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09:13:04

틀:타이틀곡

[[@문서명@|
@문서명=타이틀곡@
@제목=타이틀곡@
]]
[[@문서명@#@앵커@|
@앵커=타이틀곡@
@제목=타이틀곡@
]]


1. 개요2. 매개 변수3. 예시
3.1. 기본 형태3.2. 단색 배경3.3. 그라데이션 배경
4. 유의사항

1. 개요

음반 문서에서 타이틀곡 표기 시 사용하는 틀 입니다.

2. 매개 변수

사용할 수 있는 매개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include(틀:타이틀곡, 문서명=, 앵커=, 제목=, 배경색=, 형태=, 방향=, 그라데이션=, 글자색=, 테두리색=)]
  • 문서명
    클릭했을 때 이동할 문서를 정합니다.
  • 앵커
    클릭했을 때 이동할, 문서의 앵커를 선언합니다. 생략할 수 있습니다.
  • 제목
    출력되는 텍스트를 선언합니다. 생략하면 문서명이, 앵커가 있으면 앵커에 선언한 내용이 출력됩니다.
  • 배경색
    헥스 코드, CSS 색상명으로 배경색을 선언합니다. 배경색은 그라데이션 뒤에 그려집니다. 기본값은 gray, #808080입니다.
  • 형태
    그라데이션의 형태를 선언합니다. conic(원형), linear(선형), radial(회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생략할 경우 기본값은 linear입니다.
  • 방향
    선형 그라데이션의 방향, 원형 그라데이션의 중심, 회전 그라데이션의 시작 지점을 선언합니다. 기본값은 to right으로 원형과 회전 그라데이션을 사용할 때는 꼭 방향 매개변수를 지정해야합니다.
  • 그라데이션
    그라데이션에 넣을 색상을 선언합니다. 쉼표(,) 앞에 반드시 백슬래시(\)를 입력해야 합니다.
  • 글자색
    헥스 코드, CSS 색상명으로 글자의 색을 선언합니다. 기본값은 white, #ffffff입니다.
  • 테두리색
    헥스 코드, CSS 색상명으로 테두리색을 선언합니다. 기본값은 none입니다.

3. 예시

3.1. 기본 형태

'''
타이틀곡
'''
[include(틀:타이틀곡)]
  • 단순 틀 삽입 시 해당 형태로 작동합니다.
  • 문서 내에서 include 문법을 통해 위와 같이 호출해줍니다.
  • 클릭 시 페이지가 새로고침 됩니다.

3.2. 단색 배경

[[사랑을 했다|'''
사랑을 했다 (LOVE SCENARIO)
''']]
[include(틀:타이틀곡, 문서명=사랑을 했다, 제목=사랑을 했다 (LOVE SCENARIO), 배경색=#8c0a0a, 글자색=#fff)]
  • 아래의 구문을 복사하여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3.3. 그라데이션 배경

'''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
'''
[include(틀:타이틀곡, 문서명=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 앵커=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 방향=to right, 그라데이션=#f5b103\, #fcb088\, #47a5d5\, #044386, 글자색=#fff)]
'''
Panorama
'''
[include(틀:타이틀곡, 문서명=One-reeler / Act IV, 앵커=Panorama, 배경색=#000, 형태=radial, 방향=circle at 50% 135%, 그라데이션=#202946 58%\, transparent 10%, 글자색=#fff)]

4. 유의사항

  • 배경색과 글자색은 나무위키:문법 도움말을 참조하여 #012abc 형태 혹은 red, gray 등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 해당 틀을 사용하여 씌운 음영 내부에서 글자 색상을 다르게 바꿀때는 #글자바꿀색상 형태로는 변경이 되지 않으며, 이전 본문<span style="color:#글자바꿀색상">바꾼 색상 적용</span>다음 본문 형태로 써야 합니다.
  • 이 틀이 문단 맨 앞에 오는 경우 틀 다음 내용이 강제개행되며, 강제개행을 막으려면 문단 맨 앞에 다음 중 하나를 넣어야 합니다.
    • 적당한 것
    • 일반 텍스트
    • {{{{{{#!wiki style="display:none"
}}}}}}
  • '''''' (작은 따옴표 6개로 굵게 표시하는 문법을 한번 호출함)
  • 첫글자나 마지막 글자에 공백을 추가로 더 넣어야 하는 경우 스페이스키로 공백을 입력하지 말고 &nbsp;를 입력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