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21:16:20

HomeStory Cup

홈스토리컵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HSC'''{{{#!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독일제 권총}}}에 대한 내용은 [[마우저 HSc]]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마우저 HSc#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마우저 HSc#|]]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하이브리드 항공사}}}에 대한 내용은 [[하이브리드 항공사]]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하이브리드 항공사#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하이브리드 항공사#|]]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독일제 권총: }}}[[마우저 HSc]]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마우저 HSc#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마우저 HSc#|]]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하이브리드 항공사: }}}[[하이브리드 항공사]]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하이브리드 항공사#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하이브리드 항공사#|]]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HOMESTORY CUP2.png
공식 트위터 역대 대회 사진 (시즌 11~)


1. 개요2. 기록
2.1. Season 12.2. Season 22.3. Season 32.4. Season 42.5. Season 52.6. Season 62.7. Season 72.8. Season 82.9. Season 92.10. Season 102.11. Season 112.12. Season 122.13. Season 132.14. Season 142.15. Season 152.16. Season 162.17. Season 172.18. Season 182.19. Season 192.20. Season 202.21. StayAtHomestory
2.21.1. SAHSC #12.21.2. SAHSC #22.21.3. SAHSC #32.21.4. SAHSC #4
2.22. Season 212.23. HomeStory Cup XXⅡ|Season 222.24. Season 232.25. Season 242.26. Season 252.27. Season 262.28. Season 27
3. 기타4. 입상현황

1. 개요

파일:rkBcY.jpg
주최자인 Dennis "TaKe" Gehlen의 사진

기존의 대회들과는 약간 이질적인 것으로 유명한데, 독일 ESL TV의 캐스터 중 한 명인 데니스 겔렌이 자신의 주택에서 개인 자산으로 개최하는 진짜 특이한 대회로 유명하다.[1][2]

그래서 분위기가 매우 자유로우며, 경기를 하는 선수들 외에는 고기도 구워 먹고 경기도 구경하고 해설을 자주 하기도 하는 점이 특색이다.

여기에 누구나 인정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탑 플레이어들을 초청해 자리를 채우기 때문에 경기 수준은 어느 해외 대회랑 비교해도 전혀 꿀리지가 않으며, 상금 규모 면에서도 충분히 열 손가락 안에 드는 대회다. 말 그대로 스타크래프트 2 버전 응씨배.

2. 기록

2.1. Season 1

총상금 500 유로
기간 2010년 9월 11~12일
우승자 DeMusliM
준우승자 Brat_OK
  • 특이사항
    비상사테로 요약되는 대회.

2.2. Season 2

총상금 2800 유로
기간 2011년 1월 15~16일
우승자 White-Ra
준우승자 NaNiWa
  • 특이사항
    지난 시즌과는 판이하게 비상사프를 이뤄내며 프로토스가 상위권을 독식하는 결과를 냈다.

2.3. Season 3

총상금 5000 유로
기간 2011년 6월 23~26일
우승자 HuK
준우승자 NaNiWa
  • 특이사항
    최초로 한국인 선수인 장민철 선수가 초청된 대회이나, 장민철은 아쉽게 4강에서 크리스 로랑줴에게 패배하고 3위 입상에 그치고 만다.

2.4. Season 4

총상금 20000 달러
기간 2012년 1월 5~8일
우승자 장민철
준우승자 배상환
  • 특이사항
    이번 시즌부터 일부 선수는 초청이 아닌 예선을(북미, 유럽, 한국) 치러 뽑기 시작했고 이 시즌은 3개의 예선에서 2명씩 선발했다.
    장민철이정훈이 특별 해설을 잠깐 한 적이 있는데, 장민철의 깡생수가 글로벌급 대폭소를 일으킨 걸로 유명하다.

2.5. Season 5

총상금 25000 달러
기간 2012년 7월 5~8일
우승자 Nerchio
준우승자 최용화
  • 특이사항
    예선은 북미와 유럽에서 각각 2명, 한국에서 1명으로 총 5명 선발했다

2.6. Season 6

총상금 25000 달러
기간 2012년 12월 19~22일
우승자 Snute
준우승자 강동현
  • 특이사항
    예선은 북미, 유럽, 한국 각각 1명씩 선발
    4강 4저그 비상사저 사태가 일어났다.

2.7. Season 7

총상금 25000 달러
기간 2013년 6월 20~23일
우승자 윤영서
준우승자 Snute
  • 특이사항
    • 통합 WCS 체제가 출범하면서 입상자들에게 WCS 포인트를 수여(공인 2급)
    • 1위부터 3위까지 모두 팀리퀴드 소속 선수들이 싹쓸이하는 상황이 벌어졌다(3위가 TLO).

2.8. Season 8

총상금 25000 달러
기간 2013년 11월 14~17일
우승자 윤영서
준우승자 고석현

2.9. Season 9

총상금 25000 달러
기간 2014년 6월 5~8일
우승자 윤영서
준우승자 장민철
  • 특이사항

2.10. Season 10

총상금 25000 달러
기간 2014년 11월 13~16일
우승자 원이삭
준우승자 이영호
  • 특이사항
    • 10회 기념으로 특별히 더 큰 규모로 개최된다고 한다. 예선을 클럽에서 개최했다.
    • 이제동, 이영호가 초청받아 참가하게 되어 스2의 리쌍록이 과연 다시 성사될 수 있을 것인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

2.11. Season 11

총상금 25000 달러
기간 2015년 7월 2~5일
우승자 정윤종
준우승자 이예훈
  • 특이사항
    • 블리자드와 협의가 잘 안되었는지, 이번 시즌은 WCS 티어에 포함되지 않아서 포인트가 없다.

2.12. Season 12

총상금 25000 달러
기간 2015년 12월 17~20일
우승자 문성원
준우승자 FireCake

2.13. Season 13

총상금 20000 달러
기간 2016년 6월 23~26일
우승자 Harstem
준우승자 Scarlett

2.14. Season 14

총상금 20000 달러
기간 2016년 11월 17~20일
우승자 조지현
준우승자 주성욱

2.15. Season 15

총상금 10000 달러
기간 2017년 7월 20~23일
우승자 주성욱
준우승자 변현우

2.16. Season 16

총상금 20000 달러
기간 2017년 11월 9~12일
우승자 주성욱
준우승자 강민수
  • 특이사항
    • 2차 대격변 패치로 진행되는 최초의 대회.
    • 시즌 12의 우승자였던 문성원의 전역 후 첫 복귀 대회.
    • 2017년 내내 부진했던 주성욱이 2시즌 연속으로 우승을 하며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

2.17. Season 17

총상금 10000 달러
기간 2018년 6월 28일~7월 1일
우승자 이신형
준우승자 어윤수
  • 특이사항
    • 정명훈 선수의 의경 전역 후, 처음으로 공개출전하는 대회이다.
    • 이번 대회에서 또 준우승을 거둔 어윤수이신형 한 명에게 결승전에서 모든 스코어로 패배한 싸이클링 준우승을 달성했다.(...)
    • 트로피의 디자인이 일반 트로피형태에서 Take TV의 앰블럼인 집모양으로 바뀌었다.

2.18. Season 18

총상금 20000 달러
기간 2018년 11월 22~25일
우승자 Serral
준우승자 이신형
  • 특이사항
    • 지난 2018 WCS Global Finals에 이어 다시한번 한국인이 우승 타이틀을 내준 대회가 됐다.
    • 윤영서의 의경 전역 후 첫 공식대회 출전이기도 하다.
    • Serral이 풀세트 접전끝에 4:3으로 승리 이신형의 대회 2연패를 저지시키고 글로벌 파이널 우승의 기세를 계속 이어갔다.

2.19. Season 19

총상금 10000 달러
기간 2019년 6월 27~30일
우승자 Serral
준우승자 전태양
  • 특이사항
    • 32강 초청명단에 저그 게이머가 무려 16명으로 역대 홈스토리컵 최대 규모의 저그 게이머들이 초청되었다.
    • Serral이 풀세트 접전끝에 다시 한 번 4:3으로 승리 대회 2연패를 달성한다.

2.20. Season 20

총상금 50000 달러
기간 2019년 11월 21~24일
우승자 Serral
준우승자 Reynor
  • 특이사항
    • 20회를 기념하여 베를린 근교의 트로피컬 아일랜드라는 리조트에서 대회를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관람객들은 물론, 선수들도 경기가 없을 땐 물놀이를 즐기는 등 평소보다 더 자유로운 분위기였다.
    • 후원자의 상금 기부로 인하여 총 상금이 홈스토리컵 역대 최대 규모인 5만 달러로 증액되었다.
    • Serral이 3회 연속 우승을 달성한다.

2.21. StayAtHomestory

2.21.1. SAHSC #1

총상금 5000 달러
기간 2020년 4월 10~11일
우승자 Serral
준우승자 이신형
  • 특이사항
    •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여파로 홈스토리컵이 대회 역사상 최초로 온라인으로만 대회를 진행하게 되었다. 그래서인지 이번 시즌의 이름도 'StayAtHomestory Cup #1'이다.
    • 시즌 17부터 예선 없이 32명 전원 초청을 해왔는데[4], 오랜만에 예선전이 생겼다. 북미/한국/유럽 서버별 4명씩 선발된다.
    • Serral은 본 대회에서도 우승하여, 종전 기록인 윤영서의 3연속 우승을 넘어 홈스토리컵 4연속 우승을 이뤘다.

2.21.2. SAHSC #2

총상금 5000 달러
기간 2020년 6월 11~13일
우승자 Serral
준우승자 강민수
  • 특이사항
    • 이전 시즌과 동일하게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대회 명은 'StayAtHomestory Cup #2'이다.
    • Serral의 5연속 우승

2.21.3. SAHSC #3

총상금 5000 달러
기간 2021년 3월 11~14일
우승자 김대엽
준우승자 Serral
  • 특이사항
    • 코로나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작년과 같이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대회 명은 'StayAtHomestory Cup #3'
    • 예선전을 치른 작년과 달리 이번 시즌은 32명 전원 초청으로 이뤄진다.
    • Serral 6연속 결승진출
    • 결승전 방식은 Bo5+Bo3인데, 승자조에서 결승에 오른 김대엽은 첫 번째 시리즈인 5전 3선승에서 이기기만 하면 그대로 이 대회의 우승자가 되며, 패자조에서 결승에 오른 Serral은 첫 번째 시리즈인 5전 3선승에서 3선승을 한 후 다시 3전 2선승에서 두 개의 맵을 이겨야 우승하게 된다. 결국 김대엽이 3연승으로 우승하여 Serral의 6연속 우승을 저지했다.

2.21.4. SAHSC #4

총상금 5000 달러
기간 2021년 10월 21일~24일
우승자 Clem
준우승자 Serral
  • 특이사항
    • 코로나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4번째 시즌이다. 대회 명은 'StayAtHomestory Cup #4
    • Serral 7연속(!) 결승 진출
    • Reynor, Lambo, Elazer, HeRoMaRinE 등 일부 해외 선수들은 오프라인으로 참가하여 기존 홈스토리 컵과 같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2.22. Season 21

총상금 42000 달러
기간 2022년 7월 21일~24일
우승자 Serral
준우승자 Clem
  • 특이사항
    • 약 2년 만에 정식 넘버링으로 돌아왔다.#
    • Serral, 홈스토리컵 시리즈 8연속 결승진출 성공
    • Serral, 홈스토리컵 시리즈 5번째 우승
    • Serral, 홈스토리컵 정식 시리즈 4연속 우승[5]
    • Reynor가 대회 도중 꾸준히 부종 프로토스를 꺼내들었다. 그룹스테이지에서 강민수가 0:2로 패배하기도 하였다
    • 이에 맞써 Lambo도 부종 테란을 꺼내들기도 했다. 결과는 0:2 패배
    • 트로피의 모습이 히드라리스크의 해골을 모티브로 했는데 세레모니를 하는 도중에 부러졌다.

2.23. HomeStory Cup XXⅡ|Season 22

총상금 26000 달러
기간 2022년 12월 15일~18일
우승자 Reynor
준우승자 Astrea

2.24. Season 23

총상금 12000 달러
기간 2023년 6월 30일~7월 2일
우승자 Reynor
준우승자 강민수

2.25. Season 24

총상금 10,000 달러
기간 2023년 12월 1일~12월 3일
우승자 Serral
준우승자 Clem
  • 특이사항
    • 사상 최초로 한국인이 참가하지 않은 대회였다.
    • 원래 결승전은 7전 4선승제로 진행하려고 했지만 경기시간이 길어지면서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
    • 이번 대회에서 오랜만에 Serral이 우승을 차지하면서 4회 우승을 기록했다.
    • Serral을 유난히 잘 이긴 Clem은 아쉽게도 이번 대회에서 3:1로 패하면서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2.26. Season 25

총상금 10,000 달러
기간 2024년 6월 21일~6월 23일
우승자 고병재
준우승자 ShoWTimE
  • 특이사항
    • 홈스토리컵 시즌18부터 Serral이 우승하면서 한동안 한국인이 우승하지 못했는데 고병재가 우승하면서 오랜만에 한국인이 우승하였다.
    • Serral과 Reynor 두 사람 모두 이번 대회에 참가하지 않았다.
    • 이번 대회에서 uThermal무작위로 참가하여 화제가 되었는데 본선에서는 테란으로 경기를 진행했다
    • 우승트로피는 케리건의 두상이다.

2.27. Season 26

총상금 10,000 달러
기간 2024년 11월 29~12월 1일
우승자 고병재
준우승자 Clem
  • 특이사항
    • 고병재가 우승하면서 2회 연속 우승을 달성하였는데 결승전이 모두 테프전이었다. 이유는 후술.
    • Serral과 Reynor 두 사람 모두 오랜만에 참가했는데 둘다 Clem에게 패한 공통점이 있다.[6]
    • 조성주가 처음으로 홈스토리컵에 참가하여 데뷔전을 치렀는데 고병재와 Serral에게 지면서 최종순위 4위로 마무리했다.
    • 8강에서 장욱이 패하면서 유일한 프로토스가 탈락했는데 결승전에서 Clem이 프로토스를 선택하면서 테프전이 성사되었다.

2.28. Season 27

총상금 3,500 달러
기간 2025년 6월 27~6월 29일
우승자 박한솔
준우승자 토비아스 시버
  • 특이사항
    • 박한솔이 우승하면서 2017년 주성욱의 우승 이후, 무려 8년 만에 프로토스가 우승을 차지하였다.
    • ShoWTimE은 25회차에 이어 또다시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7]
    • 우승자부터 3등까지 모두 프로토스가 차지했는데 3등은 김유진.
    • 지난 대회의 우승자 고병재, 준우승자 Clem, 3위 Serral, 그리고 조성주와 Reynor가 모두 불참한 대회였다.[8]
    • uThermal은 무작위로 참가했던 25회차와 다르게 이번엔 테란으로 참가하여 준수한 실력으로 8강에 진출했는데 김유진과의 경기 도중, 3세트에서 갑자기 프로토스를 꺼내들었지만 결국 패배했다.
    • 이번 대회 결승전은 5전 3선승제와 브라켓 리셋으로 진행되었다. 박한솔이 5전 3선승제에서 3:0, 브라켓 리셋에서 선취점을 내줬지만 리버스스윕으로 2:1로 이기면서 우승을 차지했다.

3. 기타

파일:홈스토리컵1.jpg

파일:20161118172140274thxn.jpg

얼마나 자유로운 분위기인지 볼수 있는 사진들.

프로게이머들이 경기를 해설하는 점도 팬들에게 인기가 많다.

최근 온라인 대회인 쿵후컵에서 Take TV가 저지른 졸렬한 행동으로 팬들에게 욕을 먹고있다. 이후 Crank에게 Take TV가 사과하면서 해결되었다.

4. 입상현황

종족 우승 준우승 3위 4위 3~4위[9] 총합
테란 9 9 5 3 4 25
저그 11[10] 13 4 7 12 41
프로토스 10 8 5 4 2 26

참조

[1] 어떤 느낌인지 모르겠다면 지난 tving 스타리그 2012 전에 나왔던 우스개 중 하나였던 박완규 형님이 자기 돈으로, 자기 집에서 자기가 상금 다 대고, 장비 다 대고 북 치고 장구 쳐서 박완규배 스타리그 하는 거와 비슷한 어감이다. 현실은 Here I Stand[2] 규모가 커지면서 견실한 후원사가 붙기 시작했고, 본인이 운영하는 사이트를 이용한 수익도 있긴 하다.[3] 스1시절 은퇴후 부사관에 자원해 입대했으나 무릎 부상으로 중도 포기한 적이 있었다.[4] 그 전에도 시즌 15때 예선 참여가 저조한 이유 등으로 전원 초청을 한 적이 있긴 하다.[5] 3연속 우승을 달성한 윤영서의 기록을 이번에 확실히 깼다.[6] 특히 Serral은 두 번이나 붙었는데 두 경기 모두 1:3으로 패하면서 최종순위 3위로 마무리했다.[7] 25회차 우승자는 고병재. 우연의 일치인지 결승전에서 모두 한국인에게 패배했다.[8] 다만, 조성주는 이전부터 Homestory Cup에 나오지 않았다가 지난 대회에서 데뷔전을 치뤘었다.[9] 3,4위를 나누지 않은 일부 시즌들[10] 얀스 오스골드, 아르투르 블로흐, 요나 소탈라 전부 외국인 우승자들이며, 공허의 유산으로 진행된 홈스토리컵 유일한 저그 우승자는 5회 연속 우승자인 요나 소탈라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