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라티아스 Ceratias | |
| |
학명 | Ceratiidae (T. N. Gill, 1861) |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조기어강(Actinopterygii) |
목 | 양쥐돔목(Acanthuriformes) |
과 | 케라티아스과(Cerati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 |
케라티아스속(Diceratias) 크립톱사라스속(Cryptopsaras) |
[clearfix]
1. 개요
양쥐돔목 아귀아목 케라티아스과의 어류이다.2. 상세
여느 아귀아목의 생물들과 같이 암수크기 차가 큰 편이며,암컷의 보통크기는 20cm~60cm정도이지만 수컷은 1cm~5cm정도이다.
전 세계의 극지방에서 열대 지방까지 널리 분포한다.
2속 4종을 포함하고 있다.
학명은 뿔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케라스(keras)에서 유래했다.
아귀목 중에서,
가장 널리 분포하는 어류의 하나이다.
3. 종류
4. 케라티아스속
4.1. 케라티아스 홀보엘리
케라티아스 홀보엘리 Krøyer's deep sea angler fish | |
| |
학명 | Ceratias holboelli (Krøyer, 1845)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 |
케라티아스속(Ceratias) |
케라티아스과에서 가장 잘 알려진 종이다.
크뢰위에르의 심해아귀로,
잘 알려져 있으며 Ceratiidae과에 속하는 종이다 . 열대해에서 극지방까지 전 세계 바다에서 발견되고, 이 종은 이 과에서 가장 큰 종이다.[1]
1845년 덴마크 동물학자 헨리크 니콜라이 크뢰위에르 가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기술했다.
주로 수심 400~2,000m에서 서식한다.
4.2. 케라티아스 텐타쿨라투스
케라티아스 텐타쿨라투스 southern seadevi | |
| |
학명 | Ceratias tentaculatus (Norman, 1930)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 |
케라티아스속(Diceratias) |
1930년에 어류학자인 존 노먼[2]이 기술했고,
수심 650~700m깊이에서 발견할 수 있는 비교적 수심이 얕은 곳에 사는 종이다. 남반구에서만 보인다.
남부 바다 악마(southern seadevil)라고도 불린다.[3]
최대 크기는 88cm이다.
4.3. 케라티아스 우라노스코푸스
케라티아스 우라노스코푸스 stargazing seadevil | |
| |
학명 | Ceratias uranoscopus (Murray, 1887)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 |
케라티아스속(Ceratias) |
1887년에 캐나다 태생의 영국 해양학자인 존 머레이[4]가 기술했다.
수심 500~1,000m의 깊이에서 발견할 수 있는 종이다. 대서양 , 태평양 , 인도양의 열대 해역에서만 서식한다.
별을 바라 보는 바다악마(stargazing seadevi)라고도 불린다.
최대 크기가 24cm로, 케라티아스과 중에서 가장 작은종이다.
5. 크립톱사라스속
5.1. 크립톱사라스 코우에시
크립톱사라스 코우에시 triplewart seadevil | |
| |
학명 | Cryptopsaras couesii (T. N. Gill, 1883)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 |
크립톱사라스속(Diceratias) |
1883년에 어류학자인 시어도어 N. 길[5]이 기술했다.
거의 전세계 바다 수심 75~4000m깊이에서 서식한다
삼 사마귀 바다 악마(triplewart seadevil)라고도 불린다.
암컷의 경우 20~30cm, 수컷의 경우 1~3cm이다
[1] 최대 122cm 까지 자라는 종[2] John R. Norman[3] 남반구에서만 발견돼서 이 이름 인 것 같다.[4] J. murray[5] Theodore Nicholas G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