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명칭 | 펜듈럼그래프 |
일본판 명칭 | ペンデュラムグラフ |
영어판 명칭 | Pendulumgraph |
즈아크 덱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관련 카드군 | |||
패왕권룡 · 패왕문 · 패왕 · 패왕룡 즈아크 · 펜듈럼그래프 펜듈럼 드래곤 · 엑시즈 드래곤 · 싱크로 드래곤 · 퓨전 드래곤 | ||||
서브 에이스 | 에이스 | |||
ARC-V 패왕권룡 오드아이즈 패왕권룡 다크 리벨리온 패왕권룡 클리어윙 패왕권룡 스타브 베놈 | ARC-V 패왕룡 즈아크 OCG 패왕천룡 오드아이즈 아크레이 드래곤 | |||
심복 카드(ARC-V) | 심복 카드(OCG) | |||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 패왕권룡 다크브룸 | 크로노그래프 매지션 패왕권룡 라이트브룸 패왕문의 마술사 |
1. 개요
홍채의 마술사에 의해서 지정되는 유희왕의 카드군. "마술사(유희왕)" 펜듈럼 몬스터의 관련 카드군이며, "펜듈럼(유희왕)"의 하위 카드군에 속한다.2. 의식 몬스터
2.1. 레벨 7
2.1.1. 오드아이즈 펜듈럼그래프 드래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의식=,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오드아이즈 펜듈럼그래프 드래곤,
일어판명칭=オッドアイズ・ペンデュラムグラフ・ドラゴン,
영어판명칭=Odd-Eyes Pendulumgraph Dragon,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레벨=7, P스케일=4, 공격력=2700, 수비력=2500,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자신 / 상대의 엔드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묘지에서 의식 마법 카드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그 후\, 이 카드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효과외1="오드아이즈 어드벤트"에 의해 의식 소환. 이 카드는 의식 소환 및 패에서의 펜듈럼 소환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상대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때마다\, 상대에게 300 데미지를 준다.,
효과2=②: 1턴에 1번\, 상대가 마법 카드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고\, 그 상대의 효과를 무효로 한다. 의식 소환한 이 카드를 펜듈럼 존에 놓았을 경우\, 추가로 엑스트라 덱에서 "오드아이즈"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3. 마법 카드
3.1. 성상의 펜듈럼그래프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성상의 펜듈럼그래프,
일어판명칭=<ruby>星霜<rp>(</rp><rt>せいそう</rt><rp>)</rp></ruby>のペンデュラムグラフ,
영어판명칭=Star Pendulumgraph,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마법사족 몬스터를 상대는 마법 카드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의 몬스터 존 / 펜듈럼 존의 앞면 표시의 "마술사" 펜듈럼 몬스터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발동한다. 덱에서 "마술사"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①번 효과는 마법사족 몬스터를 상대의 대상 지정 마법으로부터 지켜주는 효과. 달의 서 같은 카드들을 가볍게 씹을 수 있으며, 섬도희[1]와 루닉[2]을 상대로 우위를 점할 수 있게 해 준다.
핵심 효과는 ②번의 서치 효과로 마술사 펜듈럼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나면 곧바로 덱에서 마술사 펜듈럼 몬스터를 서치해 준다. 몬스터 존은 물론 펜듈럼 존에 세팅된 카드도 대응하기에 상대 효과에 의해 날라가거나 천공의 홍채, 혜안의 마술사, 헤비메탈포제 엘렉트럼 등 자신의 효과로 직접 파괴되어도 서치가 가능하다. 저 카드들 역시 파괴함으로써 서치를 하는 카드들이므로 단번에 2장이나 서치가 가능한 셈. 함께 수록된 홍채/흑아/백익/자독의 마술사 역시 펜듈럼 효과를 쓴 후 자괴하는 효과가 있기에 그 손실된 어드밴티지를 메우기에도 좋으며, 홍채와 흑아, 자독의 경우 파괴되었을 때 각각 서치와 소생, 파괴 효과를 갖고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어드밴티지를 벌기에 용이하다.
서치 효과는 파괴뿐만 아니라 그냥 필드에서 벗어나기만 하면 되기에 바운스나 제외되어도 사용하는 게 가능하며 릴리스나 융합 / 싱크로 / 링크 소환의 소재로 사용되어도 사용할 수 있어 굉장히 널널한 편. 다만 엑시즈 소재가 되는 건 필드에서 벗어난 취급이 아니기에 사용할 수 없으니 주의.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이 만든 마법진에서 뭔가가 나오고 있다. 펜듈럼 소환이 연상되는 게 특징. OCG 트위터에서 상세 일러스트가 공개되었다.
수록 시리즈 |
2016-12-23 |
SD31-JP023 | STRUCTURE DECK - ペンデュラム・エボリューション - |
2024-02-23 |
QCCU-JP091 | QUARTER CENTURY CHRONICLE side:UNITY |
2017-03-14 |
SD31-KR023 | 스트럭처 덱 - 펜듈럼 에볼루션 - |
2024-03-26 |
QCCU-KR091 | 쿼터 센추리 크로니클 side: 유니티 |
2017-06-23 |
PEVO-EN007 | Pendulum Evolution |
4. 함정 카드
4.1. 시공의 펜듈럼그래프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시공의 펜듈럼그래프,
일어판명칭=<ruby>時空<rp>(</rp><rt>じくう</rt><rp>)</rp></ruby>のペンデュラムグラフ,
영어판명칭=Time Pendulumgraph,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마법사족 몬스터를 상대는 함정 카드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의 몬스터 존 / 펜듈럼 존의 "마술사" 펜듈럼 몬스터 카드 1장과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이 효과로 카드를 2장 파괴할 수 없었을 경우\, 필드의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낼 수 있다.)]
함정이라 1턴의 딜레이가 있단 점을 감안하더라도 상당히 강력한 효과들을 탑재하고 있다.
①번 효과는 마법사족 몬스터를 상대의 대상 지정 함정으로부터 지켜주는 효과. 함정 카드가 나오는 경우가 함떡 덱을 상대하는 게 아니라면 드물어졌지만, 자주 쓰이는 함정 카드 중엔 무한포영처럼 대상을 지정하는 함정도 있어서 유용하다. 특히 함떡 덱과 운영 싸움을 할 경우에는 이게 더욱 두드러진다.
핵심 효과는 ②번의 파괴 효과. 1턴에 1번, 자신의 마술사 펜듈럼 카드와 상대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파괴한다. 언뜻 보면 1:1 교환 같지만 이 효과로 지정한 2장 중 어느 1장이라도 파괴가 안 되면 추가로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묘지로 보낸다.
상대가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로 파괴를 피하려고 해도 이 추가 효과로 상대에게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덕분에 파괴 내성은 있고 대상 내성이 없는 몬스터는 이 카드로 지정하여 파괴하지 못했어도 추가로 발동되는 비대상 묘지 보내기로 제거할 수가 있다. 반드시 상대 카드 1장을 날려먹겠다는 철의 의지가 느껴지는 카드.[3] 다만 처음은 일단 대상 지정 효과라서 상대 필드에 대상 지정이 되지 않는 카드만 존재할 경우 사용이 불가하여 처리하기 까다롭고, 함정 카드 또는 아예 효과를 받지 않는 카드는 대상 비지정 효과로도 치울 수 없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마술사 유저 쪽에서도 이 방법을 써먹을 수 있다. 같은 덱에 수록되는 별을 새기는 마술사, 펜듈럼 콜의 보호 효과와 함께라면 지정한 자신의 마술사 펜듈럼 카드는 파괴되지 않고 상대 카드만 일방적으로 파괴할 수 있으며, 자신의 펜듈럼 존의 마술사를 지정 후 흔들리는 눈빛 같은 카드로 자신의 펜듈럼 존을 미리 날려버렸을 경우에도 상대 카드는 파괴된다. 이같은 경우들은 2장이 파괴된 게 아니기에 또 추가로 상대 카드 1장을 고르고 묘지로 보낼 수 있어 사실상 노 코스트로 상대 카드를 2장이나 제거하는 격이 된다. 그리고 파괴 시 추가 효과가 발동되는 홍채, 흑아, 자독의 마술사를 파괴하면 1:2 교환을 2:2 교환으로 만들어버릴 수도 있다. 특히 자독의 마술사와의 콤보는 준비하기도 쉽고 한 번에 상대 카드를 2장이나 날릴 수 있기에 일명 '시공자독'으로 불리며 선공 집 짓기 때의 목표 중 하나가 된다.
자독이 아니라도, 마술사 덱은 카드 파괴를 조건으로 발동되는 효과들이 많고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을 사용한다면 원하는 카드를 미리 파괴시킬 필요가 있기에, 효과 발동이나 전개를 위한 트리거로도 가치가 높다.
성상과 이 카드가 함께 있다면 매 턴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면서 이 쪽은 마술사 펜듈럼 몬스터를 서치하는 콤보가 가능하다. 두 카드가 모두 유용하기에 펜듈럼그래프 카드를 서치할 수 있는 홍채의 마술사의 평가가 더더욱 오르는 중. 여기에 헤비메탈포제 엘렉트럼도 살려 두었다면 추가로 1드로우까지 가능하다.
크로노그래프 매지션이 만든 마법진들에서 크로노그래프가 들고 있는 것과 비슷한 모양의 검이 나오고 있다. OCG 트위터에서 상세 일러스트가 공개되었다.
수록 시리즈 |
2016-12-23 |
SD31-JP032 | STRUCTURE DECK - ペンデュラム・エボリューション - |
2024-02-23 |
QCCU-JP093 | QUARTER CENTURY CHRONICLE side:UNITY |
2017-03-14 |
SD31-KR032 | 스트럭처 덱 - 펜듈럼 에볼루션 - |
2024-03-26 |
QCCU-KR093 | 쿼터 센추리 크로니클 side: 유니티 |
2017-06-23 |
PEVO-EN008 | Pendulum Evolution |
5. 관련 문서
[1] 섬도술식-애프터버너, 섬도기-위도우앵커[2] 빛나는 화염의 루닉, 얼어붙은 저주의 루닉, 졸음의 루닉[3] 매우 독특한 재정으로, 아이:피 마스카레나로 파괴 내성을 얻은, 자신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 이외의 발동한 효과를 받지 않는 사로스=에레스 쿠르누기아스를 대상으로 시공의 펜듈럼그래프를 발동할 경우 대상 파괴는 되지 않으나, 어쨌든 사로스를 대상으로 발동한 효과이기 때문에 비대상 제거는 먹힌다. 반면 사로스를 대상으로 하지 않았는데 파괴에 실패하고, 비대상 제거로 사로스를 찍으면 먹히지 않는다. 이는 텍스트를 있는 그대로 해석하면 이해가 편하다. 사로스의 내성은 편의상 비대상 내성이라고 칭해지지만, 정확히는 상대가 발동한 효과가 '사로스를 대상으로 발동했으면' 효과를 받고, '그렇지 않으면' 효과를 안 받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