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티벨로돈 Platybelodon | |
| |
학명 | Platybelodon Borissiak, 1928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포유강Mammalia |
목 | 장비목Proboscidea |
과 | †아메벨로돈과Amebelodontidae |
속 | †플라티벨로돈속Platybelodon |
종 | |
|
|
|
복원도 |
1. 개요
신생대 마이오세에 살았던, 아메벨로돈과[1]에 속하는 장비목 포유류로 화석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서 발견되었다. 속명의 뜻은 '삽 이빨'.2. 특징
넓은 주걱턱을 가진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과거앤 다른 장비목들과 마찬가지로 식성은 초식성으로 늪이나 연못에 들어가서 수생식물을 건져 먹었다는 주장이 우세했으나, 현재는 플라티벨로돈의 닳은 아래턱 엄니 자국을 보아 숲이나 목초지에 생활하면서 나무뿌리를 캐서 먹거나 혹은 나뭇가지 같은 거친 식물성 먹이를 먹었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 청소년 시기의 개체보다 성인 개체들이 이러한 먹이 섭취를 더 유용하게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장비목 중에선 비교적 작은 편이었으나, 정확한 크기는 불명이다. 다른 장비류들과 달리, 체중을 뒷발의 발허리뼈로 지탱했던 구조였다. 이 때문에 플라티벨로돈은 다른 장비목 동물들보다 빠르게 움직였을 가능성이 있다.
예전에는 플라티벨로돈이 유연하지 않은 넓적한 코를 가졌을 것이라는 의견이 대세였지만 두개골 화석을 살펴보면 현생 코끼리와 같은 형태의 콧구멍이 발달되어 있다. 이러한 증거에 따라서 플라티벨로돈 또한 현생 코끼리류처럼 기다랗고 유연하게 발달한 코를 가졌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3. 대중매체
|
쥬라기 공원 빌더에서 사육 가능한 동물로 등장한다.
검볼에서 실패작 세계의 롭이 지목했던 곳에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