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자 배구단에 대한 내용은 페네르바흐체 SK(여자 배구) 문서
참고하십시오. ,2024-25 시즌 참가 구단,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파일:에위프스포르 로고.svg | | | | |
| | | ||
TFF 1. 리그 ▶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페네르바흐체 SK | |
Fenerbahçe SK | |
<colbgcolor=#002749><colcolor=#ffef00> 정식 명칭 | Fenerbahçe Spor Kulübü (페네르바체 스포츠 클럽) |
별칭 | Sarı Kanaryalar (노란 카나리아) Fenerbahçe Sarı-Lacivertliler (노랑파랭이들)[1] Fener. |
창단 | 1907년 5월 3일 ([age(1907-05-03)]주년)[2] |
소속 리그 | 쉬페르리그 (Süper Lig) |
연고지 | 이스탄불 (İstanbul) |
홈구장 | 페네르바흐체 쉬크뤼 사라졸루 스타디움 (Fenerbahçe Şükrü Saraçoğlu Stadyumu) (50,530명 수용) |
라이벌 | 갈라타사라이 SK - 크탈라르아라스 데르비 |
구단주 | |
회장 | |
단장 | |
감독 | |
주장 | |
부주장 | |
역대 한국인 선수 | |
영구결번 | 12 서포터즈[6] |
공식 웹사이트 | |
지난 시즌 성적 (2023-24시즌) | 쉬페르리그 2위 |
우승 기록 | |
★★★[7][8] 쉬페르 리그 (1부) (19회) | 1959, 1960-61, 1963-64, 1964-65, 1967-68, 1969-70, 1973-74, 1974-75, 1977-78, 1982-83, 1984-85, 1988-89, 1995-96, 2000-01, 2003-04, 2004-05, 2006-07, 2010-11, 2013-14 |
튀르키예 쿠파스 (7회) | 1967-68, 1973-74, 1978-79, 1982-83, 2011-12, 2012-13, 2022-23 |
쉬페르 쿠파 (9회) | 1968, 1973, 1975, 1984, 1985, 1990, 2007, 2009, 2014 |
발칸컵 (1회) | 1966-67 |
클럽 기록 | |
최고 이적료 영입 | (2024년, From 세비야 FC, 1,950만 €) |
최고 이적료 방출 | (2024년, to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3,000만 €) |
최다 출장 | |
최다 득점 | |
리그 득점왕 |
[clearfix]
1. 개요
튀르키예의 프로축구 구단. 이스탄불을 연고로 하고 있다.같은 이스탄불 연고팀들 갈라타사라이 SK와 베식타스 JK와 함께 튀르키예 쉬페르리그의 대표적인 명문팀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으며, 그 팀들과 함께 튀르키예 3강팀으로도 분류되고 있다.
2. 역사 및 시즌
3. 리그 소속 기간[9]
- 1부/쉬페르리그: 1958- (67시즌)
4. 선수
4.1. 명단
페네르바흐체 SK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 페네르바흐체 SK 2024-25 시즌 스쿼드 | |||||
<rowcolor=#002749> 번호 | 포지션 | 국적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비고 | |
1 | GK | | 이르판 칸 에리바야트 | İrfan Can Eğribayat | ||
4 | DF | | 찰라르 쇠윈쥐 | Çağlar Söyüncü | ||
5 | MF | | 이스마엘 윅세키 | İsmail Yüksek | ||
6 | DF | | 알렉산더 지쿠 | Alexander Djiku | ||
8 | MF | | 메르트 하칸 얀다시 | Mert Hakan Yandaş | ||
9 | FW | | 에딘 제코 | Edin Dzeko | 주장 | |
10 | FW | | 두샨 타디치 | Dušan Tadić | 부주장 | |
13 | MF | | 프레드 | Fred | ||
16 | DF | | 메르트 뮐뒤르 | Mert Müldür | ||
17 | MF | | 이르판 잔 카흐베지 | Irfan Can Kahveci | ||
18 | MF | | 필립 코스티치 | Filip Kostić | [1] | |
19 | FW | | 유세프 엔네시리 | Youssef En-Nesyri | ||
20 | FW | | 젠기즈 윈데르 | Cengiz Ünder | ||
21 | MF | | 브라이트 오새이새뮤얼 | Bright Osayi-Samuel | ||
22 | MF | | 레벤트 메르잔 | Levent Mercan | ||
23 | FW | | 젠크 토순 | Cenk Tosun | ||
24 | DF | | 제이든 오스터펠더 | Jayden Oosterwolde | ||
28 | MF | | 바르투 엘마즈 | Bartuğ Elmaz | ||
33 | DF | | 디에구 카를루스 | Diego Carlos | ||
34 | MF | | 소피앙 암라바트 | Sofyan Amrabat | [2] | |
37 | DF | | 밀란 슈크리니아르 | Milan Škriniar | [3] | |
40 | GK | | 도미니크 리바코비치 | Dominic Livakovic | ||
50 | DF | | 호드리구 베캉 | Rodrigo Becão | ||
53 | MF | | 세바스티안 시만스키 | Sebastian Szymański | ||
54 | GK | | 오스만 에르투울 체틴 | Osman Ertuğrul Çetin | ||
70 | FW | | 오귀즈 아이딘 | Oğuz Aydin | ||
77 | DF | | 오그넨 미모비치 | Ognjen Mimovic | ||
94 | FW | | 안데르송 탈리스카 | Anderson Talisca | ||
95 | DF | | 유수프 아크치첵 | Yusuf Akçiçek | ||
97 | MF | | 알랑 생막시맹 | Allan Saint-Maximin | [4] |
구단 정보 | |||||
회장: 에롤 빌레지크 / 감독: 주제 무리뉴 / 홈 구장: 페네르바흐체 쉬크뤼 사라졸루 스타디움 | |||||
출처: 페네르바흐체 SK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02월 03일 |
}}}}}}}}} ||
4.2. 유명 선수
- UEFA
- 로베르트 엔케: 2003
- 피에르 판 호이동크: 2003-2005
- 니콜라 아넬카: 2004-2006
- 레토 치글러: 2011-2012, 2013
- 디르크 카윗: 2012-2015
- 하울 메이렐레스: 2012-2016
- 미할 카들레츠 : 2013-2016
- 나니: 2015-2016
- 시몬 키예르: 2015-2017
- 로빈 반 페르시: 2015-2018
- 마르틴 슈크르텔: 2016-2019
- 엘리프 엘마스: 2017-2019
- 메수트 외질: 2021-2022
- 에딘 제코: 2023-현재
- 두샨 타디치: 2023-현재
- 도미니크 리바코비치: 2023-현재
- 다니 귀사 : 2008-2011
- 알랑 생막시맹 : 2024-현재[임대]
- 밀란 슈크리니아르 : 2025-현재[임대]
- CONMEBOL
- AFC
- 김민재: 2021-2022
5. 기타
|
이미지 출처 |
페네르바흐체는 구단 공식홈페이지에 튀르키예의 건국 영웅인 아타튀르크가 페네르바흐체의 팬이자 서포터였다고 밝히고 있는데, 갈라타사라이와 페네르바흐체와의 축구경기를 관람하던 아타튀르크가 자신의 옆에 갈라타사라이 팬 세 명, 그리고 페네르바흐체 팬 두 명이 있는 것을 보고 "여기도 3-3이네(당시 경기결과도 3-3으로 끝났다). 왜냐하면 난 페네르바흐체 팬이거든"라고 하였다는 일화와 함께 클럽의 빌딩이 화재로 전소되자, 가장 먼저 재건 기부금을 쾌척한 사람이 아타튀르크였다는 점, 그리고 직접 클럽에 방문해서 축사를 적어놓고 가기도 했다는 점을 그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 아타튀르크 자신이 군인 출신이었고, 군인들을 중심으로 창단된 페네르바흐체의 창단비화를 생각해보면 충분히 개연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
한때 페네르바흐체 서포터들의 흑역사였다.[10] |
[1] 튀르키예어로 sarı 는 노란색 , lacıvert 는 진한 남색 을 의미한다. 거기에 사람을 뜻하는 접시사 li와 복수형 접미사 ler가 붙은 것. 라이벌팀인 갈라타사라이의 별명은 마찬가지로 Sarı-kırmızlılar (노랑빨강이들)이다.[2] #[3] 알리 코치를 구단주로 아는 경우도 많지만 페네르바흐체는 FC 바르셀로나처럼 주주들 모임이 구단주이며 주주들이 회장 선거로 대표를 뽑는다. 사실,튀르키예 구단 대다수가 이런 체제라서 갈라타사라이와 베식타쉬 역시 주주들 모임이 구단주이다.[4] 37-38대 회장으로 FC 바르셀로나의 스폰서였던 가전제품 브랜드 Beko를 보유했다. 코치 그룹은 튀르키예에서 으뜸가는 대기업으로 유명하다. 코치 가문의 재산은 80억~100억 달러(약 10조원) 정도로 추정된다. 튀르키예 관련 책을 여럿 쓰고 튀르키예에서 대학교수를 역임 중인 이희수 교수가 쓴 튀르키예 관련 책자에서 코치 그룹을 "튀르키예의 삼성그룹이라고 보면 된다"라고 서술했다.[5] 23-24 FK 노비 파자르, 24-25 FK 라드니치키 니시로 임대[6] 선발 라인업 11명 다음의 번호인 12번을 팬들을 위해 영구결번으로 지정해 놓았다.[7] 5회 우승에 별 하나다.[8] 간혹 로고에 별이 5개가 달린 것을 종종 볼 수 있는데, 이는 쉬페르리그의 전신인 터키쉬 풋볼 챔피언십에서의 9회 우승을 포함해 총 28회 우승을 거뒀다는 의미라고 한다. 쉬페르리그 측에서는 이를 인정하진 않고 있으나, 최근 페네르바흐체가 이를 인정 받기 위한 소송을 진행중에 있어서 후에 어떻게 바뀔지는 모를 일이다.[9] 쉬페르리그의 첫 시즌은 다른 시즌과 달리 유일하게 1959년 단일 시즌이였지만 예선은 1958년부터 시작하였고, 다른 시즌과의 차이점을 피하게위해 1958-1959로 표기.[10] 사나이중의 사나이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이라고 쓰여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