연소 득점자 랭킹 2위에 등극했다.[2] 이 외에도 경기 내에서 번뜩이는 드리블링 센스와 패스로 팬들의 주목을 한 몸에 받았다.

22R 브렌트포드전 팀이 3-0으로 앞서고 있는 상황에서 82분에 디오구 조타와 교체되어 투입되며 프리미어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미나미노 타쿠미의 스루패스로 한 차례 결정적인 1대1를 맞이했으나 긴장했는지 슈팅이 알바로 페르난데스 키퍼에게 걸리고 말았다. 그리고 엄청 아쉬워했다.

EFL컵 4강 2차전 아스날전에 미나미노를 제치고 선발 출장했다. 수비 가담을 열심히 해준 것은 긍정적이었으나 긴장했는지 전반적으로는 경기의 템포를 잘 따라가지 못했고 자신에게 찾아온 몇 번의 찬스를 놓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2.2. 2022-23 시즌

21-22 시즌에 비해 기회를 잘 부여 받지 못하고 있다. 아무래도 다르윈 누녜스가 좋은 폼을 보여주고 있고 코디 각포와 더불어 루이스 디아스도 포텐이 터진 시즌이기에 감독인 위르겐 클롭이 굳이 고든을 기용할 필요성을 못 느낀 시즌인 듯 하다.

2.2.3. 2023-24 시즌

프리시즌 명단에 포함 되지 못했다.

스트라이커로 포지션 변경을 시도 중이라고 한다.

유로파 리그 조별 리그 6차전 USG 전 선발 출전했다.

FA컵 16강 사우스햄튼 전 벤치에서 출발해 90분 코디 각포 대신 투입되었다.

시즌 종료 이후 파브리지오 로마노에 따르면 스완지 시티 AFC로의 임대에 근접했다고 한다.

2.2.4. 노리치 시티 FC (임대)

2024년 8월 31일, 노리치 시티로 임대 이적했다.

2025년 1월 13일, 출전 시간 부족 문제로 인해 리버풀로 복귀했다. 임대 기간 동안 리그 10경기를 뛰며 단 177분만을 소화했고, 1골에 그쳤다.

2.2.5. 포츠머스 FC (임대)

2025년 2월 3일, 포츠머스로 임대되었다.

3. 플레이 스타일

4. 대회 기록

5. 여담

6. 같이 보기

파일:포츠머스 FC 로고.svg
포츠머스 FC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2024-25 포츠머스 FC 1군 스쿼드 [주의]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2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던 윌리엄스 Jordan Williams
3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코너 오길비 Connor Ogilvie
4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라일리 타울러 Ryley Towler
5 DF 파일:웨일스 국기.svg 리건 풀 Regan Poole
6 DF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코너 쇼네시 Conor Shaughnessy
7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말런 팩 Marlon Pack 주장
8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레디 포츠 Freddie Potts [2]
9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콜비 비숍 Colby Bishop
10 FW 파일:호주 국기.svg 쿠시니 옝기 Kusini Yengi
11 FW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마크 오마호니 Mark O'Mahony [3]
13 GK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니콜라스 슈미트 Nicolas Schmid
14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케이드 고든 Kaide Gordon [4]
15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크리스찬 사이디 Christian Saydee
17 MF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딜 아우시시 Adil Aouchiche [5]
18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코헨 브라몰 Cohen Bramall
19 DF 파일:호주 국기.svg 제이콥 패럴 Jacob Farrell
20 FW 파일:호주 국기.svg 토머스 워딩엄 Thomas Waddingham
21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안드레 도젤 Andre Dozzell
22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잭 스완슨 Zak Swanson
23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쉬 머피 Josh Murphy
24 MF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테리 데블린 Terry Devlin
25 MF 파일:기니 국기.svg 압둘라예 카마라 Abdoulaye Kamara
29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하비 블레어 Harvey Blair
30 MF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맷 리치 Matt Ritchie
31 GK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조던 아처 Jordan Archer
32 FW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패디 레인 Paddy Lane
33 G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비 스튜어드 Toby Steward
34 DF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이반 보와트 Ibane Bowat
35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로버트 앳킨슨 Robert Atkinson [6]
36 G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벤 킬립 Ben Killip
41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해리 클라우트 Harry Clout
44 DF 파일:호주 국기.svg 헤이든 매튜스 Hayden Matthews
45 MF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아이삭 헤이든 Isaac Hayden [7]
49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칼럼 랭 Callum Lang
<colbgcolor=#293f9c> 구단 정보
회장: 마이클 아이스너 / 감독: 존 무시뉴 / 홈 구장: 프래턴 파크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2월 19일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2]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에서 임대[3]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에서 임대[4] 리버풀 FC에서 임대[5] 선덜랜드 AFC에서 임대[6] 브리스톨 시티 FC에서 임대[7]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에서 임대

}}}}}}}}} ||

파일:리버풀 FC 라이버 버드 로고(화이트).svg
리버풀 FC 아카데미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리버풀 FC 아카데미 2024-25 시즌 스쿼드
<rowcolor=#d00027>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G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스 트루먼 Reece Trueman 2005년 5월 15일
GK 파일:폴란드 국기.svg 야쿠프 오이르진스키 Jakub Ojrzyński 2003년 2월 19일
G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이콥 포이트레스 Jacob Poytress 2003년 12월 31일
G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네이선 모라나 Nathan Morana 2005년 11월 14일
G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코르넬 미시어 Kornel Misciur 2007년 4월 27일
G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베일리 홀 Bailey Hall 2007년 9월 1일
G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DJ 버나드 DJ Bernard 2008년 6월 28일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 조너스 Lee Jonas 2004년 7월 6일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테런스 마일스 Terrence Miles 2004년 9월 12일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시 데이비드슨 Josh Davidson 2005년 9월 23일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웰리티 럭키 Wellity Lucky 2006년 1월 12일
DF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루이스 에나호로마커스 Louis Enahoro-Marcus 2006년 9월 6일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루커스 피트 Lucas Pitt 2006년 10월 31일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해리 에버스 Harry Evers 2006년 11월 3일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루카 퍼넬길 Luca Furnell-Gill 2006년 12월 29일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카터 피닝턴 Carter Pinnington 2007년 2월 21일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임스 노리스 James Norris 2003년 4월 4일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마라 날로 Amara Nallo 2006년 11월 18일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DJ 에스다일 DJ Esdaille 2007년 12월 1일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임스 매코널 James McConnell 2004년 9월 13일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미 필링 Tommy Pilling 2004년 9월 14일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이작 마바야 Isaac Mabaya 2004년 9월 22일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이클 라페이 Michael Laffey 2005년 10월 11일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카일 켈리 Kyle Kelly 2005년 10월 16일
MF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아폴라미 오나누가 Afolami Onanuga 2006년 9월 1일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벤 트루먼 Ben Trueman 2006년 9월 14일
MF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키어런 모리슨 Kieran Morrison 2006년 11월 9일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엠마누엘 아이로보마 Emmanuel Airoboma 2007년 5월 15일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임스 발라기지 James Balagizi 2003년 9월 20일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트레이 뇨니 Trey Nyoni 2007년 6월 30일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알빈 아이만 Alvin Ayman 2007년 9월 12일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라이언 카울리 Ryan Cowley 2008년 1월 11일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스코필드 론메니 Scofield Lonmeni 2008년 1월 27일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 업튼 Joe Upton 2008년 2월 16일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올리버 오코너 Oliver O'Connor 2008년 6월 15일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 브래드쇼 Joe Bradshaw 2008년 6월 17일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오클리 캐노니어 Oakley Cannonier 2004년 5월 6일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라넬 영 Ranel Young 2005년 12월 26일
FW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트렌트 콘도허티 Trent Kone-Doherty 2006년 6월 30일
FW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롤 피게로아 Keyrol Figueroa 2006년 8월 31일
FW 파일:이집트 국기.svg 카림 아메드 Kareem Ahmed 2007년 2월 17일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쉬 소니램비 Josh Sonni-Lambie 2007년 11월 16일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타일러 마틴 Tyler Martin 2007년 12월 25일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린스 시세 Prince Cisse 2008년 6월 26일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오 은구모하 Rio Ngumoha 2008년 7월 21일
2024-25 시즌 임대 선수
<rowcolor=#D00027>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GK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비안 므로제크 Fabian Mrozek 2003년 9월 28일
DF 파일:웨일스 국기.svg 오언 벡 Owen Beck 2002년 8월 9일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루크 체임버스 Luke Chambers 2004년 7월 24일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캘럼 스캔런 Callum Scanlon 2005년 2월 14일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도미닉 코니스 Dominic Corness 2003년 5월 5일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루카 스티븐슨 Luca Stephenson 2003년 9월 17일
MF 파일:웨일스 국기.svg 루이스 쿠마스 Lewis Koumas 2005년 9월 19일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케이드 고든 Kaide Gordon 2004년 10월 5일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이든 댄스 Jayden Danns 2006년 1월 16일
참고 사항
U-23 및 U-18 스쿼드는 함께 표기 및 운영 중
출처: 리버풀 FC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2월 15일
}}}}}}}}}}}}}}} ||

2022년 골닷컴 선정 NXGN (U-20) 유망주 50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11px"
주드 벨링엄 플로리안 비르츠 파블로 가비 자말 무시알라 하비 엘리엇
라얀 셰르키 데빈 렌스 유수파 무코코 베냐민 셰슈코 리카르도 페피
아르센 자하랸[1] 마티아스 소울레 유수프 데미르 마르쿠스 레오나르두 루카 네츠
모하메드알리 초 일라시 모리바 일리아스 아코마흐 카츠페르 코즈워프스키 로메오 라비아
펠릭스 아페나잔 한니발 메브리 리암 델랍 케이든 클라크 카이키 샤가스
말로 귀스토 사비 시몬스 찰리 파티노 안드레아스 시엘데루프 카이키
나지 위뉘바르 리바이 콜윌 이사크 요한네손 아담 카라베츠 알레한드로 발데
로코 시미치 카니 추쿠에메카 와히드 파기르 발렌틴 바르코 케이드 고든
브라이언 오코 에두아르 마스 마테우스 프랑사 숄라 쇼레티레 뤼카 구르나
가브리엘 슬로니나 루니 바르다그지 마르셀로 플로레스 엔드릭 브루노 이글레시아스
}}}
[1] 디나모 모스크바 소속의 러시아 국적의 선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FIFA와 UEFA가 발표한 클럽과 국가대항 경기에서의 러시아 퇴출 결정에 따라 선정이 취소되었다.
}}}}}} ||



[1] 보통 카이데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명백히 잘못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Ua-O3An_eA 해당 영상의 5:04에서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가 정확하게 케이드라고 발음한다.[2] 1위는 벤 우드번의 17세 4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