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20:16:30

토르(마블 라이벌즈)


파일:마블 라이벌즈_로고.png
마블 라이벌즈 등장 영웅
역할군 내 가나다순 정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ax-width:10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font-size:0.88em; margin: 5px 0px 13px"
파일:Marvel Rivals_Vanguard.png
[[그루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그루트 프로필.png
그루트
]]
[[닥터 스트레인지(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닥터 스트레인지 프로필.png
닥터 스트레인지
]]
[[매그니토(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매그니토 프로필.png
매그니토
]]
[[베놈(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베놈 프로필.png
베놈
]]
[[씽(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씽 프로필.png
]]
[[캡틴 아메리카(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캡틴 아메리카 프로필.png
캡틴 아메리카
]]
[[토르(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토르 프로필.png
토르
]]
[[페니 파커(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페니 파커 프로필.png
페니 파커
]]
[[헐크(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헐크 프로필.png
헐크
]]
파일:Marvel Rivals_Duelist.png
[[네이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네이머 프로필.png
네이머
]]
[[매직(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매직 프로필.png
매직
]]
[[미스터 판타스틱(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미스터 판타스틱 프로필.png
미스터 판타스틱
]]
[[문 나이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문 나이트 프로필.png
문 나이트
]]
[[블랙 위도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블랙 위도우 프로필.png
블랙 위도우
]]
[[블랙 팬서(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블랙 팬서 프로필.png
블랙 팬서
]]
[[사일록(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사일록 프로필.png
사일록
]]
[[스칼렛 위치(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칼렛 위치 프로필.png
스칼렛 위치
]]
[[스쿼럴 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쿼럴 걸 프로필.png
스쿼럴 걸
]]
[[스타로드(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타로드 프로필.png
스타로드
]]
[[스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톰 프로필.png
스톰
]]
[[스파이더맨(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파이더맨 프로필.png
스파이더맨
]]
[[아이언맨(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아이언맨 프로필.png
아이언맨
]]
[[아이언 피스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아이언 피스트 프로필.png
아이언 피스트
]]
[[울버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울버린 프로필.png
울버린
]]
[[윈터 솔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윈터 솔져 프로필.png
윈터 솔져
]]
[[퍼니셔(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퍼니셔 프로필.png
퍼니셔
]]
[[호크아이(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호크아이 프로필.png
호크아이
]]
[[헬라(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헬라 프로필.png
헬라
]]
[[휴먼 토치(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휴먼 토치 프로필.png
휴먼 토치
]]
파일:Marvel Rivals_Strategist.png
[[로켓 라쿤(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로켓 라쿤 프로필.png
로켓 라쿤
]]
[[로키(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로키 프로필.png
로키
]]
[[루나 스노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루나 스노우 프로필.png
루나 스노우
]]
[[맨티스(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맨티스 프로필.png
맨티스
]]
[[아담 워록(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아담 워록 프로필.png
아담 워록
]]
[[인비저블 우먼(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인비저블 우먼 프로필.png
인비저블 우먼
]]
[[땅상어 제프(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땅상어 제프 프로필.png
땅상어 제프
]]
[[클록 앤 대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클록 앤 대거 프로필.png
클록 앤 대거
]]

}}}
||<|2><tablewidth=100%><tablealign=center><height=10px><#343346>
자세한 내용은 공식 사이트 참고
||
}}}}}}
<nopad> 파일:라이벌즈 토르.webp
오딘의 아들 토르는 천둥과 번개를 끊임없이 소환하여 적에게 끝없는 천둥의 분노를 쏟아부을 수 있다. 강력한 묠니르만 있으면 그는 손쉽게 전장의 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파일:Marvel Rivals_Vanguard.png
토르
<colbgcolor=#343346><colcolor=#fff> 본명 Thor Odinson
토르 오딘슨
성우 트래비스 윌링햄
난이도 파일:라이벌즈_찬 난이도 별.webp파일:라이벌즈_찬 난이도 별.webp파일:라이벌즈_찬 난이도 별.webp파일:라이벌즈_빈 난이도 별.webp파일:라이벌즈_빈 난이도 별.webp

1. 개요2. 스토리3. 능력 정보
3.1. 패시브 - 토르의 힘3.2. 일반 공격
3.2.1. 좌클릭 - 해머 강격
3.3. 스킬
3.3.1. 우클릭 - 해머 투척3.3.2. 좌 Shift - 라이트닝 스톰3.3.3. E - 천둥의 영역3.3.4. F - 룬의 각성3.3.5. Q - 천둥의 신
3.4. 협공 스킬
3.4.1. 패시브 - 토르 부활3.4.2. 패시브 - 신의 가호
4. 평가
4.1. 장점4.2. 단점
5. 패치 노트6. 전시
6.1. 코스튬
6.1.1. 기본
6.1.1.1. 토르
6.1.2. 희귀
6.1.2.1. 미드가르드 엄버
6.1.3. 특급
6.1.3.1. 갤럭투스의 전령
6.1.4. 전설
7. 기타

[clearfix]

1. 개요

>I am the god of thunder and the mightiest Avenger.

천둥의 신이자 가장 강력한 어벤져이니라.

TPS 게임 마블 라이벌즈의 등장 히어로. 토르 시리즈의 주인공이자, 어벤져스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인 토르 오딘슨이다.

2. 스토리

아스가르드의 왕자이자 천둥의 신인 토르 오딘슨은 그 용맹함으로 열 왕국에 이름을 떨쳤다. 토르는 마법의 망치로 천둥을 부를 수 있으며, 그 힘은 가히 적들을 굴복시킬 정도였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망치 '묠니르'에게 인정을 받아야 했다.

하지만 타임 스트림 카오스 이후 토르는 힘든 시간을 보냈다. 올파더는 오딘의 영면에 들었고, 로키와 토르는 왕좌를 놓고 싸움을 벌였다. 하지만 용맹함은 계략에 패배하고 말았고, 그렇게 토르는 멀고도 위험한 타임 라인으로 추방되었다.

3. 능력 정보

토르 기본 능력 정보
<colcolor=#fff> HP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000,#fff>525[1]
이동 속도 6m/s

해머 강격과 근접 공격 버튼을 공유한다.

3.1. 패시브 - 토르의 힘

파일:토르_토르의 힘.webp 천둥 에너지를 소모하면 추가 HP를 획득하며, 다음 해머 강격으로 적을 명중하면 천둥 에너지를 회복합니다.
<colcolor=#000,#fff>최대 천둥 에너지: 3
천둥 에너지 회복 속도: 개 당 5초
천둥 에너지 당 보너스 HP : 100(소모한 천둥에너지 1당, 최대 200)

화면 중앙에 위치한 묠니르 모양의 스톡이자 토르 운용의 핵심.

토르의 근거리 난투 유지력을 챙겨주는 패시브로 사실상 E 스킬을 제외한 모든 스킬을 사용할 때마다 일시적으로 100의 추가 HP[2]을 얻는다. 추가 HP는 최대 200까지 중첩된다.

토르는 모든 스킬을 사용 후 (룬의 각성은 효과 종료 이후) 5초간 묠니르가 푸르게 빛나며 이 때 적 히어로를 평타(해머 강격)로 적중 시킬 시 천둥 에너지 1 스택을 획득할 수 있다.

이 점을 잘 알고 활용하느냐 못 하느냐에 따라 토르의 전체 운용과 성능은 천차만별로 차이가 나는데, 기본 툴팁에서 이 사실을 알려주지 않는다. 토르를 익히려면 반드시 알아야하는 부분.

3.2. 일반 공격

3.2.1. 좌클릭 - 해머 강격

파일:토르_해머 강격.webp 파일:마우스 좌클릭 [마블 라이벌즈].png 망치를 휘두르며, 각성 시 아크 파동을 발사합니다.
<colcolor=#000,#fff>유형: 근접
최대 거리: 4m
공격 주기: 0.6
피해: 45

묠니르를 휘둘러 피해를 입힌다. 글로벌 쿨타임이 있는 토르에 딜 공백을 채울 수 있는 공격이니 DPS 75로 그럭저럭 나쁘지도 않으니 많이 휘두르는 게 좋다. 패시브 항목에 서술했듯 스킬 이후 연계하여 천둥 에너지 스택을 획득 가능하니 스킬 사이사이 꾸준히 섞어주어야 한다.

3.3. 스킬

E 스킬을 제외한 토르의 모든 일반 스킬들은 시전하면 다른 스킬들이 글로벌 쿨타임 2초를 갖는다.

3.3.1. 우클릭 - 해머 투척

파일:토르_해머 투척.webp 파일:마우스 우클릭 [마블 라이벌즈].png 전방에 묠니르를 던지며, 회수할 수 있습니다.
<colcolor=#000,#fff>최대 거리: 24m
발사체 속도: 60m/s, 80m/s(복귀)
피해: 70, 30(복귀)
소모되는 천둥 에너지: 1
치명타 판정: 없음

토르의 유일한 원거리 기술. 난전 상황에서 유일하게 천둥 에너지를 소모하기 편한 기술이기도 하다.

라이트닝 스톰은 차징을 해야 효율이 좋고, 룬의 각성은 천둥 에너지를 3개나 소모하기에 즉각적인 추가 HP 생성이 목적이라면, 해머 투척 만큼 좋은 기술도 없다.

3.3.2. 좌 Shift - 라이트닝 스톰

파일:토르_라이트닝 스톰.webp 길게 누르면 묠니르를 회전시켜 전방으로 돌진한 후 적을 넉백시킵니다.
<colcolor=#000,#fff>최대 충전시간: 2초
돌진 거리: 10m~20m(최대), 6m~13m(적을 넉백 시)
피해: 40~60(최대)
소모되는 천둥 에너지: 1

토르의 돌진기. 차징할수록 돌진과 넉백시키는 거리와 피해가 늘어난다.

3.3.3. E - 천둥의 영역

파일:토르_천둥의 영역.webp 천둥의 영역을 시전하여 명중한 적의 수에 따라 천둥 에너지를 회복합니다.
<colcolor=#000,#fff>범위: 5m
지속 시간: 4초
피해: 40
쿨타임: 12초

경계를 넘는 적들은 피해와 30% 둔화가 걸린다.

3.3.4. F - 룬의 각성

파일:토르_룬의 각성.webp 천둥 에너지를 소모하여 각성 상태가 되며, 추가 HP를 획득하고 해머 강격의 위력을 증가합니다.
<colcolor=#000,#fff>유형: 능력 강화
투사체 속도: 60m/s
범위: 반경 3m
지속 시간: 5초
피해: 70(투사체), 30(주변 광역 피해)
추가 HP 지속 시간: 2.5초
소모되는 천둥 에너지: 3

주변 적에게 번개 피해를 주면서 평타를 강화시켜 번개를 던지는 원거리로 만든다.

이 상태에선 궁극기를 제외한 스킬들을 사용할 수 없다.

3.3.5. Q - 천둥의 신

파일:토르_천둥의 신.webp 비행 후 낙하하며 지면을 폭격하여 범위 내 적에게 피해를 입힙니다.
<colcolor=#000,#fff>범위: 반경 8m, 높이 20m
비행 높이: 9m
지속 시간: 1.5초
피해: 0.5초당 40, 낙하 피해 220
에너지 비용: 3100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1c1d1f>"Behold the God of Thunder!"
(천둥의 신을 보라!)
― 적군 또는 본인 사용

"I am Asgard's might!"
(나는 아스가르드 왕국의 힘 그 자체다)
― 아군 사용
||


기를 모으는 동안 스페이스바를 누를 수록 위로 상승하고 저지 불가를 얻는다.

일단 총합 피해는 340이라 높아 보이지만, 지속 시간에 걸쳐서 40씩 주기에 힐 한방에 복구되기 십상이고 1.5초동안 공중에 강제적으로 떠있어야해서 적의 화망에 맞기 쉽다. 또 그 시간이면 적들이 걸어서 도망칠 수 있는 거리이고 그렇다고 내려찍는 피해가 높냐면 그것도 아닌 것이 220은 평균 HP 250의 영웅들을 한 방에 죽이지도 못하는 아쉬운 피해를 가지고 있다.

즉, 1.5초 동안의 기다림으로 얻는 메리트가 크지도 않고, 강제적으로 하늘에서 적의 화망에만 집중되어야 하는 이 궁극기는 마블 라이벌즈에서 최악의 궁극기 중 하나로 꼽힌다.

그래도 글로벌 쿨타임이 있는 토르에게는 그나마 연달아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이기에 눈물을 삼키고 사용하는 중이다.

3.4. 협공 스킬

3.4.1. 패시브 - 토르 부활

파일:협공 스킬_라그나로크 부활.webp 헬라가 적에게 최후의 일격을 가할 시 일정 범위 내 부활 중인 로키와 토르를 제자리에서 부활시킬 수 있습니다. 로키와 토르가 생존 중일 경우 까마귀 1마리가 로키와 토르에게 날아와 추가 HP를 부여합니다.
<colcolor=#000,#fff>부활 후 체력 비율: 80%
추가 HP: 50
부활 지연: 1.5초
필요 영웅: 파일:Marvel Rivals-Heroes_헬라 프로필.png

팀에 헬라가 있으면, 헬라가 적에게 결정타를 날릴 시 부활 중인 토르와 로키를 즉시 부활시켜줄 수 있다.

만약 이미 토르와 로키가 살아있다면, 추가 HP를 부여해준다.

마지막 지역 장악을 비비고 있을 때 큰 힘이 되어 줄 수 있는 강력한 능력이다.

3.4.2. 패시브 - 신의 가호

파일:협공 스킬_신의 가호.webp 토르가 스톰과 캡틴 아메리카에게 가호 상태일 때 스톰이 연속 공격을 시전할 수 있습니다. 토르의 힘을 주입하여 번개의 가호를 부여합니다. 가호 상태일 때 캡틴 아메리카의 이동 속도가 증가하고 방패에 번개 에너지가 부여되어 주변의 적에게 전기 타격을 줍니다.
<colcolor=#000,#fff>협공 핵심: +100 최대 HP
지원 영웅: 파일:Marvel Rivals-Heroes_스톰 프로필.png 파일:Marvel Rivals-Heroes_캡틴 아메리카 프로필.png

토르가 스톰캡틴 아메리카를 강화시켜주는 패시브. 자신도 기본 HP 100을 얻는다.

캡틴 아메리카도 같은 브루저라 정말 끈질긴 딜탱 둘을 볼 수 있다.

스톰도 메타에 좋을 수록 더더욱 강해질 수 있어 토르가 티어가 안좋더라도 나올 일이 생긴다.

4. 평가

마블 라이벌즈의 대표적인 전사형 돌격군이자 브루저.[3] 정직한 정면 싸움보다는 적 진영에 침투해 진영 붕괴와 포커싱을 유도하는 공격적인 플레이를 선호한다.

다만, 토르는 글로벌 쿨타임과 천둥 에너지라는 불안정적한 메커니즘과 상황을 타는 화력, 방어 능력 때문에 아군에 대한 의존도가 심한 영웅이기도 하다. 전반적인 영웅 상성도 심하게 타고 한계도 명확해서 성능이 좋은 영웅일 순 있어도, 언제나 확고한 만능 영웅은 될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4.1. 장점

  • 높은 생존력의 추가 HP 생성 패시브
    토르의 기본 스킬은 사실상 생존을 동시에 겸하고 있다. E 스킬과 궁극기를 제외한 모든 스킬이 천둥 에너지를 소모하기에 패시브로 생기는 추가 HP가 토르의 근접 전투력과 생존력을 비약적으로 올려준다. 딜량도 좋은 토르가 패시브 중첩이 최대가 되면 탱커 중에서도 HP 상위권을 차지하게 된다.
  • 강한 근거리 난전 능력
    토르는 난전에서 강하다. 룬의 각성(F)은 토르에게 추가체력을 줄뿐더러 기본공격을 원거리로 만들고 피해를 크게 증가시켜준다. 유효 사거리 60m에 Dps 140 가량의 원거리 공격을 던지며, 자신의 주변에는 초당 30의 번개 피해를 준다. 토르와 근접에서 손을 섞으면 Dps 170 정도의 위협에 노출되는 셈인데, 이 정도면 여타 듀얼리스트들과 비교해도 꿇리지 않는다. 그런데 토르는 기본적으로 뱅가드 히어로다. 보호막을 잘 돌린다면 실질 체력 700~800 수준의 체급을 가진 히어로가 딜러급 딜량을 발사하면서 날뛰어대니 전위 싸움or난투극에 존재감이 크다. 천둥 에너지 수급이 원활한 근접 난투가 이어진다면 토르는 2초마다 해머 투척(우클릭)을 통해서 100의 보호막을 수급하며 끈질기게 버티다가, 적의 체력이 떨어지거나 아군의 케어가 충분해 보호막을 계속 돌릴 필요가 없다 싶으면 룬의 각성(F)을 키고 번개를 뿌려대고, 룬의 각성이 끝나도 천둥의 영역(E)을 통해 슬로우와 다시 채운 천둥 에너지로 적을 물고 늘어지며 끈질기게 괴롭히는게 가능하다. 이런 난전 능력 덕에 토르는 대부분의 상황에서 모든 뱅가드에게 1:1 싸움에서 우위를 점하고, 탱커의 악몽이라 불리는 울버린도 기습을 당하지만 않는다면 토르가 역으로 지져버린다.

4.2. 단점

  • 자체 페널티로 인한 불편한 운용법
    토르의 스킬들은 천둥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E 스킬로 천둥 에너지를 확보하는 데 실패했다면 스킬을 사용할 수 없고 추가 HP을 획득할 수도 이동기인 라이트닝 스톰을 시전할 수도 없는 물살 뚜벅이가 돼버린다. 또한 토르는 E 스킬과 궁극기를 제외한 모든 스킬들이 쿨타임 2초를 공유한다.[4] 즉 스킬을 동시에 시전할 수 없어 적을 빠르게 누킹하지 못하고 정직하게 싸워야 한다.[5]
  • 짧은 교전 거리
    토르의 일반 공격인 해머 강격은 사거리가 4m 밖에 안되며, 해머 투척이나 룬의 각성도 사거리가 길기는 하지만 짧은 지속 시간과 천둥 에너지 소모값, 쿨타임이 높아 제 역할을 수행하려면 직접 뛰어들어서 일반 공격으로 적을 물고 늘어지는 수밖에 없다. 적과 붙어야 뭐라도 할 수 있는 주제에 막상 붙어도 위협적인 피해를 주기 힘들어서 적의 집중 공격에 당하기 쉽다. 또한 적들이 거리를 벌린다면 쿨타임을 공유한다는 단점때문에 스킬을 쓴 상황에서 적이 거리를 벌려서 토르에게 딜을 넣게 된다면 가차없이 죽어야 한다는 것도 매우 큰 악재다.
  • 단순하고 한계가 많은 기동력, 상황과 숙련도에 따라 달라지는 생존력
    토르의 라이트닝 스톰은 훌륭한 이동기지만 온갖 변칙적인 움직임을 보여주는 캡틴 아메리카, 헐크, 베놈과 다르게 굉장히 단순한 편이라 적에게 동선을 읽혀 진입 하자마자 곧바로 반격 당하기 쉽다. 사물에 부딪치면 그대로 돌진이 끊기기 때문에 좁은 실내에선 라이트닝 스톰의 기동력을 활용하기 어렵다. 심지어 2초 동안 길게 차징하는 기술이기에 상대방이 대응하기 쉬워서 상대가 CC기를 꽃거나 온갖 화력을 집중하면 아군의 도움 없이는 무력하게 당할 수밖에 없다. 찰나의 판단 실수, 아군의 호응 부재, 적군의 화력과 CC 집중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너무나도 쉽게 죽을 수 있어 토르의 생존력은 전체적인 상황이 받쳐주지 않으면 탱커 영웅중 데스 비율이 높은 편이다.
  • 저열한 성능의 궁극기
    토르의 궁극기는 뱅가드 역할군 중에서는 물론 마블 라이벌즈 전체를 통틀어도 가장 평가가 나쁘다. 별다른 쉴드나 피해 감소도 없이 공중에 1.5초간 떠있다가 내려 찍는 것 뿐인데. 내려 찍는 대미지가 220으로 마블 라이벌즈의 그 어떤 히어로도 풀피 원 킬을 낼 수 없다. 120의 지속딜을 합하면 총 340의 대미지긴 하지만 40의 미약한 대미지를 3틱에 거쳐 입히는데, 이 정도면 마블 라이벌즈의 그 어떤 전략가 히어로도 충분히 수복이 가능한 피해라 상대가 토르의 궁이 뭔지도 모르는 초보들이라 패닉에 빠져서 아무런 대처를 못했거나 다른 아군의 공격과 연계시킨게 아니면 정말 이걸 맞고 죽을 일이 없다. 궁극기가 살상력으로만 말하는게 아니라고 좋게 생각해보려 해도 토르의 궁은 CC기나 다른 유틸성, 하다 못해 아주 잠깐의 둔화조차 없이 정말 오로지 대미지만 달려 있는 궁이기에... 한타를 한번에 뒤엎을만한 잠재력이 있는 다른 히어로들의 궁과 비교하면 초라한 궁이란 사실을 부정할 수가 없다.
  • 아군 보호능력 전무
    S0~S1 기준으로 고 티어권에서 토르의 평가를 왕창 깎아먹는 주된 요인. 현재 마블 라이벌즈의 뱅가드 중 아군 보호능력이 아예 전무한 캐릭터는 베놈과 토르, 페니 파커 이렇게 셋인데, 베놈은 탱커 중 최고의 기동성과 훌룡한 유틸성으로 적진에 다이브해서 전선을 무너뜨리는 역할을 맡고, 페니 파커는 뛰어난 자생 능력과 지뢰, 스파이더 웹으로 거점을 수비하는 능력이 뛰어나다고 평가 받는다. 그런데 뛰어난 기동성도 별 다른 유틸 능력도 없는 토르는 오로지 우직하게 적의 딜을 버티며 자기가 딜을 넣는 브루져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사실상 체급이 뛰어난 대신 딜링에 조건부가 달린 듀얼리스트 정도의 취급이다. 역할군 숫자 제한도 없고, 게임 도중에도 히어로 변경이 자유로운 게임 특징 상 대부분의 상황에서 팀원들은 아군 보호능력 or 적진 붕괴능력이 뛰어난 다른 뱅가드 히어로를 원하지, 유사 브루져를 원하지 않는다.

5. 패치 노트

  • 2025년 1월 10일
    • 버프: 기본 생명력이 500에서 525로 증가
    • 천둥의 신
      • 버프: 궁극기 시전동안 저지불가 상태로 변경

6. 전시

6.1. 코스튬

6.1.1. 기본

6.1.1.1. 토르
<nopad>
파일:토르 토르 아이콘.webp
파일:토르_토르.webp
아이콘 토르

토르의 기본 스킨.

6.1.2. 희귀

6.1.2.1. 미드가르드 엄버
<nopad>
파일:토르 미드가르드 엄버 아이콘.webp
파일:토르_미드가르드 엄버.webp
아이콘 토르
"하! 아직도 지난 핌불베르트의 긴 밤, 미드가르드 전사들과 함께 싸웠던 날들이 떠오르는 군! 우린 긴 배를 타고 여러 곳에서 전투를 벌였고, 잉글랜드..."
<colcolor=#000,#fff><마블 라이벌즈> SO에서 첫 등장

청록생 풍의 스킨.

6.1.3. 특급

6.1.3.1. 갤럭투스의 전령
<nopad>
파일:토르 갤럭투스의 전령 아이콘.webp
파일:토르_갤럭투스의 전령.webp
아이콘 토르
"이 우주에는 토르가 있다. 그는 아스가르드의 주인이자 천둥의 신이며, 갤럭투스의 전령이다. 어둠의 겨울이 예언한 모든 재앙에 직면한 그는 말했..."
<colcolor=#000,#fff><토르> (2020) 제 1화에서 첫 등장

천둥의 전령이 된 토르의 모습을 반영한 스킨. 보러가기

6.1.4. 전설

6.1.4.1. 토르4: 러브 앤 썬더
<nopad>
파일:토르 토르4 러브 앤 썬더 아이콘.webp
파일:토르_토르4 러브 앤 썬더.webp
아이콘 토르
"확실히 알아야겠어. 내가 누구인지."
<colcolor=#000,#fff>MARVEL 스튜디오 <토르4: 러브 앤 썬더> (2022)에서 등장

2022년에 개봉된 실사 마블 영화 토르: 러브 앤 썬더에서 등장한 토르(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모습.

7. 기타


[1] 뱅가드 역할군 중 가장 체력 수치가 낮다. 후술할 F 스킬의 추가 체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2] F - 룬의 각성은 200[3] 비슷한 포지션인 캡틴 아메리카가 특유의 기동력으로 평타로 순간적인 딜을 우겨넣는 방식이라면 토르는 정직하게 스킬 위주로 지속적인 딜을 넣는다.[4] 패시브에 대한 페널티로 추정.[5] 비슷한 근접 브루저 캡틴 아메리카가 빠르게 적을 누킹하는 식으로 딜을 넣는 걸 생각하면 커다란 단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