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1 05:16:08

하틀리 잭슨

하틀리 잭슨의 소속 그룹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black><colcolor=#000000> 파일:호쿠토군 로고 화질저하 버전.png
오오모리 호쿠토 쿠마아라시 사이러스
잭 케네디 아이자와 No.1 타카시
{{{#!folding 【 전 멤버 】 하틀리 잭슨 탈로스
}}} ||

파일:TMDK-logo.png
<colbgcolor=white> 잭 세이버 주니어 <colbgcolor=white> 마이키 니콜스 <colbgcolor=white> 셰인 헤이스트
배드 듀드 티토 후지타 코세이 로비 이글스
오오이와 료헤이 하틀리 잭슨
{{{#!folding 【 전 멤버 】 조나 슬렉스
}}} ||
파일:하틀리잭슨프로필.jpg
링네임 Brett James
Jacko Kerrigan
JAG
Hartley Jackson
본명 Brett James Jackson[1]
(브렛 제임스 잭슨)
생년월일 1980. 04. 17 ([age(1980-04-17)]세)
신장 185cm
체중 135kg
출생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오스트레일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스트레일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오스트레일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유형 파워하우스
시그니쳐 무브 역수평 찹[2]
브레인버스터[3]
코너 스플래시 + 래리어트[4]
러닝 센톤
데스 밸리 드라이버
피니쉬 무브 재그드 엣지
크로커다일 클러치
데스 밸리 드라이버
파일 드라이버
별명 Big Jag
테마곡 The Day Is My Enemy - The Prodigy
데뷔 1999년 10월 4일 (19세)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주요 커리어
[ 펼치기 · 접기 ]
AWA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NWA 오스트레일리안 퍼시픽 태그팀 챔피언 1회
PWA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PWSA 하드코어 챔피언 2회
MPW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
WrestleRock 챔피언 2회
WR 오스트레일리안 내셔널 챔피언 2회
WR 멜트다운 태그팀 챔피언 2회
PWA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JPW 챔피언 2회
EPW 태그팀 챔피언 1회
EPW 스테이트 오브 오리진 챔피언 1회
Zero1 유나이티드 내셔널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
Zero1 인터컨티넨탈 태그팀 챔피언 1회
Zero1 파이어 페스티벌 우승 (2020년)
WrestleRock 챔피언 2회
MCW 태그팀 챔피언 1회
스피릿 오브 간바레 월드 오픈웨이트 챔피언 1회

1. 개요2. 경력3. 여담

1. 개요

" Jackson! Number One! "

호주 출신의 프리랜서 프로레슬러.

전일본 프로레슬링, 신일본 프로레슬링, GLEAT 등 일본 내 단체들에서 주로 활동하고 있다.

2. 경력

1998년에 은퇴한 콜 드바니 밑에서 프로레슬러로써의 훈련을 받게 되고, 199년에 데뷔해 처음 경기스타일은 하이 플라이어 스타일로 시작했고, PWSA에서 하복과의 경기를 통해 첫 경기를 가지며 승리를 거둔다. 얼마지나지 않아 하복과 래더 매치로 맞붙어 PWSA 하드코어 챔피언에 오르며 첫 챔피언 경력을 따내고, 호주에 있는 레슬링 단체들을 돌아다니며 활동을 하다가 2004년에 호주에서 열린 NWA 행사에서 경기를 가지고, 호주에서 활동하면서 경력을 만들지만 호주에서만 활동하는 것에 만족하지 않아 2005년에 마이키 니콜스와 같이 미국으로 여행가며 APW를 포함해 AWS에서 경기를 가진다.

2006년에 레슬 램페이지라는 도장을 운영하며 선수 육성을 담당하는 코치로 활동하고, 미국에서 열린 행사를 통해 안토니오 이노키와의 만남이 이루어지면서 헤비급 선수가 되어야 한다는 말에 경기스타일을 바꾸고 체형도 변화시킨다. 미국에서 경기를 가지고 다시 호주로 돌아가지만 일본의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 경기를 가지며 마이키 니콜스와 같이 타나카 미노루 & 고토 히로키를 상대하지만 패한다.

호주에서 활동하며 해매다 일본에서 이벤트성으로 경기를 가지는 한편 호주에서 계속해서 챔파언 경력을 늘려나가기 시작한다. 단체를 돌아다니며 호주출신 레슬러들과 경기를 가져 그들과의 접촉으로 TMDK의 결성과정으로 이어지고, 하틀리 잭슨은 일본출신 레슬러들을 통해 NJPW, AJPW, FMW 등 일본단체들에 대해서 알게 되면서 일본에서의 활동을 더더욱 갈망하며 ZERO1에서도 경기를 가지고, 이후 호주와 일본의 활동을 겸하게 된다.

2014년에 조나 락과 만나 같이 팀을 이뤄 활동을 하고, 호주쪽 레슬러들을 하나하나씩 모아 TMDK을 결성하게 된다. 2016년부터는 일본으로 홀로 건너가 ZERO1에서 풀타임으로 활동하고 싱글과 태그팀에서 각각 챔피언 경력을 따내고, 2017년에 레스웨이에서 경기를 가지며 야부와 경기를 가지지만 패한다. 계속해서 ZERO1에서 활동하다가 2018년에 떠나게 되면서 WWE에 의해 퍼포먼스 센터의 코치로 고용되고, WWE의 미래를 위한 인재양성에 힘을 쓰며 헌신하지만 여전히 프로레슬러 시절 활동을 원해 2019년에 우호적으로 WWE와 결별하게 되고, 호주로 돌아가서 선수 활동을 다시 시작하며 2020년에 일본의 ZERO1에서 다시 활동하게 된다.

ZERO1에서 풀타임으로 뛰다가 2022년에 DDT 프로레슬링에서 경기를 가지기 시작하다가 하반기부터는 GLEAT에서 활동하는 일이 더 많아지고, 전일본 프로레슬링에도 가끔씩 경기를 가진다.

3. 여담

  • 양 손을 가위 모양으로 만든 후 양쪽으로 쫙 펼치는 포즈가 하틀리의 상징이다.

[1] 출처 : IMDbPro.[2] 하틀리의 상체 두께가 어마무시한만큼 역수평 찹도 굉장히 위력적이다. 하틀리가 왼손잡이라 왼손으로 친다.[3] 파워가 훌륭한 하틀리답게 상대를 찍을 때 본인도 살짝 점프해서 찍는다. 역시 왼쪽으로 들고 찍는다.[4] 코너 스플래시를 먹인 상대를 링 중앙으로 끌고 와서 래리어트를 먹인다. 래리어트만큼은 오른팔로 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