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시즌 참가 구단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555555,#aaaaaa | | | | | |
| | | | ||
| | | | ||
| | | | ||
◀ | ▶ |
<colbgcolor=#372180> 크리아상 신주쿠 | |
Criacao Shinjuku | |
<colcolor=#fff> 정식 명칭 | Criacao Shinjuku (영어) クリアソン新宿 (일본어) |
라이센스 | J3(조건부) |
창단 | 2005년 |
소속 리그 | |
연고지 | 도쿄도 신주쿠구 |
홈구장 | 미정[1] |
대표 | 마루야마 카즈토모 (丸山和大) |
감독 | 기타지마 히데아키 (北嶋 秀朗) |
공식 웹사이트 | | | | | |
우승 기록 | |
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 (1회) | 2021 |
간토 1부 리그 (1회) | 2021 |
간토 2부 리그 (1회) | 2019 |
도쿄도 1부 리그 (1회) | 2014 |
도쿄도 2부 리그 (1회) | 2013[2] |
도쿄도 3부 리그 (1회) | 2011[3] |
[clearfix]
1. 개요
일본 도쿄도 신주쿠구를 연고지로 하는 축구단이다.하지만 연고지인 신주쿠는 대도심의 중심지라 축구 경기장이나 트레이닝 시설을 건축할 부지 마련이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명확한 홈 경기장 없이 도쿄도 내의 다양한 구장을 떠돌면서 홈경기를 치르고 있다.
2023년 J3리그 클럽 라이센스를 발급받았으나, 연고지 내에 경기장이 없음에도 도쿄 23구 연고라는 점에서 특별허가를 받은 케이스라 많은 논란이 일었다.
2. 역사
마루야마 카즈토모가 릿쿄대학 재학 시절 동아리 축구부를 조직한 것이 시작으로, 2005년 졸업 이후에도 축구를 계속할 수 있는 커뮤니티 팀을 목적으로 창단했다. 팀명인 크리아상은 창조의 포르투갈어 단어.2012년 주식회사 크리아상을 창립하고 본격적인 클럽 축구 무대에 뛰어든다. 이후 2018년 신주쿠구를 연고지로 삼아 크리아상 신주쿠라는 현재의 팀명이 완성되었으며, 2020년 신주쿠구와 연고지 협약을 체결하며 신주쿠구를 연고지로 한 최초의 스포츠 구단이 되었다.
2021년 J리그 백년구상 클럽 승인을 받았으며, 2023년에는 J3리그 클럽 라이센스를 발급받으며 도쿄 23구 내에서는 최초의 프로축구팀 자격을 취득했다.
3. 홈구장
개요의 언급과 같이 현재의 크리아상 신주쿠는 명확한 홈 구장이 없는 떠돌이 신세다.신주쿠에는 정작 축구 경기를 치룰 시설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야말로 일본 축구계의 홍철 없는 홍철팀인 셈.
구단 측에서는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의 문제로 생각한다며, 클럽이 자리를 잡고 난 후 제대로 된 경기장을 건립하는 것이 목표라는 의견을 밝혔으나, 너무나도 특수한 사례이다보니 일본 축구계에서도 여러모로 논란이 되는 부분이다.
J3리그 클럽 라이센스 발급 조건에 따라 도쿄 23구 내에서 80% 이상의 경기를 치러야 하며, 2024년 기준 크리아상 신주쿠가 홈 경기를 진행한 경기장은 아래와 같다.
3.1. 고마자와 올림픽공원 종합운동장
駒沢オリンピック公園総合運動場陸上競技場.세타가야구의 수용인원 2만석 규모 종합운동장으로, 가장 가까운 역은 코마자와다이가쿠역.
1962년 건립되고 1964년 도쿄 올림픽 당시 축구 경기장으로 사용됐던 곳으로, 과거 J리그 소속 도쿄 팀들도 홈 경기장으로 사용을 타진했으나 설비가 노후화되어 야간경기가 어려운 관계로 몇경기 사용하는데 그쳤다.
3.2. AGF 필드
AGFフィールド.초후시에 있는 아지노모토 스타디움의 부속 경기장으로, 수용인원 800석 규모의 종합운동장이다.
도쿄도를 대표하는 FC 도쿄와 도쿄 베르디 근처에서 경기를 치루기 때문에 기존 도쿄 팬들에게 익숙한 장소.
3.3. 아지노모토 필드 니시가오카
味の素フィールド西が丘.키타구에 있는 축구 전용구장으로, 수용인원 7,258명 규모.
원래 이름은 국립 니시가오카 축구장이지만, 네이밍 라이츠를 판매하여 아지노모토의 이름이 붙었다.
1972년 종합운동장으로 완공되었으나, 이후 축구 전용구장으로 리모델링되었다.
앞서 언급한 AGF 필드가 소재한 아지노모토 스타디움과는 다른 장소이나, 네이밍 스폰서가 똑같기 때문이 혼동의 우려가 있다.
23구 내의 축구 전용구장이라는 이유에서 사실상 가장 많은 경기를 소화하고 있는 장소.
3.4. 스피어스 에도리쿠 필드
スピアーズえどりくフィールド.에도가와구에 있는 종합운동장으로, 수용인원 7,000명 규모.
간토 사커 리그 소속 도쿄 23 FC가 메인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는 경기장이다.
3.5. 도쿄 국립경기장
国立競技場.2020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새로 개장한 일본을 대표하는 경기장으로, 수용인원은 7만명에 육박하는 규모.
국책 사업으로 거대한 경기장을 지어놓았으나 홈 구장으로 사용하는 팀이 없어 J리그 팀은 의무적으로 경기를 치러야 하는 상태.
JFL 팬 규모에 비해서는 너무나도 거대한 경기장이라, 여기서 경기가 열리면 한산한 경기장을 볼 수 있다.
4. 마스코트
크리아상 신주쿠의 마스코트는 쿠리아냥이다.
5. 논란
앞서 언급된 홈구장 문제에 더해, 일반적으로 서포터즈가 주도하는 축구 응원과는 달리 구단 측에서 직접 응원단을 조직해 응원을 주도하는 팬 문화를 고집하고 있어 기존 일본 축구 팬들에게는 이단아 취급을 받고 있다.야구와 비슷한 형태의 응원문화를 꿈꾸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각 종목간의 차이로 인해 그리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199332><tablewidth=300><tablebgcolor=#199332>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사회인 야구 기업부 | |||
JR 동일본 | 도쿄 가스 | NTT 동일본 | 세가 사미 | |
일본 풋볼 리그 | 간토 사커 1부 리그 | |||
크리아상 신주쿠 | 난카츠 SC | 도쿄 유나이티드 FC | 도쿄 23 FC | |
간토 사커 1부 리그 | 간토 사커 2부 리그 | 나데시코 리그 디비전 1 | SV.리그 남자부 | |
에리스 도쿄 FC | 히타치 빌딩시스템 축구부 | 스피다 세타가야 FC | 도쿄 그레이트베어스 | |
V.리그 여자부 | 재팬 럭비 리그 원 디비전 1 | 재팬 럭비 리그 원 디비전 2 | ||
도쿄 선 빔즈 | 블랙 램스 도쿄 | 도쿄 산토리 선골리앗 | 시미즈 건설 고토 블루 샤크스 | |
F리그 디비전 1 | F리그 디비전 2 | J 프로투어 | ||
후우가도르 스미다 | 시나가와 시티 풋살 클럽 | 리가레비아 카츠시카 | 이나기 FIETS 클래스액트 | |
J 프로투어 | ||||
팀 사이클러스 SNEL | ||||
◀ 도쿄도 구부 연고 프로 구단 보기 | 도쿄도 타마 지역 연고 프로 구단 보기 ▶ | |||
도쿄도 타마 지역 연고 기타 구단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