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6-13 23:47:40

클라멜리사우루스

클라멜리사우루스
Klamelisaurus
학명 Klamelisaurus gobiensis
Zhao, 1993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미분류 석형류Sauropsida
용반목Saurischia
아목 용각아목Sauropodomorpha
하목 †용각하목Sauropoda
†마멘키사우루스과Mamenchisauridae
클라멜리사우루스속Klamelisaurus
[[생물 분류 단계#종|{{{#000 }}}]]
  • †클라멜리사우루스 고비엔시스 (K. gobiensis)모식종

1. 소개2. 발견의 역사3. 특징4. 벨루사우루스와 동일종?5. 생태6. 기타

1. 소개

쥐라기 후기 중국에서 살았던 중형 용각류. 속명의 뜻은 '켈라마일리의 도마뱀'.

2. 발견의 역사

1982년에 처음 발견되었고 1993년에 속명이 붙여졌다. 화석은 목뼈, 갈비뼈, 다리뼈,그리고 골반으로 구성된다. 1993년 자오는 이 녀석을 클라멜리사우루스 고비엔시스라고 명명하였다.

이 녀석의 화석은 2020년 앤드루 무어가 다시 설명될 때까지 제한적인 관심을 받았다.

3. 특징

경추는 키가 큰 신경가시가 있었고 신경가시의 융가선에는 판 모양의 확장이 있다. 자오는 이 녀석의 앞다리는 뒷다리 길이의 4분의 3이고 척골과 경골은 상완골과 대퇴골 길이의 3분의 2라고 하였다.

4. 벨루사우루스와 동일종?

그레고리 폴은 벨루사우루스의 동물이명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다 2020년 클라멜리사우루스에 대한 재설명에서 벨루사우루스는 이 녀석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였다. 벨루사우루스는 경부에서 공기 공간이 약하게 닿을 수 있는 전방을 소유했다. 목뼈만 가지고 어린 벨루사우루스가 목뼈에 공기 공간이 있고 거대한 성체로 자랄 수 있다는 가설을 반박할 수 없었다고 한다. 한편 이 공룡은 목에 공기의 공간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벨루사우루스가 이 녀석에게는 없는 등의 가시와 신경궁에 기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했는데 이는 마멘키사우루스과의 특징과 반대이다. 무어와 동료들은 시간적과 해부학적 차이를 고려하여 이 녀석과 벨루사우루스를 구별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나이에 따라 다를 수 있는 특징도 언급했다. 뒤쪽 등 쪽에 있는 돌기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된 날개 모양의 돌기의 존재이다.

5. 생태

벨루사우루스 등의 동물과 공존했으며, 주요 천적은 모놀로포사우루스였을 것으로 보이는데, 벨루사우루스와 달리 덩치가 큰 편이라 성체는 어느 정도 몸을 지킬 수 있었을 것이다.

6. 기타


[1] 모놀로포사우루스 한 마리는 정면에서 클라멜리사우루스의 앞발을 올려다보고 있고, 나머지 한 마리는 뒷다리를 공격하려고 하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