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펀진 Funzin Co., Ltd. | |
| |
<colbgcolor=#E67E22><colcolor=#ffffff> 정식명칭 | 주식회사 펀진 |
영문명칭 | Funzin Co., Ltd. |
설립일 | 2006년 6월 19일 |
업종명 | Robotics AIoT, 국방 AI, 이동통신엔지니어링 서비스 |
기업규모 | 중소기업 |
대표이사 | 김득화 |
상장여부 | 장외주식 |
임직원 | 101명(2025. 4월 기준) |
매출액 | 140억 원 (2023)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동구 연무장5가길 7(성수동2가) 현대테라스타워 East동 13층 |
관련 웹사이트 | |
펀진 공식 홈페이지 |
1. 개요2. 연혁3. AI 산업분야
3.1. 주요 브랜드 솔루션 : KWM, RANZA, ESPER 등 9종3.2. 국방 AI 솔루션 ‘KWM(Kill-Web-Matching) 지휘결심지원체계3.3. 최적의 유지보수 시점 예측 FAIP_CBM+(상태기반정비)3.4. 다중 로봇 최적임무 및 자원할당 솔루션 RANZA/ESPER3.5. 자동으로 학습하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FAIP_studio
4. 이동통신/ICT 산업분야4.1. 주요 브랜드 솔루션 : OCELOT
5. 주요 이슈5.1. 한국항공우주산업(KAI)으로부터 133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5.2. 세계 최대 가전·IT 박람회 'CES’에 5년 연속 참가5.3. 2024년 ‘방산혁신기업 100’ 선정5.4. 2024년 과학 산업분야 3개 부처 장관상 연달아 수상5.5. Army TIGER Boost Project서 기술 성과 입증5.6. 광운대와 손잡고 국방 AI 로봇 인재 육성5.7. ‘2025 아발론 호주 국제에어쇼’에서 국내외 기업과 협력 만들어
6. IPO 가능성1. 개요
AIoT 전문기업 펀진(FUNZIN)은 2006년 설립된 기업이다. ‘즐겁게(Fun) 전진하자(進)’라는 모토 아래 국방, 로봇, 통신 분야에서 최고의 AI 솔루션을 제공하며 성장하고 있다.최근에는 ‘창조적 기술로 즐거운 미래를 만든다’는 미션과 ‘로보틱스 AIoT 분야를 선도하며 최고의 AI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라는 비전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AI 혁신을 이끌고 있다.
특히, 국방 분야에서 성장세가 무섭다. 다양한 전장(battle field) 환경에서 지휘관이 최적의 타격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KWM(AI기반 지휘결심지원체계)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국방 AI 리딩 컴퍼니로 자리 잡았다. 또한, 2024 산자부 장관상, 2024 과기정통부 장관상, 2024 중소벤처부 장관상 등 산업과학분야 3개 장관상을 수상했다. 이와 더불어 방사청에서 주관하는 '방산혁신기업 100'에도 선정되며 명실상부한 방산 테크 기업으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2. 연혁
㈜펀진은 2006년 6월 19일에 소프트웨어 및 소형전자기기 회사로 창립했다.2006년부터 2011년까지 PMP기기 퍼니쭈마와 영어학습기 쭈마RG 등을 출시하며 디지털 소형기기 산업에서 이름을 알렸다. 특히, 퍼니쭈마는 벤처 디자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후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펀진은 ICT사업 강화를 모색했고, 2011년 이후부터 4G/5G 무선망 품질 분석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통해 회사를 키워 나갔다. 실제로 5G망 구축에 있어 비면허 주파수 대역 혼신원 해소에 기여를 인정받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을 받기도 했다.
ICT사업을 통해 캐쉬카우를 마련한 펀진은 2010년대부터 준비한 사물인터넷과 비전 컴퓨팅, 엣지 시스템 기술을 고도화하며 2020년부터 새로운 혁신을 만들기 시작했다. 특히, 국방 AI 사업에서 다양한 국방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며 국방 AI 리딩 컴퍼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AI 기반 다수 로봇 임무 할당 시스템부터 자율주행 로봇 엣지 시스템, 이상징후 분석 시스템 등에서도 성과를 만들며 AIoT 전문기업으로 확장성을 보여주고 있다.
2.1. 2020년대 주요 히스토리
사업 | 내용 |
국방 AI 사업 | 펀진·니어스랩 육군 전투실험 등 국방 R&D 과제 공동 개발 MOU 체결 (2025.01) '2024 한국소프트웨어종합학술대회(KSC 2024)' 국방소프트웨어 분야 우수 논문상 수상 (2024.12) 펀진·육군정보통신학교, AI 분야 MOU 체결 (2024.12) 국방기술진흥연구소 방산혁신기업 전용 R&D 과제 (2024.12) 한국항공우주산업(KAI)와 파트너십 체결 (2024. 11) 육군 인공지능센터, '인공지능(AI) 기반 합성데이터 생성기술 실증 사업' (2024. 10) 넷기반 탄도탄 작전 능력 기술 개발 (2024.02) KWM 출시 (2023.11) 무인 협업 지능형 전투지휘통제기술 개발 (2024. 10) 전투체계매칭 시스템 개발 계약 (2023.03) 국방/다계층 단말 개발 과제 (2022.12) 한화시스템, 국방용 AI 엣지 시스템 개발협력 MOU 체결 (2022.01) |
AI 기반 다수 로봇 임무 할당 시스템 사업 | 자율배송 무인차량 관리 시스템 개발 (2023.04) 자율발렛 파킹로봇 관리 시스템 계약 (2023.01) 자율발렛 파킹 로봇 개발 과제 (2022.07) |
AI 기반 자율주행 로봇 엣지 시스템 사업 | 대동공업 자율주행 제어기 및 자율주행 모델 개발 계약 (2020.10) 대동공업-인텔코리아, 첨단 농기계 자율주행, 정밀농업 기술개발 MOU (2020.07) |
AI 기반 이상징후 분석 시스템 사업 | KF-21시험비행 빅데이터를 활용한 상태기반정비(CBM+)를 위한 AI 융합 기반기술 개발 (2023.11) 보건복지부 (일산병원) AI 위험행동 조기 인식 과제 협약 (2022.08) |
2.2. 2020년대 글로벌 진출
펀진은 2021년부터 5년 연속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에 참가하고 있다. 특히 CES 2025에서 ‘AI Brain X AIoT Full Stack’ 기술을 공개하며 고도화된 AI 기술을 알렸다. 해당 기술은 AI와 IoT를 결합하여 자율주행 로봇, 스마트 시티, 산업 자동화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기에 해외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보여주었다. 펀진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기술 혁신을 통해 글로벌 AIoT 산업에서 입지를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3. AI 산업분야
3.1. 주요 브랜드 솔루션 : KWM, RANZA, ESPER 등 9종
브랜드 | 내용 및 특징 |
KWM | 국방 최적 무기 추천 / 자동 임무 할당 (AI 참모) GS 인증 |
RANZA/ESPER | 다중 로봇 최적 임무 할당 & 원격 주행 (멀티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GS 인증 |
FAIP_aiNET | 다중네트워크 상황에서 최적 네트웍 자동 선택 지원 Pre-6G 기술 분야 |
FAIP_CBM+ | 대규모 정형 데이터 기반 이상징후 예측 KF-21 전투부품용 진행 중 |
FAIP_vision | 객체/상황인식 얼굴인식(AI인증 획득)등 80종 |
FAIP_mil_sLLM | 국방용 소형 생성언어 모델 25.1Q 출시예정 |
FAIP_studio | AI MLOps : AI 자동 생성 AI인증 획득, 특허출원 중 |
Eagle-Eye | 합성데이터 플랫폼 24.12 출시예정 |
FAIP_Edge | AI Edge 장치 (하드웨어) AI 인증획득 |
3.2. 국방 AI 솔루션 ‘KWM(Kill-Web-Matching) 지휘결심지원체계
KWM(Kill-Web-Matching)은 펀진이 개발한 차세대 AI 기반 전투 참모 시스템이다. 다수의 표적과 다양한 전장 환경에서 최적의 공격 조합을 분석하여 지휘관에게 전략적 결정을 지원하는 것이 솔루션의 핵심 기술이다. KWM은 펀진의 수년간 쌓은 노하우에 최신 AI기술과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최적의 전술을 도출한다.실제로, KWM은 2024년 육군미래혁신연구센터에서 주관한 ‘Army TIGER Boost Program’에서 성공적 운용을 마쳤다. 이번 운용을 통해 국내 유일의 *TRL6 이상 수준 AI 참모 기술로 인정받았으며, ▲국내 최대 규모의 이기종 정찰 정보 자산과 연동한 실시간 영상 처리 능력 검증 ▲다계층 네트워크 전장 환경에서 효과적 작동 입증을 확인했다.
TRL : 1989년 미국 NASA의 Sadin이 항공·우주 분야 R&D 프로그램의 기술에서 투자 위험도를 관리할 목적으로 도입한 기술성숙도/기술준비수준을 말하는 것. 기초연구단계부터 양산단계까지를 9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홍보영상
3.3. 최적의 유지보수 시점 예측 FAIP_CBM+(상태기반정비)
펀진은 KF-21 무기체계 주요 부품의 상태기반정비(CBM+)를 위한 멀티모달 기반 진단 및 수명 예측 AI 모델 개발과 AI MLOps 시스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특히, 펀진이 CBM+에 적용하는 멀티모달(Multimodal) AI는 다양한 자원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하나의 정보로 표현하는 기술이다. 센서 단위의 시계열 데이터 분석을 위해 AI모델과 정비기록 등 텍스트 데이터의 유의미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는 AI모델 기반의 솔루션이다.
3.4. 다중 로봇 최적임무 및 자원할당 솔루션 RANZA/ESPER
• RANZA + ESPER : ERPERANZA (스페인어, 희망)RANZA는 자율주행 주차 로봇 솔루션에서 뛰어난 성과를 내고 있다. 먼저, 'RANZA_park’는 다면 주차장에서 여러 대의 주차 로봇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경로 생성 ▲복수 로봇의 동시 운영 ▲업무 스케줄링 등 자율 주차의 핵심 기술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달성했다. 실제로, 국책 과제를 통해 기술력을 성공적으로 입증했다.
또한 ‘RANZA_delivery’는 실외에서 주행하는 자율 배송 로봇의 임무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여러 개의 배송지에 다수의 로봇을 배치해 최적의 경로를 찾아 업무를 수행한다. 특히, 모빌리티 및 통합 관제 시스템과 연동해 로봇을 제어하고, 최적의 임무 할당과 스케줄링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펀진은 강화 학습 시뮬레이터 ‘ESPER’를 활용해 ‘RANZA’ 솔루션을 고도화하고 있다. ‘ESPER’는 AI 개발을 위한 다중 로봇 운용 환경과 이동 경로 학습 데이터셋을 생성해 더욱 정교한 임무 관리를 지원한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펀진의 ‘RANZA’와 ‘ESPER’는 솔루션의 효과를 입증하며, 2024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로부터 GS인증 1등급을 획득했다.
3.5. 자동으로 학습하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FAIP_studio
펀진은 AIOps와 MLOps를 결합한 혁신적인 솔루션, ‘FAIP_studio’를 보유하고 있다.먼저, AIOps(Artificial Intelligence for IT Operations)는 AI 기반 분석을 활용해 IT 운영을 자동화하고 최적화하는 기술이다. 대규모 데이터에서 이상 징후를 탐지하고 장애를 예측하며,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자동화해 IT 인프라의 안정성을 높인다. 이를 통해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더욱 효율적인 IT 관리가 가능해진다.
반면, MLOps(Machine Learning Operations)는 머신러닝 모델의 개발, 학습, 배포, 운영, 유지보수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프레임워크다. 모델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성능을 개선하고, 데이터 변경에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AI 모델을 보다 신속하게 실서비스에 적용하고 최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펀진의 ‘FAIP_studio’는 이와 같은 두 솔루션을 결합하여 AI 개발 및 운영을 자동화하는 통합 프로그램이다. 이를 통해 최소한의 인력으로도 다양한 AI 모델을 동시에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으며, AI 서비스의 지속적인 개선과 최적화를 실현할 수 있다. 앞으로 펀진은 ‘FAIP_studio’를 통해 데이터 수집 → 학습 → 경량화 → 평가 → 배포 및 관리 단계를 자동화하며, 기술 역량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릴 계획이다.
4. 이동통신/ICT 산업분야
4.1. 주요 브랜드 솔루션 : OCELOT
펀진은 5G 설계 및 구축부터 솔루션 공급까지 이동통신 사업의 전 과정을 지원하는 원스톱 서비스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KT와 10년 이상 파트너십을 이어오며 국내는 물론 해외 무선망까지 설계·구축을 담당해 왔으며, 이후 품질 최적화와 솔루션 공급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특히, 머신러닝 기술 기반의 ‘OCELOT(오셀롯)’ 솔루션은 5G·4G 무선 기지국의 전파 전계 강도와 신호 품질(Clearness) 등을 측정하고, 이를 시계열 기반 이상 파형으로 자동 분석한다. 이를 통해 최소한의 인력으로 전국 각지에서 발생하는 전파 혼신을 빠르게 탐지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했다.
실제로, 펀진은 2012년 ‘OCELOT’ 솔루션을 활용해 전국 81개 시에서 혼신원을 찾아 주파수를 변경했고, 이를 통해 LTE 서비스를 조기에 오픈할 수 있도록 지원해 당시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을 수상했다.홍보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