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4f2ef,#191919><colcolor=#000,#009DDC> 멀티플레이 | 아이템전 (아이템 종류) · 스피드전 · 기간 한정 모드 · |
싱글플레이 | 싱글 미션 · 타임어택 · 도전의 탑 · 리플레이 | |
트랙 | 트랙 (테마) · 첫 등장일 및 수정사항 · BGM · 난이도 표기 문제 | |
차고 | 카트바디 (목록 · A2) · 치장 파츠 · 풍선 · 리버리 · 캐릭터 · 레이싱 박스 | |
콘텐츠 | 업적 · 콜라보레이션 · 드롭스 | |
e스포츠 | 리그 · 스토브리그 | |
업데이트 | 업데이트 · RISE · OVERDRIVE | |
평가 및 논란 | 평가 · 문제점 · 논란 및 사건 사고 (서비스 종료 사건) | |
기타 | 출시 전 정보 · 스토리 · 용어 · 주행 기술 · 디렉터 (조재윤 · 서재우) · 니트로스튜디오 · 템줌마 · 그건 원작을 경험해 보신 분들의 기준인 거고요 · 매칭이 안 되면 방송을 켜세요 · 카트라이더 레이싱 월드 |
1. 개요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의 랭크 모드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2. 상세
2023년의 그랑프리, 2024년의 등급전 이후 새로 개설된 경쟁전.2.1. 세부 등급표
랭크 포인트의 약자는 RP와의 구분을 위해 RNP로 서술한다.- 도전자 - 플레이 횟수 0회
- 브론즈
- Ⅲ - 0 ~ 399 RNP
- Ⅱ - 400 ~ 799 RNP
- Ⅰ - 800 ~ 1199 RNP
- 실버
- Ⅲ - 1200 ~ 1599 RNP
- Ⅱ - 1600 ~ 1999 RNP
- Ⅰ - 2000 ~ 2399 RNP
- 골드
- Ⅲ - 2400 ~ 2799 RNP
- Ⅱ - 2800 ~ 3199 RNP
- Ⅰ - 3200 ~ 3599 RNP
- 플래티넘
- Ⅲ - 3600 ~ 3999 RNP
- Ⅱ - 4000 ~ 4399 RNP
- Ⅰ - 4400 ~ 4999 RNP
- 마스터
- Ⅲ - 5000 RNP
- Ⅱ - TOP 51~100
- Ⅰ - TOP 21~50
- 그랜드 마스터
- Ⅲ - TOP 11~20
- Ⅱ - TOP 6~10
- Ⅰ - TOP 1~5
3. 역대 시즌
3.1. 2025 1st
- 스피드전 주요 카트바디 : Centodieci en Bleu[1], 푸른 밤 솔리드 A2[2], 밤그림자 마라톤 A2[3], 붉은 달 세이버 A2[4], 시린 별 세이버 A2[5], 로디 우르비노 A2[6], 그래피티 A2[7]
- 아이템전 주요 캐릭터 : 다오[8], 브로디[9], 우니[10], 드라키[11], 꼬마유령[12], 루시드[13]
실버까지는 하락폭이 없으나, 골드부터는 하락폭이 존재해서 등급이 강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락폭은 등급이 높아질수록 더 커진다.
2025 1st 랭크전에 대한 평가는 최악 그 자체. 아래의 수많은 문제점들이 서로 환장의 시너지를 이뤄 유저들을 고문하고 있다.
이 모든 사태의 원인은 성능 영향이 존재하는 보상 아이템 때문으로, 성능 영향이 존재하는 카트바디[14]와 캐릭터[15]가 보상으로 걸려 있어 많은 유저들이 탄식하고 있다.
수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면 다음 시즌부터는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16] 보상을 책정해야 할 것이다.[17]
때문에, 영웅 데릭 먹을 게 아니면 그냥 양대 골드1에 주차해놓고 유기해서 치장 파츠만 받아먹는 게 가장 가성비 있는 선택. 시간이 지날수록 매칭풀은 급속도로 박살나고 있으니, 최대한 빨리 주차해놓고 유기하자.
유저들이 전부 나가 떨어져 폐사했는지, 일주일도 채 되지 않아 매칭풀이 박살났다. 모드의 평판이 나락으로 떨어졌다는 반증.
3.2. 프리시즌 랭크모드
서비스 종료가 10월 16일이라서 참여 시간, 횟수 제한 없이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며 데이원리그 프리시즌과 다르게 별도로 보상이 없다. 2025년 7월 31일부터 10월 16일까지 진행된다.4. 문제점
- 성능 영향이 존재하는 보상 아이템
사실상 모든 문제점의 근원이 되는 문제점. 2025 1st 랭크전 TOP100 보상인 네온 엔젤 데릭 코스튬이 무려 데릭의 최초의 영웅 등급인데, 이걸 TOP100 순위 보상으로 걸어 놓았기 때문에 사실상 반 강제적으로 랭크전에 뛰어들게 만든 주범이다.
후술할 모든 문제점이 TOP100에 걸려있는 인질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수많은 플레이어들이 영웅 데릭을 얻기 위해 억지로 랭크전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받고, 캐시를 낭비하고, 인간 불신을 쌓고, 일정을 꼬이고 있다. 일부 유저들은 일찍이 포기하기도.
비단 TOP100 영웅 데릭이 아니라도, 골드1 보상으로 걸려있는 네온 머슬카 A2와 네온 데빌 데릭 역시도 작지 않은 성능 영향이 존재하는 아이템이기 때문에 이쪽도 만만치않은 인질이다.
여담으로 2023 그랑프리 보상은 RISE 이후 그랑보상들이 높은 성능을 가져가면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긴 하나[18] 적어도 당시에는 성능 영향이 없었고[19], 2024 등급전 보상은 성능 영향이 존재하긴 하나 그 성능이 상당히 낮았기 때문에[20] 역시 문제 제기가 되지 않았다. 근데 이번 2025 랭크전 보상은 주요 보상 카트가 고급 등급 순부차, 주요 보상 캐릭터가 희귀 등급 코스튬, 심지어 TOP100 보상은 무려 영웅 등급 코스튬이기 때문에 하나같이 매우 높은 성능을 가져 성능 영향이 상당하다.
사실, 냉정하게 말하면 카트바디는 유출에 따르면 절대로 대장급 성능이라고 보긴 어렵고, 데릭은 메타 변화로 고인이 된 지 오래이다.[21] 진짜 문제는 향후 진짜 초고성능 카트바디나 영웅 다오 같은 게 나올 수도 있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22]
- 매우 사납고 포악한 유저들
하락폭이 존재하는 경쟁전 특성상 플레이하는 유저들이 엄청나게 포악하다. 특히 팀전에서 두드러지는데, 실력이 부족하거나 팀에 조금이라도 손해되는 행동을 하면 욕설은 기본에, 심하면 패드립까지 오가기도 한다. 랭크가 높아져 패배 시의 하락폭이 커질수록 이는 더더욱 극대화된다.
이는 "5분 하면 부모님 사라지는 게임"이라는 별명이 있는 리그 오브 레전드가 오버랩되기도 한다. 마침 리그 오브 레전드도 경쟁전 위주의 팀 게임이다.2분 하면 부모님 사라지는 게임
- 개인전 or 팀전 랜덤
개인전 or 팀전이 랜덤이다. 개인전은 순수히 본인의 실력의 영역이기 때문에 문제가 덜하지만 문제는 팀전. 팀전은 아무리 개인 실력이 좋아도 팀이 못하면 점수를 얻을 수 없다. 특히 아이템전에서는 이것 때문에 전천후 캐릭터나 러너형 캐릭터로 캐릭터 풀이 고정되어 있다.[23]
물론 등급전 때는 다오로 거의 대다수 플레이했고, 아이템전 명예의 전당에도 대다수 다오였다. 지금도 다오는 잘 나오지만 러너+공격 캐릭터 스킬을 가진 루시드가 점점 등장하고는 있다.
- 하루 30회 제한
모드별 하루 30회 제한이 걸려있어, 한판한판이 소중하게 되고, 개인전 or 팀전 랜덤의 타격이 더욱 커지는데다, 매우 사납고 포악하게 될만큼 스트레스가 극대화되며, 시간이 늦어질수록 매칭 속도가 크게 느려진다.
다만 이는 호불호가 갈리는 사항인데, 지나친 판수박치기를 막아서, 조금만 하고 갈 수 있게 해놓았다는 점에서[24] 긍정적인 점이 있다.
- 그랑프리 및 등급전 명예의 전당 말소
기존 그랑프리 및 등급전의 명예의 전당이 말소되었다.
- 도무지 이해를 할 수 없는 트랙 선정(스피드전)
브론즈 영역에서 트랙이 이상하게 나온다.
- 지나치게 높아진 게임 비용(아이템전)
이는 랭크전 자체 문제라기보단, 지나치게 비싸게 책정된 풍선 가격에서 기인하는 문제점이다. 풍선이 전부 캐시이며 특히 하락폭이 존재하는 랭크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좋은 희귀/영웅 풍선을 써야 하는데, 러너형 캐릭터가 주로 사용하는 희귀 풍선은 200개에 4000캐시, 공격형 캐릭터가 주로 사용하는 영웅 풍선은 200개에 5000캐시이다. 한판에 5개 정도 소모된다 가정했을 때, 200개면 대략 40판을 할 수 있는 분량으로, 달리 말하면 하루에만 3000~3750 캐시를 소모해야 한다는 말과 같다. 두 달을 하면 대략 180000~225000 캐시로, 이는 어지간한 가챠 카트바디 1천장 가격에 맞먹는 비용이다.
- 막판 눈치싸움이 모든 걸 결정하는 기괴한 메타(아이템 개인전)
2023 시즌 1~2 아이템 개인전 그랑프리에서부터 지적되었던 문제점으로, 하락폭이 존재하기 때문에 손해를 안 받으려고 너도나도 막판 눈치싸움만 하는 기괴한 메타로 게임이 흘러간다.
이는 1등의 메리트가 전혀 없기 때문으로, 1등으로 치고 나가봤자 확정 큐브에서 등장하는 수많은 공템들을 맞고 처지기 십상이고, 거리가 벌어지면 실드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1등으로 치고 나갈 이유가 전혀 없다.
참고로 하락폭이 없던 2024 등급전에서는 이 문제가 덜했다. 2024 등급전 시절에는 하락폭이 없어 최소한 손해는 안 받았었기 때문에 개인전 성능픽과는 거리가 있는 네오나 투탑 같은분탕즐겜픽들도 자주 등장했었는데, 이번에는 하락폭이 존재하기 때문에 매우 심각한 다오라이더, 자부라이더가 되었다.
[1] 픽률 부동의 1위 카트바디. 사실상 정석이나 마찬가지이다.[2] 주류는 아니고 조커픽으로, 게이지 보호, 몸싸움, 안정성으로 중무장하여 극한의 생존력을 자랑하기에 개싸움이 벌어질 것 같을 때 슬며시 들어줄 수 있다.[3] 이쪽도 주류는 아니고 조커픽이다. 코너가 적은 직선 위주의 트랙에서 제한적으로 채용된다.[4] 강한 출부와 하이브리드의 유연성으로 변수 많은 랭크전에서 살아남기 좋다.[5] Centodieci en Bleu를 다루기 어려워하는 유저들이 찾는 차선책.[6] 게이지 보호와 높은 주행 및 몸싸움 능력으로 유연성이 좋은 가성비 픽.[7] 앞선 카트바디들을 하나도 보유하지 않았을 시 최후의 선택지. 하락폭이 존재하는 랭크전에서 고급차는 인권이다.[8] 검증된 정석. 막판 자부점이 아이템전의 정석이다.[9] 숙련자 한정 최강의 픽. 다룰 수만 있다면 러너&디펜스 양쪽으로 매우 강력하다.[10] 대미지도 강하고, 속력 포텐셜도 좋고, 막싸움에도 일가견이 있다.[11] 액티브 스킬 봉쇄와 강력한 속력 포텐셜을 모두 가진 막싸움 최강자.[12] 타겟팅 회피와 얕은 존재감으로 어부지리를 차지하기 좋다.[13] 강력한 대미지와 속도형 기능이 모두 존재하는 완소 픽.[14] 2025 1st 랭크전 시점 A2 카트바디의 최고 등급인 고급 등급에 보통의 순부차보다 한 수저 높은 15수저 순부차인 네온 머슬카 A2[15] 고급밖에 없었던 기존 데릭의 최고 등급을 갱신한 네온 데빌 데릭(희귀), 네온 엔젤 데릭(영웅)[16] 카트바디는 스탯이나 세부 성능을 다소 낮게 책정하고, 캐릭터 코스튬은 기존 최고 등급을 갱신하지 않는 선에서 출시해야 한다. 낮은 성능의 카트바디는 휠과 번호판 등 치장 파츠를 떼갈 수 있고, 낮은 등급의 캐릭터 코스튬은 고등급 코스튬에 외형을 덮어씌울 수 있어 가치는 존재한다.[17] 폭스 N1, 검은 늑대 휠, 만화 세상 부스터, CBT 번호판, 황금별 스키드, 걸크러시 선배 레나, 천사 날개, BUGATTI Macaron 엠블럼 등 성능에 영향이 없어도 희소성만으로 충분히 유저들의 소유욕을 자극할 수 있는 아이템은 많다. 이 아이템들은 없어도 살짝 아쉬운 수준이지 꼬운 정도는 아니다.[18] 카트바디는 2024년 초 당시 고성능 포지션인 12수저로 책정되었고, 캐릭터는 캐릭터 스킬이 도입되며 등급별로 스킬 쿨타임에 차등이 생겼다.[19] 2023 그랑프리 시절에는 카트바디 성능이 통일되어 있었고, 캐릭터 스킬도 없었다.[20] 카트바디는 스탯만 12수저였지 세부 성능이 낮았고, 캐릭터는 고급 등급이였다. 결국 카트바디는 휠 or 번호판 떼가는 용, 캐릭터는 관상용.[21] 확정 큐브로 인해 대폭 거세진 1등 견제, 2중 큐브 습득시 무조건 초기화 등. 물론 A2 등급에 해당 스킬 보유 바디가 안 나와서 슬롯 개수 제한을 아이템 체인저와의 시너지로 보완할 여지가 막힌 것과 특성 효과를 전혀 못 받던 시절의 저평가가 그대로 이어진 것도 있다.[22] 실제로 그랑프리 보상이었던 스카이 레이서 다오가 오랜 시간 이후 해적 다오 출시 전까지 유일한 희귀 다오였던 적이 있다.[23] 주요한 캐릭터는 다오, 브로디, 우니, 드라키, 꼬마유령, 루시드가 있다. 더 추가하면 마리드, 렉스, 브라이언, 지피시장 정도.[24] 스피드와 아이템 합산시 하루 60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