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11:13:39

포켓몬스터/배틀 기믹


파일:포켓몬스터 로고.svg 포켓몬스터 대전 시스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CC00,#ffcc00><colcolor=#3861AD,#3861ad> 역사 1세대 · 2세대 · 3세대 · 4세대 · 5세대 · 6세대 · 7세대 · 8세대 · 9세대 · Champions
배틀 룰 싱글배틀 · 더블배틀 · GS룰
시스템 결정력 · 내구력 · 우선도 · 환경 변화 · 상태이상 · 랭크 · 배틀 기믹
도구 기술 강화 · 능력치 강화 · 전용 도구
전략 죽어내밀기 · 깔짝 포켓몬
포켓몬 사기 포켓몬 /목록 · 대우가 안 좋은 포켓몬 · 개별 포켓몬 역사
대회 포켓몬 월드챔피언십 · 포켓몬 트레이너스 컵 }}}}}}}}}

파일:포켓몬스터 로고.svg 배틀 기믹
6세대 7세대 8세대 9세대
파일:메가진화 아이콘.png 파일:지무브.png 파일:dyna.png 파일:테라스탈 아이콘.png
메가진화 Z기술 다이맥스 테라스탈

1. 개요2. 역사3. 종류4. 등장 게임
4.1. 모두링
5. 만약 모든 기믹을 사용할 수 있다면?6. 평가7. 기타

1. 개요

포켓몬스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배틀 기믹들에 대해 다루는 문서.

2. 역사

포켓몬스터는 6세대부터 3D로 그래픽을 전환함과 동시에, 매 세대마다 해당 세대에 어울리는 새로운 배틀 기믹을 출시하기 시작했다.

3. 종류

4. 등장 게임

본가 시리즈만 서술한다.
메가진화 X·Y /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 썬·문 / 울트라썬·울트라문 /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 / LEGENDS Z-A / Pokémon Champions
Z 기술 썬·문 / 울트라썬·울트라문 / Pokémon Champions
다이맥스 소드·실드 / Pokémon Champions
테라스탈 스칼렛·바이올렛 / Pokémon Champions
메가진화가 첫 배틀 기믹인 만큼 제일 많이 등장했다.

4.1. 모두링

파일:모두링.png
Pokémon Champions에서 등장하는 아이템. 모든 배틀 기믹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이다. 한마디로 키스톤, Z파워링, 다이맥스밴드, 테라스탈오브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다는 뜻.

5. 만약 모든 기믹을 사용할 수 있다면?

만약 모든 기믹을 사용할 수 있다면 어떻게 될지는 포켓몬스터 팬덤 내에서 많은 이야깃거리가 되고 있다.

메가진화는 체급 상승만 보면 다른 기믹에 뒤지지 않는 편이며, 포켓몬에 따라선 특성과 타입도 변하기 때문에 특정 포켓몬에게는 대체 불가능한 비장의 수다.[1] 하지만 메가레쿠쟈를 제외하면 전부 도구가 고정된다는 뼈아픈 단점이 있어서 그만큼 한계도 뚜렷하다. 어느 포켓몬이 해당 기믹을 사용할지 간파되기 쉽고, 그만큼 대처하기도 쉬워서 Z-A에서 추가적인 버프가 없다면 다이맥스나 테라스탈보다 저평가를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Z기술은 가장 애매하다고 평가받는다. 메가진화처럼 도구가 고정되어 있지만 기술 위력 1회 상승 외에는 큰 효과가 없다. 다이맥스 기술이 Z기술보다 위력이 낮지만 각종 효과가 붙어있고 도구 효과도 받을 수 있으며 특히 3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러모로 비교된다. 그나마 특성 자기과신처럼 노리고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럴거면 구애류 아이템을 쓰는 것이 훨씬 좋다. 그래도 변화기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차별화가 있어서 완전히 묻힐 기믹은 아닐 것으로 보인다.[2]

다이맥스는 어떻게든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평가받는다. 일부 cc기 면역에 체력 2배, 기술 강화가 붙어있는데다 도구까지 있으니 체급 증가폭이 다른 모든 기믹을 상회하기 때문이다. 다이맥스 3턴 동안이 가장 중요한 턴이 될 전망이다. 메가진화나 테라스탈도 다이맥스 포켓몬을 한 방에 쓰러뜨리긴 어지간해서 무리일 것으로 보인다.

테라스탈은 SV의 시스템 그대로 들어온다면 끔찍할 것이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체급 상승은 다이맥스보다는 낮지만, 테라턴 한정으로 약점 기술을 받아내는 측면에선 테라스탈이 다이맥스보다 더 강하다.[3] 또한 기술의 효과가 유지되기 때문에, 테라스탈로 손해보는 상황이 거의 없다. 경우의 수가 19가지씩이나 되는데다, 극상성까지 뒤집는 장점이 너무나 막강해 다이맥스보다 위로 치는 유저도 상당하다.

Pokémon Champions에서 메가진화, Z기술, 다이맥스, 테라스탈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공개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가정도 현실화 될 것으로 보인다.

6.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메가진화의 평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메가진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가진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가진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Z기술의 평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Z기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Z기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Z기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다이맥스의 평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이맥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이맥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이맥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테라스탈의 평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테라스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테라스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테라스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세대에서 메가진화로 첫 시도된 배틀 기믹은 포켓몬 팬층들 사이에서 왈가왈부가 많았다. 특히 1세대부터 포켓몬을 즐겨온 일부 1세대 근본론자들은 '또 근본없는 거 만들었다'며 혹평했으나, 일부 팬층에서는 새로운 시도이기에 중립적 및 호의적으로 보는 의견도 많았다.

6~7세대에서 선보인 메가진화와 Z기술은 1마리만 사용 가능, 도구 페널티 등, 일부 특징을 공유하는 형태로 출시되었다. 파워 인플레에 대한 논란은 있었지만 시각적인 임팩트에 더해 전략의 다양화 등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나오기도 했으며, Z기술은 동요 율동같은 전력포즈가 악평을 받기는 했지만 밸런스적으로는 적절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8세대에서 다이맥스가 도입되고 메가진화와 Z기술이 일시적으로 삭제되며 본격적으로 '기믹 시스템'에 대한 논란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기존에 멀쩡히 존재하던 기믹들을 자른만큼 강력한 비판이 제기되었고, 다이맥스는 매우 강력한 성능으로 밸런스 붕괴를 일으키며 호불호가 심하게 갈렸다. 이 시점부터 극히 일부의 트레이너만 비장의 수로 사용하던 기믹을 여러 트레이너가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그만큼 푸쉬도 많이 받았다.

9세대에서는 다이맥스를 한 세대만에 잘라버리고 새로운 시스템인 테라스탈을 도입했는데, 이 때문에 기믹을 일회용으로 툭툭 만들고 필요 없어지면 그냥 버린다는 비판점이 더욱 커졌다. 멀쩡히 잘 있는 기믹을 갈아치울 사유라고는 새로운 기믹 밀어주기, 또는 프레임 드랍 문제나 근무태만 등, 옹호하기 어려운 것들만 존재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테라스탈은 너무 강력한 성능 탓에 큰 악평을 받았고, 이로 인해 메가진화, Z기술, 다이맥스 전반이 재평가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 이후로는 기믹 시스템을 아예 없애버리는 것이 낫다는 의견도 대두되기 시작했고, 다이맥스나 테라스탈이 가져오는 체급 상승을 너프하기 위한 방안도 유저들 입에 오르내리며 화두가 되고 있다. Pokémon Champions에서 4기믹의 공존이 확정된 한, 배틀 기믹들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될 지는 지켜봐야 할 일이다.

7. 기타

  • 배틀 기믹이라는 명칭은 유저들 사이에서 임의로 정한 명칭이며, 공식에서는 메가진화, Z기술 등의 기믹을 칭하는 공식 명칭을 정해두지 않았다.
  • 성능과 별개로 리자몽은 Z기술을 제외한 모든 기믹에서 특별 대우를 받았다. 메가진화에서 X, Y 형태로 두 가지 형태를 받았으며 다이맥스에서 거다이맥스 형태를 받았다. 테라스탈에서는 전용 형태를 받지는 않았지만[4] 공식에서 드래곤 테라스탈타입 최강의 리자몽과 악 테라스탈타입 프리드박사의 리자몽을 밀어주었다.[5]

[1] 예시로는 입치트.[2] 전용 Z기술의 경우는 다소 예외. 짜랑고우거의 전용 Z기술인 브레이징소울비트는 모든 능력 1랭크 상승 + 광역 소리기술이라는 절대적인 성능을 자랑하고, 카푸시리즈의 전용 Z 알로라의수호자 역시 현재 체력의 3/4을 날려버리는 강력한 성능을 낸다. 어떻게보면 배틀 기믹 중 가장 밸런스를 잘 맞춘 편인 것이 악재가 되었을 수도 있다.[3] 다이맥스는 내구 상승폭이 2배, 테라스탈은 약점을 반감 또는 무효로 바꾸면 4~무한배이다.[4] 테라스탈은 오거폰과 테라파고스를 제외하면 특수 형태가 없다.[5] 드래곤 테라스탈타입 리자몽은 7성 최강의 포켓몬 중에서 최초로 등장했고, 악 테라스탈타입 리자몽은 포켓몬스터 애니의 등장인물인 프리드박사의 포켓몬으로 등장했다. 특히 악 테라스탈타입 리자몽은 포켓몬 카드 게임 흑염의 지배자 메인 포켓몬으로도 등장했으며 이후 샤이니트레져ex에서 악 테라스탈타입 이로치 리자몽이 메인 포켓몬으로 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