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TV, 라디오 방송의 녹화 테이프를 이용한 중계방식으로 주로 방송국에서 녹화한 테이프를 각 지방의 방송사들에 배포하여 중계한다.한국에서는 1970년대 TBC의 부산지국에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중계한 것과 1993년 9월부터 SBS가 지방의 중계유선방송으로 테이프를 공급하여 중계되었으며[1], 일본에서는 1986년 스타 채널이 해당 방식으로 중계된걸로 알려져 있다. 지금도 해당 방식으로 중계를 하는 방송사가 있는데 바로 극동방송이다.[2][3]
테이프 넷은 일본식 용어로 영어로는 Broadcast syndication라고 한다.
2. 장점
- 테이프를 각 방송사에 배포하기에 라인 넷으로 대표되는 지상, 위성파 보다 저렴하게 중계할수 있다.
- 인공위성을 보유하지 못한 경우 중계수단이 될수 있다.[4]
- 지상파 중계와 다르게 테이프의 관리상태가 좋을 경우 품질이 일정하다.
3. 단점
- 원 방송사에서 테이프를 배포중에 분실하거나 내부자의 유출로 해적판이 나올 수 있다.
- 테이프라는 물리매체의 특성상 영상이나 음성신호의 품질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 관리하기가 까다롭다. 위의 장점과 다르게 방송사별로 품질의 차이가 날수 있다. 대부분의 방송사가 테이프리스 시스템으로 이행한 현재 품질 차이는 많이 줄어들었다.
- 배포받은 방송사가 망하면 수많은 자료들이 날아간다.
- 생방송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을 동시에 중계 할 수가 없다.[5]
- 방송 프로그램 별로 중계유선방송 등으로 배포할 경우 프로그램마다 무한 재방송이 일어날 수 있다.
- 테이프의 배송 기간이 지연되면[6] 바로 다음날에 중계를 할 수가 없다.
[1] 해당 중계방식으로 덕을 본 드라마가 다름아닌 모래시계다.[2] 물론 극동방송이 마이크로웨이브망을 설치를 맘만 먹으면 할 수 있으나 극동방송 이사장인 김장환 목사 때문에 계속 이방식을 고수한다. 다만 최근엔 인터넷 코덱을 이용해 전국을 대상으로한 일부 방송은 방송 회선을 통한 코덱으로 동시송출한다.[3] 일본에서는 이런일이 허다하다.[4] SHF대역을 이용하는 마이크로파는 비용 문제가 크며 일정 거리마다 중계소를 설치해야한다.[5] 대표적으로 뉴스나 스포츠 중계가 있다. 실제로 이 방식을 사용했던 TBC 부산지국의 경우 뉴스는 어쩔수 없이 100% 자체제작으로 방영했었다고 한다.[6] 특히 자연재해로 인해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