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現 프로 포커 플레이어, 방송인 홍진호의 포커 플레이어 활동을 기록한 문서.2. 주요 경력
<rowcolor=#373a3c> 날짜 | 대회명 | 이벤트명 | 순위 | 상금 | 비고 |
2019년 | |||||
3월 30일 | J88Poker Tour Taiwan | NT$ 22,500 + 2,500 No Limit Hold'em - Main Event | 2위 | $ 43,716 | |
8월 4일 | Asia Pacific Poker Tour - APPT Manila | ₱ 200,000 No Limit Short Deck High Roller Turbo | 2위 | $ 9,645 | |
9월 11일 | Asian Poker Tour - APT Manila | ₱ 25,000 + 2,500 No Limit Hold'em - Monster Stack (Event #1) | 1위 | $ 14,493 | 공식 첫 우승기록 |
9월 16일 | ₱ 100,000 + 7,500 No Limit Hold'em - High Rollers #2 Day 1 (Event #8) | 2위 | $ 26,701 | ||
9월 21일 | ₱ 100,000 + 7,500 No Limit Hold'em - High Rollers #3 (Event #17) | 2위 | $ 9,783 | ||
10월 1일 | J88Poker Tour Shanghai | ¥ 3,000 No Limit Hold'em - Main Event | 1위 | $ 59,324 | |
10월 5일 | ¥ 6,000 No Limit Hold'em - Monster Stack | 3위 | $ 11,612 | ||
10월 10일 | Asian Poker Tour - APT Taiwan | NT$ 30,000 + 3,000 No Limit Hold'em - APT Main Event | 2위 | $ 42,220 | 본인 해설 다시보기 |
10월 16일 | NT$ 45,000 + 4,500 No Limit Hold'em - Championships Event | 1위 | $ 55,402 | 다시보기 | |
2022년 | |||||
6월 24일 | Wynn Summer Classic | $ 3,500 No Limit Hold'em Championship | 1위 | $ 696,011 | 한국인 단일 대회 상금 1위 다시보기 |
7월 10일 | 53rd World Series of Poker - WSOP 2022 | $ 1,979 No Limit Hold'em - Poker Hall of Fame Bounty (Event #76) | 1위 | $ 276,067 | 브레이슬릿 획득 |
7월 15일 | World Poker Championship - WPC SESSION2 | KRW 2,000,000 No Limit Hold'em - Mega Highroller | 2위 | $ 29,358 | 딜메이킹 다시보기 |
8월 13일 | WFP Syndrome 3 | KRW 2,000,000 No Limit Hold'em - Super High Roller #6 | 3위 | $ 44,528 | |
2023년 | |||||
1월 5일 | Korea Sports Hold'em KSH Festival | KRW 1,500,000 + 150,000 No Limit Hold'em | 2위 | $ 11,916 | |
2월 23일 | KRW 2,000,000 + 200,000 No Limit Hold'em | 2위 | $ 16,958 | ||
6월 6일 | 54rd World Series of Poker - WSOP 2023 | $ 5,000 No Limit Hold'em - Freezeout - 8-Handed (Bracelet Event 12) | 4위 | $ 208,158 | 다시보기 |
8월 20일 | WFP Syndrome 6 | KRW 800,000 No Limit Hold'em - Main Event | 1위 | $ 188,281 | 국내 대회 첫 우승 다시보기 |
11월 25일 | U Series Of Poker - USOP DANANG | #39 Billionaire Club Challenge | 1위 | $ 211,342 | 다시보기 |
2024년 | |||||
1월 26일 | WFPxKAIROS II | KAIROS 300 | 3위 | $ 35,910 | 다시보기 |
- 기타 입상 경력은 홍진호 포커 기록에서 확인 가능.
3. 프로 데뷔 이전
- 홍진호가 포커를 처음 접한 것은 프로게이머 시절로 알려져 있으며, 프로게이머 은퇴 후 프로포커플레이어를 준비하던 중 2013년 더 지니어스에 출연한 것을 계기로 방송계로 진출하게 되어 포커 플레이어로서의 데뷔를 미뤘다.[1] 실제로 더 지니어스에서도 카드 게임에 능한 모습을 보였다.
- 2019년 상반기까지는 스케줄이 되는 한 대회에 나갈 것이라고 말했기 때문에 전업은 아닌 셈이었다. 원래는 방송에 더 큰 비중을 두고 포커는 시간날 때마다 하는 정도로 하려고 했는데 포커 쪽이 성적이 잘 나오다보니 반대의 상황이 되었다. 실제 주변 포커 플레이어들이 홍진호의 성적을 보고 포커 전업을 권유했다고 한다.
- 첫 머니인 기록은 2015년 9월에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APT 마닐라에 참가하여 35위을 기록하며 $407의 상금을 획득한 것이다. 2018년에도 포커스타즈에서 개최한 Manila Megastack 9에 참가하여 메인 이벤트에서 20위를 기록히며 $2,450의 상금을 획득한 경력이 있다.[2]
- 2019년부터 완전히 프로 포커 플레이어로 전향하며 아시아에서 손꼽히는 실력자로 주목받더니 2022년 WSOP 브레이슬릿과 윈 서머 클래식 메인 이벤트 우승을 하며 명실상부 대한민국 원탑 포커 플레이어로 우뚝 섰다. 2023년 현재, 여전히 엄청난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3]
- 2022년까지는 포커 플레이어로서의 활동에 더욱 무게를 두고 방송활동은 최대한 자제한다는 태도를 보였다.[4] 하지만 2022년 포커 플레이어들의 최고의 영예인 WSOP 브레이슬릿을 획득하며 2022년 연말 더 타임 호텔과 2023년 1월 피의 게임2 촬영에 임하더니 2023년부터는 포커 대회 스케줄과 겹치기 않는다면 간간히 방송활동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 2023년 8월 출연한 배성재의 텐에서 4년 전 쯤부터 포커에 올인하며 집중했던 것이 큰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고 말한 바 있으며, 궁극적인 목표는 WSOP 메인 이벤트 우승이라고 한다.
4. 프로 데뷔 이후
- 2024년 3월 THM 기준, 한국 상금 랭킹 4위[5], All Time Money List 최고 성적 866위, Global Poker Index 61위이다.[6] GPI와 POY 모두 국내 랭킹 1위이며[7] 2022년과 2023년 2년 연속 두 항목 모두 1위를 차지했다.
4.1. 2019년
- 2019년부터 본격적인 프로 포커 플레이어로서의 활동을 시작했다. 공식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첫 머니인은 3월 30일 대만에서 열렸던 J88POKER Tour Taiwan의 메인 이벤트 2위를 한 것이다. 이때까지는 방송활동을 병행하고 있었다.
- 4월 대만에서 치러진 J88POKER Tour 메인 이벤트에 출전해 2등을 차지했다. 조금 아쉬운 상황이긴 했는데 홍진호는 Q-Q를 들고 상대는 10-10을 든 상태[8]에서 올인이 된 유리한 상황이었는데, 4번째 카드 오픈(턴)에서 10이 나오는 바람에 상대의 승리로 끝나버리고 말았다.
- 다음 기록은 WSOP 기간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Wynn Summer Classic이다. 이후 7월부터 10월까지 아시아권 대회에서 다수의 우승과 준우승, 이 외의 준수한 성적을 보이며 아시아권에서 주목할 만한 플레이어가 되었다.
- 9월 12일, APT Manila의 첫번째 이벤트인 Monster Stack에서 공식적인 첫 우승을 차지했다.
- 10월 7일, J88POKER Tour의 메인 이벤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우승 후 SNS에 올린 게시물
- 10월 15일 APT 대만 메인 이벤트에서 2등을 기록하였고, 이어 20일에 진행된 APT 챔피언십[9] 이벤트에서 우승하였다.
- 2019년 WSOP에 처음 참가했다. 당시 배성재의 텐에 고정 출연 중이었는데, 이번 대회는 경험 차 한 번 가본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4.2. 2020~21년
- 코로나 시즌이 큰 타격이 되었다. 2019년 데뷔와 동시에 가파르게 성장하며 아시아에서 가장 눈에 띄는 플레이어로 활동했으나 국내에 발이 묶인 이후 그닥 좋은 성적을 내지는 못했다. 이는 본인도 인정하는 부분.
- 대부분의 플레이어들이 온라인 위주로 플레이 하는 기간이었는데 홍진호는 오프라인에 비해 온라인이 약한 모습을 보이기에 큰 성적을 내지는 못했다.
- 2021년 WSOP에 참가해 6번의 머니인을 했으나 2달 동안의 모든 일정을 소화하며 많이 지친 듯한 모습을 보였다. 이 시기는 OPS팀 소속 팀프로였으므로 OPS tv를 통해 당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재생목록[10]
- 2021년 8~9월[11] 투에이스 TV에서 방영한 홀덤 프로그램인 포커 신들의 전쟁 인비테이셔널에서 쟁쟁한 플레이어들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2] 이후 2ace의 앰버서더로 활동하고 있으며 2017년 방영한 시즌 1 때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주며 호평을 들었다.재생목록
4.3. 2022년
- 2022년 상반기 국내대회에서 파이널 테이블에 진출하는 등 다소 아쉽지만 좋은 모습을 보여 '2022년의 홍진호는 다를 것인가?'에 대한 기대치를 높였다. 본인의 신규 사업과 2월에 있었던 방송활동 등으로 바빴으나 최대한 참가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 코로나 시즌에 위축된 모습을 보이더니 2022년 WSOP 참가를 위해 라스 베가스로 출국하기 전 개인방송에서 자신 없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2022년 Wynn Summer Classic 메인 이벤트를 우승하며 한국인 단일 대회 상금 1위를 차지하더니 2주만에 WSOP 브레이슬릿을 차지하며 달라진 모습을 보여줬다.
- 2022년 미국에서 열린 2022 Wynn Summer Classic, $ 3,500 No Limit Hold'em Championship 에서 우승하며 상금으로 69.6만달러(한화로 대략 9억원[13])을 획득했다. 무려 2번째로 좋은 카드인 KK로 우승을 차지했다. # 참고로, 이 대회 우승으로 상금 누적액 100만 달러를 돌파했으며, 뿐만 아니라 임요환의 누적 상금액수[14]를 가뿐히 넘어섰다. 다시 말해 이 대회 우승 한번으로, 임요환의 몇년치 기록을 한번에 추월해 버렸다. 홍진호는 몇년 전부터 상금 랭킹만 임요환보다 낮을 뿐 실력 자체는 홍진호가 우위였다는 평가를 많이 받았는데[15]이 우승으로 상금 랭킹도 앞서며 그말이 옳았음을 증명했다. 전체 한국인 포커 플레이어로 쳐도 한국인 포커 상금 랭킹 최상위권으로 한번에 치고 올라 가며, 대한민국 전체에서 손가락 안에 꼽을만한 실력자로 인정받고 있다.
[16] - 그리고 2주만에 또 우승을 차지했다(7월 10~12일). 'WSOP 2022, Poker Hall of Fame Bounty (Event #76)'에서 865명 중 우승을 차지하며 상금 27.6만달러 획득과 함께 한국 국적 4번째 WSOP Bracelet의 주인공이 되었다. 프로 포커 플레이어라면 누구나 염원하는 브레이슬릿 획득으로 상금과 상관없이 상당히 감격했다는 후문.[17] # 이로써 2022년 메이저 대회 2번의 우승을 기록했다.
- 2021년까지만 해도 홍진호의 포커 실력은 포커에 관심있는 포커플레이어들을 제외한 일반인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었다. 그렇지만 그 전에도 사실 “포커 신들의 전쟁#”과 "포커 신들의 전쟁 인비테이셔널#” 이라는 한국에서 손꼽히는 포커 실력자들[18]을 모아놓고 진행한 대회에서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는 등 포커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게는 이미 상당한 실력자로 인정받고 있었다.[19][20]
- 2022년
콩의 해Wynn Summer Classic 에서의 우승, WSOP Bracelet 를 획득하며 이 두 대회 상금으로만 약 100만 달러 가까운 엄청난 상금을 획득, 명실상부 대한민국 최고의 포커 플레이어 중 하나로 올라섰다. - WSOP에서 브레이슬릿을 딴 다음 날 방송 스케줄로 바로 입국하더니 바로 대회에 참가해 하이롤러 이벤트에서 2등을 차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 12월 Wynn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WPT 월드 챔피언십에서도 한국인 중에 가장 돋보이는 성적을 보였다. 아쉽게 파이널 테이블을 놓쳤으나 29위, 10위, 12위를 차지했다.
- 12월부터 2023년 2월까지 방영한 포커 신들의 전쟁 라그나로크에서 어우콩스의 마스터로 등장해 브레이슬릿 위너의 실력을 뽐냈다. 촬영은 4월에 진행되어 브레이슬릿을 획득하기 전이었으나 어떻게 브레이슬릿 위너가 되었는지 실력으로 증명해보였다.
- 2022년 메이저 대회 우승과 여러 준수한 성적으로 누적 상금 $1,000,000을 뛰어넘고 2022 대한민국 POY에 선정되었다.
4.4. 2023년
- 연초부터 국내 대회에 참가해 2등이라는 성적으로 2023년을 시작했다. 이후 2월 같은 대회사의 대회에서 또 다시 2위를 차지하며 우승에 가까워지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 2023년 5월 13일 서울 스위스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2023 APL 대회의 메인 이벤트 Day 2, GPI 한국 랭킹 2위인 홍진호는 경기 중 놀라운 상황을 만났는데 칩으로 2를 그리고 기다리던 중 받은 핸드가 다이아 2 카드, 스페이드 2 카드가 나와 포켓을 이룬 것. 홍진호는 20만 칩을 보유한 상황에서 2만 칩을 베팅했다. 이후 20만 칩을 올인했고, 모두 폴드하며 이 판에서 2겼다. 이후 인터뷰에 따르면 평소에는 2포켓으로 올인을 하지 않지만 방송 테이블이라 팬서비스로 한 행동이라고 한다.#
- 2023 WSOP 기간 역시 홍진호의 것이었다. 브레이슬릿 이벤트에서 아쉽게 우승을 놓치고 4위를 차지했으나 한국인 중 가장 좋은 성적으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 해당 기간에 열리는 큰 대회인 WSOP와 WSC, DCPS까지 모두 파이널 테이블에 진출하는 파이널 테이블 그랜드 슬램이라는 엄청난 성적을 보였다. 특히 윈 서머 클래식 파이널 테이블 당시 몸상태가 상당히 좋지 않았는데도 파이널 테이블에 진출하는 투혼을 보였다.
- 홍진호의 WSOP 기간 ITM 횟수는 WSOP 7회, WSC 3회, DCPS 3회로 총 상금 $475,645라는 압도적인 국내 1위를 차지했다.
- 메인 이벤트 역시 그동안 데이 1에서 광탈하던 모습을 벗어나 데이 4까지 진출했다.
- 그리고 8월 드디어 국내 우승을 이루어냈다. 국내 탑 3 대회 중 하나인 WFP 신드롬 6에 참가하여 ITM 3회, 그 중 2번을 파이널 테이블에 진출하여 메인 이벤트 우승을 이루어 낸 것이다. 이로써 그간 국내에서는 우승을 못했다는 아쉬움을 털어냈다. 메인 이벤트 우승 상금은 한화 240,000,000원으로 특히 헤즈업에서 압도적인 실력을 보여주며 우승을 차지했다.경기영상
- 2023년 8월까지 준수한 성적으로 누적 상금 $1,000,000을 뛰어넘은지 1년이 채 되지 않아 $2,000,000을 달성했다.
- 2023년 11월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USOP 2023 대회의 39번째 이벤트 'Billionaire Club Challenge'에서 1위를 차지하며 45억 8,500만 동(약 2억 4천만 원)의 상금을 차지했다. 누적 상금은 약 31억 원이라고 한다. 해당 대회 한국인 누적 상금 및 단일 상금 1위를 차지했다. #
4.5. 여담
- 경력에 비해 엄청난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21] 실제 포커를 접한 것은 오래되었지만 프로로서 접근하는 것과 아마추어로 즐기는 것은 매우 다를 수밖에 없다. 방송활동 이전에도 프로를 준비했었다고는 하지만 대회를 참가한 것은 아니므로 본인이 말하는 것처럼 지난 4년 간의 올인과 타고난 재능이 빛을 발하는 듯하다.
- 홍진호 본인이 말하기를 자신은 부딪혀가며 배우는 스타일이라 많이 경험해보며 성장했다고 한다. 실제로 포커 플레이어들은 자료가 대부분 영어이고 대부분의 해외 대회에서는 테이블에서 영어 이외의 언어[22]를 사용하면 페널티가 주어지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영어를 구사할 줄 알아야 한다. 하지만 홍진호는 영어를 거의 못한다.
매년 배워야 한다고 시도는 하지만 실패했다내 친구 파파고
- 포커 플레이어로서 홍진호의 특징은 익스플로잇을 아주 잘한다는 것이다.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출신으로 1:1 심리전과 순간적인 판단에 강하고 마치 맵핵을 쓰는 듯한 카드 리딩 실력이 압도적이다. 실제로 그의 경기 영상을 몇 개 본다면 감탄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23].
- 포커 대회에 계속 참가하다 보니 임요환과 마주치는 일이 많다고 한다. 홍진호 "대회를 하다보니 전생에 원수랑 자꾸 만나고 밥도 같이 먹게됨"
[1] 2019년 출연한 침터뷰에서 프로게이머 은퇴 시점부터 포커는 준비 중이었으나 더 지니어스 출연 이후 생각도 없던 방송활동 쪽으로 물꼬가 트이며 방송 쪽으로 길을 돌린 것이라고 언급한 적이 있다[2] 당시 정식 포커플레이어로 활동한 것이 아니므로 데뷔 이전으로 분류한다[3] 실제로 홍진호의 2023년 8월 기준 총 상금 누적액은 국내 2위이지만 프로로서 활동해온 기간이 짧다는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성적이다[4] 개인 방송에서 왜 방송활동을 하지 않냐는 질문에 답한 내용이다[5] 그러나 1위와 2위가 한국인이 아니므로 실질적으로 2위[6] 참고로 THM에 등록된 플레이어 수는 827,255명이다.[7] GPI는 3년 동안의 해당 플레이어의 성적 중 기준에 따라 선정한 19개의 성적의 포인트를 합산한 것이고 POY는 Player Of Year로 해당 년도 성적 중 포인트가 높은 성적 13개를 합산한 것.[8] 홍진호가 이길 확률이 81%에 달하는 상태다[9] 참가비가 높은 하이롤러 이벤트로, 메인 이벤트만큼 참가자가 많지는 않은 대신 잘하는 선수들 위주로 출전한다.[10] 2022년 영상도 함께 있으니 날짜를 확인해야 한다[11] 촬영은 2021년 봄에 진행되었다[12] 애초의 우승 상금은 순수 상금 1억 원+버짓(2ace 스폰서쉽) 1억이었으나 딜 당시의 칩리더이던 홍진호의 주도 하에 4등까지 상금을 나누고 버짓 역시 2등까지 나눠가지기로 하여 6천만 원과 버짓 $70k로 축소되었다.[13] 각종 세금을 제외하고 나면 실 수령액은 6억원대 초중반으로 예상[14] 2022년 6월 30일 기준 약 61만 달러[15] 임요환이 훨씬 오래전부터 대회에 참가했기 때문에 누적 상금만 더 높을 뿐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임요환 본인 역시 '진호가 포커를 더 잘한다'고 했을 정도.[16] 홀덤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보면 알겠지만 국내 상위권~최상위권 플레이어들과 같이 기념사진을 찍은 모습이다. 파이널 테이블 당시 다른 이벤트가 없어 WSOP에 참가한 한국인 대부분이 모였다고 한다.[17] WSOP 브레이슬릿 팔찌를 딴 사람들이 하나같이 해당 대회 상금을 반납하라 해도 팔찌는 내놓을 수 없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전 세계 포커 플레이어에게는 최고의 영예이다.[18] 아르테 현성주[24], 스티브 예[25], 써니 정[26], 김수조[27] 등[19] 특히 홍진호는 포커 1:1 매치업2명이 하는 플레이다인 헤즈업에서 강한 두각을 드러내는 포커플레이어로 정평이 나 있는데 헤즈업은 실제로 6명 이상 테이블에 앉아 플레이하는 포커보다 훨씬 더 고난이도의 실력과 기술을 요하기 때문에 헤즈업을 잘하는 선수라는 것은 이미 상당한 실력자라는 이야기이다. 해외에서는 헤즈업의 최고 강자로 Doug Polk 가 있는데 이사람 역시 역시 손꼽히는 실력자이다.[20] 아쉽게도 포커 신들의 전쟁 라그나로크는 파이널 테이블을 목전에 앞두고 탈락했다.[21] 실제로 홍진호의 2023년 8월 기준 총 상금 누적액은 국내 2위이지만 프로로서 활동해온 기간이 짧다는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성적이다[22] 보통은 여기에 대회 개최국가의 언어 정도까지만이 허용된다.[23] 이 장면 바로 뒤이어 써니정, 김갑용, 코몽 등 내로라하는 플레이어들 모두가 "폴드 아니냐?", "이길 게 없잖느냐.", "나였으면 콜 못했다."고 말하지만 "그렇게 생각 안 했다."고 확신하는 홍진호의 모습이 압권이다. 뒤이은 홍진호의 해설에 따르면 본인이 진다면 K-K 하나인데, 캘빈리의 베팅 라인을 생각했을 때 K-K에 최적화 된 베팅은 아니었다. 그렇다면 A-A로 찹이 나거나, 낮은 확률로 자신이 이기는 패일 거라 확신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