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3 00:40:49

해외교포 선수/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해외교포 선수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야구 관련 인물(KBO)
,
,
,
,
,


1. 개요2. 1980년대
2.1. 1982년2.2. 1983년2.3. 1984년2.4. 1985년2.5. 1986년2.6. 1987년2.7. 1988년2.8. 1989년
3. 1990년대
3.1. 1990년3.2. 1991년3.3. 1992년3.4. 1993년3.5. 1994년3.6. 1995년3.7. 1996년3.8. 1997년3.9. 1998년3.10. 1999년
4. 2000년대
4.1. 2000년4.2. 2001년4.3. 2002년4.4. 2003년4.5. 2004년4.6. 2005년4.7. 2006년4.8. 2007년4.9. 2008년4.10. 2009년
5. 2010년대
5.1. 2010년5.2. 2011년

[clearfix]

1. 개요

이 문서는 KBO 리그에 존재했던 선수영입 제도인 해외교포 선수 영입 제도를 통해 입단한 선수들을 나열한 문서이다. 1군 정식 경기에 출전하지 않았더라도 계약을 완료하여 팀 활동에 참가한 선수들이 기재되어 있다. 해당 연도에 수상 경력이 있는 선수는 굵게 표시한다. 해외교포 선수의 체류 국가 표시는 다음과 같으며, 별도의 국가 표시가 없는 선수는 재일교포 선수이다.

[[호주|]][[틀:국기|]][[틀:국기|]]
AUS
호주
[[멕시코|]][[틀:국기|]][[틀:국기|]]
MEX
멕시코
[[미국|]][[틀:국기|]][[틀:국기|]]
USA
미국

2. 1980년대

해외교포 선수 영입 제도는 1983년에 최초 도입되었다. 그러나 1982년 프로야구 창설 당시 원년 멤버로 입단했던 선수 중에 해외교포인 선수가 존재한 관계로, 여기선 1982년 선수 목록을 별도로 기재한다.

2.1. 1982년

2.2. 1983년

2.3. 1984년

2.4. 1985년

2.5. 1986년

2.6. 1987년

2.7. 1988년

2.8. 1989년

3. 1990년대

1991년 해외교포 선수의 2명 출장제한 규정이 폐지되면서 해외교포 등록 선수가 증가했으나, 1995년 해외교포 선수의 등록을 2명으로 제한하면서 해외교포 선수가 감소하였다. 이후 1998년 외국인 선수 제도가 도입되면서 해외교포 선수 제도는 사실상 사장되었다.

3.1. 1990년

3.2. 1991년

3.3. 1992년

3.4. 1993년

3.5. 1994년

3.6. 1995년

3.7. 1996년

3.8. 1997년

3.9. 1998년

3.10. 1999년

4. 2000년대

1995년 해외교포 선수 제도 개정 이후로 2000년대에는 해외교포 선수 제도의 개정이 없었다. 사실상 제도가 사문화된채 방치되었던 실정.

4.1. 2000년

4.2. 2001년

4.3. 2002년

4.4. 2003년

4.5. 2004년

4.6. 2005년

4.7. 2006년

4.8. 2007년

4.9. 2008년

4.10. 2009년

5. 2010년대

2011년 SK 와이번스에서 김대유를 영입한 것이 마지막 해외교포 선수 영입이었고, 2015년 해외교포 선수 제도가 공식적으로 폐지되면서 더 이상의 해외교포 선수 제도 하에 활동한 선수는 없다.

5.1. 2010년

5.2. 201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