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17:47:39

팰컨 9/버전 및 발사 기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팰컨 9
파일:스페이스X 로고.svg
{{{#315288,#7899ce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스페이스X의 기체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우주발사체
소형발사체 팰컨 1R
중형발사체 팰컨 5
대형발사체 팰컨 9
초대형발사체 팰컨 헤비스타십
우주선
지구궤도 드래곤 1R드래곤 2
달 탐사용 드래곤 XL스타십 (달 착륙 개조형)
타 행성 스타십 우주선
시험기
팰컨9 개발 그래스호퍼F9R
스타십 개발 스타십 호퍼 (스타호퍼)
엔진
팰컨 시리즈 엔진 멀린 엔진드라코 스러스터
스타십 엔진 랩터 엔진 ‧ {1337}
드래곤 엔진 슈퍼 드라코 스러스터드라코 스러스터
※ 윗첨자R: 퇴역 기체
※ {중괄호}: 개발 예정
취소선: 개발 취소
}}}}}}}}}}}}||


1. 개요2. 버전별 정보3. 관련 문서

1. 개요

스페이스X팰컨 9 로켓의 버전별 특징 및 발사 기록들로, 팰컨 헤비가 자주 발사되지 않는 만큼 사실상 스페이스X의 발사 기록의 대부분이 여기 정리되어 있다고 봐도 된다.

2. 버전별 정보

팰컨 9
Falcon 9
파일:F9_and_Heavy_visu.png
버전 Block 5 Full Thrust V1.1 V1.0
운용 여부 운용중 퇴역 퇴역 퇴역
높이 70m 70m 68.4m 54.9m
무게 549,054 kg 541,300kg 505,846kg 333,400kg
총 스테이지 수 2단
연료/산화제 케로신(RP-1) / 액체산소
추력(KN) 7600 6804 5885 3807
페이로드(LEO) 22,800kg[1] 13,150kg 10,450kg
페이로드(GTO) 8,300kg[2] 4,850kg 4,540kg
발사 횟수(성공/시도) 274/274[3] 36/36[4] 14/15[5] 5/5[6]
착륙 시도(성공/시도) 264/268[7][8] 22/24 0/3 0/0
2024년 5월 5일 기준

2.1. v1.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팰컨 9 v1.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v1.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팰컨 9 v1.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v1.2 (F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팰컨 9 풀 스러스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1. 블록 3

2.3.2. 블록 4

2.4. Block 5

파일:Dc2lZePUwAAyo9H.jpg
2018년 5월 11일부터 지금까지 운용되고 있는 팰컨 9 계열 로켓의 최종 버전. 위 아래로 검은색 포인트가 추가되었다.
  • 다시 접을 수 있는 (Retractable) 랜딩기어 (회수 시 더 이상 분리하지 않아도 됨) - 원래 팰컨 9의 랜딩기어는 재사용 전에 분리해서 폐기했다. 2019년 5월 CRS-17 드래곤을 발사한 B1056 부스터에서 처음 성공한 랜딩기어 접기는 로켓의 재활용도를 높이는 중요한 과정으로 여겨졌으나 랜딩 기어를 조종하는 유압계통이 약해서 오랫동안 실현되지 못했는데, 유압계통에 보조 기구를 달아 성공했다.
  • 열에 더 강한 외부재질과 재사용 가능한 티타늄 그리드 핀 - 전 버전까지는 알루미륨 합금을 사용했으나 재 착륙 과정에서 많은 부분이 녹아내려 재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드물었기 때문에 티타늄으로 교체. 물론 단가는 몇 배나 비싸다.
  • 스페이스X 로고를 동체 중간으로 이동 - 재착륙시 2차례, 혹은 3차례의 역추진을[9] 하면서 그을리는지라 스페이스X 로고가 종종 그을음에 가려지고, 어떨때는 지워지기도 했다. Block 5부터는 로고위치를 차가운 액체산소 탱크 쪽으로 옮겨[10] 그을음에 가려지고 지워지는것을 방지하여, 광고효과까지 냈다.
  • 인터스테이지를 도색하지 않음
  • 7~8% 추력 증가 (엔진 개량)
  • 연료 배관, 정비 시간 단축 등

3. 관련 문서



[1] 재사용하지 않을 경우[2] 재사용하지 않을 경우[3] 2018년 10/10, 2019년 11/11, 2020년 26/26, 2021년 31/31, 2022년 60/60, 2023년 91/91, 2024년 45/45[4] 1회 실패: 발사 전 파괴. 2016년 9월 1일 이스라엘의 AMOS-6 위성을 탑재한 팰콘 9 FT가 지상시험 중 폭발하였으며 탑재 위성 AMOS-6은 소실되었다. 발사 전 파괴이기 때문에 발사 실패로 기록되지는 않았다.[5] 1회 실패: 2015년 6월 28일, 화물선 CRS-7을 탑재한 팰콘 9 1.1 로켓이 발사 후 150초만에 폭발[6] 1회 부분적 실패. CRS-1 발사 당시 주 페이로드는 드래곤이었지만, 부 페이로드로 ORBCOMM의 2세대 위성의 실험형을 탑재하고 있었다. 발사 중 1단 엔진 중 하나에 문제가 생겨 출력이 부족해지는 사고가 일어났다. 어찌하여 드래곤은 궤도 진입에 성공했으나, 위성은 제 궤도에 진입하는 데 실패했다.[7] 2018년 8/9, 2019년 10/10, 2020년 23/25, 2021년 30/31, 2022년 58/58, 2023년 91/91, 2024년 44/44[8] 4회 실패: CRS-16 미션 비상 착수, 스타링크 L4 무인선 착륙 실패, 스타링크 L5 엔진 이상으로 회수 실패, 스타링크 L19 무인선 착륙 실패.[9] 대기권 재진입시 한번, 역추진이 3번이면 중간에 한번, 그리고 마지막 착륙할때 한번.[10] 액체산소탱크 측면에 형성되는 얼음이 그을임이 생기는것을 획기적으로 줄여준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