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09:25:04

팬픽(FAN PICK)/비판 및 논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팬픽(FAN PICK)


1. 개요2. 오프라인 총점 조작 의혹3. 돌연 영상 삭제 4. 정구현 직캠 음원 편집 실수

1. 개요

오디션 프로그램 팬픽(FAN PICK) 비판 및 논란에 대해 정리한 문서.

2. 오프라인 총점 조작 의혹

팬픽(FAN PICK)은 2023년 8월 30일부터 2023년 10월 18일까지 총 8부작으로 편성해 MBC M을 통해 방영된 보이그룹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며 2023년 2월부터 국적 상관없이 14세 이상 남성들을 모집하였고 3000여 명의 지원자 중 최종 17인을 선발했다.

중도 하차 3인을 포함한 팬픽(FAN PICK)참가자 중 경력직 참가자는 청춘스타소년판타지를 참가한 박민근TO BE WORLD KLASS를 참가한 OCJ Newbies 소속 리키와 정구현을 포함한 3인이다.

이 중 경력직 참가자였던 박민근리키는 최종 파이널 미션에서 온라인 총점 198점과 오프라인 총점 160.7점을 합산한 종합 358.7점, 온라인 총점 193.4점과 오프라인 총점 159점을 합산한 종합 352.4점을 기록하며 각각 2위3위를 기록하며 최종 데뷔조인 PICKUS로 데뷔하게 되었다.[1]

하지만 정구현류한일은 최종 파이널 미션에서 정구현 온라인 총점 198.1점과 오프라인 총점 69.3점을 합산한 종합 267.4점을 기록하며 최종 10위, 류한일 온라인 총점 214.8점과 오프라인 총점 58.5점을 합산한 종합 273.3점을 기록하며 최종 9위로 프로그램을 마무리 짓게 되는데 온라인 총점과 오프라인 총점을 비교해 보면 상당히 기괴한 수치임을 알 수 있다.

파이널 미션을 기준으로 중도 하차 3인을 제외한 14인 중 온라인 총점과 오프라인 총점의 비율의 격차가 기괴할 정도로 심한 참가자 는 파이널 미션 선공개 투표에서 1위를 한 류한일과 2위를 한 정구현뿐이다. 온라인 총점 부문에서 각각 1위, 2위를 한 이 둘만 전체 참가자 중 오프라인 총점이 온라인 총점 부문과 두 배 이상 차이 인 것이 상당히 의아한 부분이다.
참가자 14인의 최종 점수와 등수이다.

  • 1위 - 유라 (데뷔)
    • 오프라인 총점: 204점
    • 온라인 총점: 166.5점
    • 합산: 370.5점

  • 2위 - 박민근 (데뷔)
    • 오프라인 총점: 160.7점
    • 온라인 총점: 198점
    • 합산: 358.7점

  • 3위 - 리키 (데뷔)
    • 오프라인 총점: 159점
    • 온라인 총점: 193.4점
    • 합산: 352.4점

  • 4위 - 남손 (데뷔)
    • 오프라인 총점: 168.3점
    • 온라인 총점: 167.1점
    • 합산: 335.4점

  • 5위 - 코타로 (데뷔)
    • 오프라인 총점: 174.3점
    • 온라인 총점: 136.9점
    • 합산: 311.2점

  • 6위 - 윤혜성 (데뷔)[2]
    • 오프라인 총점: 176.4점
    • 온라인 총점: 123.8점
    • 합산: 300.2점

  • 7위 - 오태환
    • 오프라인 총점: 152.4점
    • 온라인 총점: 130.4점
    • 합산: 282.8점

  • 8위 - 이찬희
    • 오프라인 총점: 159.6점
    • 온라인 총점: 117.5점
    • 합산: 277.1점

  • 9위 - 류한일
    • 오프라인 총점: 58.5점
    • 온라인 총점: 214.8점
    • 합산: 273.3점

  • 10위 - 정구현
    • 오프라인 총점: 69.3점
    • 온라인 총점: 198.1점
    • 합산: 267.4점

  • 11위 - 김하늘
    • 오프라인 총점: 149.7점
    • 온라인 총점: 110.8점
    • 합산: 260.5점

  • 12위 - 타츠야
    • 오프라인 총점: 118.2점
    • 온라인 총점: 141.8점
    • 합산: 260점

  • 13위 - 유현승 (데뷔)[3]
    • 오프라인 총점: 121.2점
    • 온라인 총점: 111.6점
    • 합산: 232.8점

  • 14위 -
    • 오프라인 총점: 60.9점
    • 온라인 총점: 103.6점
    • 합산: 164.5점

1위 유라, 2위 박민근, 3위 리키, 4위 남손, 5위 코타로, 6위 윤혜성, 13위 유현승은 최종 데뷔조 PICKUS의 멤버로 데뷔가 확정되었고 개인적인 사정으로 팀을 탈퇴한 윤혜성을 제외한 6인 체재로 2024년 4월 23일 정식 데뷔를 했다.
미션 <아이덴티티 & 올라운더>, 미션 <케미스트리>, 미션 <시너지>, <파이널 미션> 총 네 개의 경연으로 이루어졌으나 팬과 소통하며 팬이 직접 멤버를 뽑는다는 취지[4]로 제작된 프로그램의 의도와는 상반되게 실질적으로 팬이 직접 투표를 하여 데뷔조의 멤버를 뽑는 경연은 미션 <시너지>와 <파이널 미션> 둘뿐이었다. 그러나 해당 미션들도 공정하지 못한 방식으로 점수가 집계되었다.

팬픽(FAN PICK)의 데뷔조 선발 방식은 매 경연을 통해 '탑픽'이라는 일명 데뷔 확정 멤버가 결정이 된다. 한 번 탑픽이 되면 말 그대로 데뷔가 확정이 되는 방식이다. 첫 경연이었던 미션 <아이덴티티 & 올라운더>에서의 탑픽 선정 방식은 온라인 투표 없이 오프라인 플레이어의 투표로만 진행되었으며 명확한 투표 비율을 공개했다. 하지만 여기서 프로 플레이어 점수는 40%, 게스트 플레이어 점수는 20%이다. 말 그대로 60%는 방송 자체에서 선발을 하겠다는 거고, 나머지 40%만 팬 플레이어 점수로 진행이 된다. 미션 <아이덴티티 & 올라운더>에서의 팬 플레이어 모집 방식은 6월 19일 ~ 7월 9일 앱을 통해 총 15명이 선정되었다.

두 번째 경연이었던 미션 <케미스트리>에서는 돌연 '이번 미션에서의 탑픽은 없습니다.'라는 발언과 함께 정말 탑픽을 선정하지 않았는데 해당 미션에서만 탑픽을 선정하지 않은 부분 또한 상당히 의아하다.

다음은 실질적으로 팬이 직접 투표를 하여 데뷔조의 멤버를 뽑은 경연이었던 미션 <시너지>와 <파이널 미션>의 탑픽 선정 방식이다.

<파이널 미션>은 프로 플레이어 점수가 오프라인 총점 부문에 들어갔고 온라인 총점의 합산 비율은 국내 투표 50%, 글로벌 투표 50%로 합산된다는 명확한 합산 비율을 공개했으나 <파이널 미션>의 프로 플레이어 점수와 오프라인 투표 점수를 합산한 명확한 오프라인 총점의 비율을 공개하지 않은 점이 상당히 의아하다.

[오프라인] 프로 플레이어 심사, [오프라인] 게스트 & 팬 플레이어 투표, [온라인] 파이널 미션 선공개 투표, [온라인] 글로벌 누적 투표 점수를 합산해 최종 데뷔조의 추가 인원이 선정된다는 룰을 공개했을 뿐 명확한 합산 비율을 공개하지 않은 이유가 의문이다. 프로 플레이어 심사 점수가 오프라인 총점에 엄청난 부분을 차지한다 해도 프로그램의 취지에 적합한가에 대한 의문도 있다.

다음은 미션 <시너지> 최종 집계 방식이다. [오프라인] 투표 점수, [온라인] 투표 점수, 팀 베네핏 점수로 집계되며 유일하게 프로 플레이어의 점수가 들어가지 않고, 천안서여자중학교에서 처음 보는 학생들에게 점수를 받아야 하는 미션이었다. 하지만 여기서 팀 베네핏 점수는 500점이다. 1위부터 5위까지를 제외한 9인의 개인 투표 결과는 500점 미만이었기에 해당 점수는 상당히 높은 점수이며 팀 베네핏 점수를 받지 못하면 평균적인 투표를 받을 시 자동으로 최하위권인 등수를 받게 된다. 당시 정구현이 소속되어 있던 Graffiti 팀원들만 해당 베네핏 점수를 받지 못함으로 인해 최하위권인 14위(김하늘), 13위(타츠야), 12위(오태환)를 기록하였고 기존 1위였던 유라 또한 8위를 기록하였다. 1위였던 데뷔 확정 멤버가 8위라는 순위를 기록하는 결과로 보면 팀 베네핏 점수 500점은 데뷔조 멤버를 바꿀 수 있는 과도하게 높은 점수이다.

정구현은 해당 미션에서 온라인 총점 1575.6점, 오프라인 총점 430점, 팀 베네핏 점수 0점 총합 2005.6점을 기록하며 7위로 데뷔조에 속했으나 만약 보컬 부문 베네핏 점수를 가락 팀이 아닌 Graffiti 팀이 받았더라면 최종 합산 3위는 정구현이 되며 해당 미션으로 결정되는 PICKUS의 데뷔 확정 멤버는 남손이 아닌 정구현이다.

비슷한 시기에 트윙플에서 진행한 별조각 후원 서포트 이벤트에서 정구현압도적으로 높은 별조각 수로 1위를 기록했기에 과연 타 참가자들과 달리 많은 경력과 기존 팬덤을 지니고 있는 정구현이 속한 Graffiti 팀이 정말 팀 베네핏 점수를 못 받았는지에 관한 것 또한 의문이다.

해당 미션에서 두 명의 탑픽을 뽑았으나 3위인 남손과 23.2점 차이로 정말 가까스로 데뷔조에 속하지 못한 류한일과 팀 베네핏 점수를 받았더라면 최종 3위로 데뷔 확정 멤버가 되었을 정구현이 처음 보는 학생들에게도 높은 현장 투표 점수를 받았기에 다음 미션인 <파이널 미션>은 처음 보는 대중이 아닌 기존 온라인 투표를 해왔던 팬들이 오는 마지막 경연인데 온라인 총점과 두 배가량 차이 나는 두 자릿수의 오프라인 총점을 받은 것이 의문이고, 오프라인 총점 합산에 문제가 없으면 매우 높은 부분이 프로 플레이어 점수가 차지한다는 건데 해당 부분이 프로그램의 취지에 적합한지에 관한 의문이 든다.

팬픽(FAN PICK)의 프로 플레이어는 CHATONE, BULL$EYE, 조성용이다. 그러나 이 중 CHATONE은 팬픽(FAN PICK)을 기획한 김채원 대표와 동일 인물[5]이며 팬픽(FAN PICK) 종영 이후 PICKUS의 제작을 총괄하여 담당하기도 했다. 즉 팬픽(FAN PICK)은 사내 오디션 프로그램이었으며 방송에서 대표의 신분을 숨긴 채 프로 플레이어 신분으로 오프라인 총점에 기여한 것이고 이는 명백한 시청자 기만행위이며 프로 플레이어의 개입 없이 순수 팬픽(FAN PICK) 시청자[6]의 온라인 투표와 오프라인 투표로 데뷔조의 멤버가 선정된 경연은 단 한 번도 없다.

3. 돌연 영상 삭제

미션 <아이덴티티 & 올라운더>의 무대 영상을 처음에는 한 명 한 명씩 쇼츠로 올렸었다. 그중 정구현놈 (NOM) 쇼츠가 30분 만에 조회수 1000회[7]를 돌파하며 해당 영상의 댓글은 영상의 풀버전을 원한다는 형식의 댓글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정구현의 영상을 시작으로 연습생들의 영상을 돌연 무통보 삭제를 했다. 충분히 상승세를 유지할 수 있었지만 뜬금없이 조회수가 높던 정구현의 영상을 삭제한 것으로 보아 지속적인 상승세로 인해 데뷔에 가까워질 수도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삭제 조치가 아니고서는 해석이 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처음부터 정구현을 데뷔시키지 않을 계획이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해당 영상

정구현을 시작으로 연습생들의 영상이 하나둘씩 내려갔지만[8], 전체 참가자들의 영상을 내린 것이 아닌 류한일, 남손, 박민근의 영상은 유지한 채 내렸기 때문에 또한 문제가 된다며 지적을 하는 비판의 여론이 있다. 방송의 첫 경연 영상이자 극 초반 시기이기 때문에 세 명의 영상만 남겨 놓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해당 영상의 세 명 중 두 명이 데뷔를 한 부분이 의심을 피할 수가 없다.

세 명의 쇼츠만 남긴 뒤 두 명씩 묶어서 호칭을 달아 일반 영상으로 재게시를 했다.[9]하지만 이후에는 정말 뜬금 없는 [팬픽 | FAN PICK] Ep.2 선공개 | 미션 [아이덴티티] 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고 이후 공개된 디와 정구현의 영상에는 아무런 호칭도 없이 Like a Star '디’ & 놈(NOM) '정구현‘이라는 성의가 없는 제목으로 올렸으며 해당 제목은 코타로, 타츠야 영상에도 적용되었다.

1화에 공개된 하이라이트 영상의 분량을 확인해 보면 감성 보컬라인(류한일, 오태환)_6분 25초 / 맏형라인(박민근, 이찬희)_4분 41초 / 글로벌 에이스(리키, 유라)_8분 42초 / 막내라인(윤혜성, 남손)_8분 20초

2화에 공개된 하이라이트 영상의 분량을 확인해 보면 선공개 하이라이트(유현승)_1분 41초 / 디, 정구현_2분 18초 / 코타로, 타츠야_2분 33초의 분량으로 1화에 공개된 참가자와 2화에 공개된 참가자의 분량이 심각할 정도로 많이 차이가 난다. 또한 1화에 8분가량의 분량으로 공개가 된 리키, 유라, 윤혜성, 남손은 모두 데뷔에 성공한 부분 또한 의심을 피할 수가 없다.

선공개 하이라이트(유현승)은 단독으로 1분 41초이기에 이 중 가장 적은 분량으로 공개된 건 디와 정구현이다.[10] 총 분량은 2분 18초로 가장 많은 분량을 가진 리키, 유라의 영상 길이 8분 42초와 6분 24초 분량이 차이가 난다. 쇼츠로 처음 영상이 공개됐을 때 가장 호의적인 반응을 받았던 정구현이 최소 분량으로 재업로드되고 영상 공개 순서가 뒤에서 두 번째로 공개된 부분이 과연 모두 우연 일지에 관한 의구심이 든다.

첫 경연이었던 미션 <아이덴티티 & 올라운더>에서 8분 42초, 8분 20초로 최대 분량을 받은 리키, 유라, 남손, 윤혜성
영상 재게시 전 업로드된 쇼츠가 삭제되지 않고 유지된 3인 중 2인인 남손, 박민근
이들의 데뷔가 모두 우연의 일치일까라는 의문과 애초에 처음부터 내정자가 있었다는 형식의 비판도 있다.

4. 정구현 직캠 음원 편집 실수

팬픽(FAN PICK)의 마지막 경연이었던 <파이널 미션>에서 정구현의 파트에 오태환의 목소리가 나오는 음원 편집 실수가 발생했다. 해당 구간은 음원 사이트에 발매된 FAN PICK Original Song '휘파람(A-CHA!) - FAN PICK'을 기준으로 3분 12초 분량 중 1분 18초 구간인 'You're gonna love this crack wah'이다.

휘파람(A-CHA!) 선공개 / 휘파람(A-CHA!) 정구현 개인 직캠을 확인해 보면 해당 구간의 음원 편집 실수를 알 수 있으며 휘파람(A-CHA!) 무대 영상을 확인해 보면 해당 구간의 실수를 수정한 것 을 확인할 수 있다.

음원 편집 실수가 있었던 첫 영상인 휘파람(A-CHA!) 선공개의 업로드 일자는 2023년 10월 4일이며 해당 구간을 수정해서 올린 방송분 영상인 휘파람(A-CHA!) 무대 영상의 업로드 일자는 2023년 10월 18일이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되는 점은 정구현의 개인 직캠 영상 공개일 또한 2023년 10월 18일이다. 즉 음원 편집 실수를 인지했음에도 수정 없이 개인 직캠을 내보냈다는 것이다. 방송분만 수정을 하고 미처 개인 직캠 수정을 잊었을 수도 있다는 예외가 있을 수도 있으나 정구현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겪었던 부당한 대우를 보면 인지를 하고 있었음에도 수정을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1] 이들의 온라인 총점과 오프라인 총점을 확인해 보면 비율의 격차가 크게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2] 개인적인 사정으로 정식 데뷔 이전 탈퇴.[3] 기존 탑픽[4] MC인 이특은 '글로벌 팬 프로듀싱 프로젝트 팬픽(FAN PICK)'이라는 멘트를 시작으로 진행을 한다.[5] 파일:CHATONE 프로 플레이어.jpg파일:김채원 대표.jpg[6] 미션 <시너지>는 기존 팬픽(FAN PICK) 시청자가 아닌, 팬픽(FAN PICK)의 촬영으로 인해 해당 방송을 알게 된 학생들이 대부분이기에 제외.[7] 타 참가자들의 조회수와 10배 이상 차이가 났으며 팬픽(FAN PICK)의 쇼츠와 클립 영상을 올리는 공식 유튜브 채널의 구독자 수가 2.69천 명[11]인 걸 고려하면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8] 파일:영상 삭제 1.jpg 파일:영상 삭제 2.jpg[9] 감성 보컬라인(류한일, 오태환) / 맏형라인(박민근, 이찬희) / 글로벌 에이스(리키, 유라) / 막내라인(윤혜성, 남손)[10] 디는 오프라인 총점 조작 의혹이 있는 류한일, 정구현을 제외하면 오프라인 총점 60.9점을 기록함으로써 전체 참가자 중 유일한 두 자릿수의 오프라인 총점을 지닌 참가자이자 최하위권인 최종 14위로 프로그램을 마무리하게 된 참가자인데 비슷한 분위기를 가진 참가자들끼리 호칭을 정해서 올린 1화 선공개 영상과 다르게 디와 조금도 비슷한 점이 없는 상반된 이미지를 가진 정구현과 함께 묶어서 영상을 올린 부분과 이 둘에게 최소 분량을 준 부분이 가장 의아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1] 2024년 7월 22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