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1 21:09:16

전거리교화소

회령전거리수용소에서 넘어옴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안전성 휘장.svg 로동교화소
<colbgcolor=#cccccc,#333333> 평양시 안전부 [[강동교화소|
4
강동교화소]] · 청운동교화소 · 형제산교화소
강원도 안전부 [[용담교화소|
8
용담교화소]] · [[천내교화소|
10
천내교화소]]
자강도 안전부 [[강계교화소|
7
강계교화소]] · [[성간교화소|
6
성간교화소]] · 장강교화소
량강도 안전부 -
평안남도 안전부 [[개천교화소|
1
개천교화소]] · 숙천교화소 · [[증산교화소|
11
증산교화소]]
평안북도 안전부 [[백토교화소|
3
백토교화소(신의주교화소)]]
함경남도 안전부 [[오로교화소|
22
오로교화소]] · 금야교화소 · [[함흥교화소|
9
함흥교화소]] · [[단천교화소|
77
단천교화소]]
함경북도 안전부 [[전거리교화소|
12
전거리교화소]]
황해남도 안전부 해주교화소
황해북도 안전부 금옥리교화소 · [[사리원교화소|
6
사리원교화소]]
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안전성 휘장.svg 로동단련대
전체 덕원단련대 · [[동림단련대|
2
동림단련대]] · 영광단련대 · 온성단련대 · 승호리단련대
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안전성 휘장.svg 로동교양소(집결소)
전체 무산집결소 · 신의주집결소 · 온성집결소 · 청진농포집결소 · 혜산집결소
}}}}}}}}}

파일:북한 국기.svg 함경북도로동교화소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D1C27,#222222><tablebgcolor=#ED1C27,#222222> 파일:북한 국장.svg전거리 제12호 교화소
全巨里第十二號敎化所

Chŏngŏri Concentration Camp
}}} ||
파일:전거리 수용소_구글 어스.png
▲ 전거리 제12호 교화소의 위성 사진
<colbgcolor=#ED1C27,#222222><colcolor=white> 설립 1980년대
목적 북한 형법에 의거한 공식적 구금시설
✔ 노동교화형 선고자 수용
수용자 활용을 통한 노동력 착취
규모 부지면적 약 0.03㎢
수용인원 최소 2,000명 이상
상위 조직 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안전성 휘장.svg 사회안전성 교화국
운영 여부 운영 중
주소

전거리 제12호 교화소
(함경북도 회령시 전거리)

1. 개요2. 상세3. 참고 문헌 및 링크

[clearfix]

1. 개요

북한로동교화소. 비밀리에 행해지는 외부 연락이 북한치고는 흔하고, 탈북이 북한에서 가장 흔한 곳으로 꼽히는 함경북도 북단에 있기에 그 실상이 외부에 어느 정도 알려지게 되었다. 남서쪽으로 2.5km 떨어진 곳에 함북선 전거리역이 있다.

2. 상세

파일:전거리교화소 설명.jpg
전거리교화소의 용도에 따른 시설 구조

가로 350m, 세로 150m의 조그만 수용소. 가운데에는 세 칸으로 칸막이가 되어 있는 구조이다. 사실 칸막이가 확실한 건 가장 오른쪽의 가로 150m 세로 150m의 정사각형 모양의 구역인데 여기가 바로 수용소의 중요 부분이다. 이 좁은 수용소에 300명의 경비가 몰려 있다. 모두 중화기를 장비한 상태이다.

원래는 평범한 교화소였다. 정치범도 일부 수감되긴 했지만 2005년까지 주로 수용되는 사람은 일반적인 범죄자들이 수용되는 곳이었는데 예를 들자면 절도범 같은 사람들이 여기에 끌려와서 수감되었다. 수감 인원은 당시는 2천 명이었다. 그런데 국경과 가까운 함경북도에 위치해있다보니 중국에서 잡힌 탈북자들이 죄다 여기에 수감되기 시작하면서 졸지에 준정치범 수용소화가 되어버렸다. 한국과 대북송금 혹은 전화 통화를 하다 잡힌 사람들도 이 교화소로 끌려오면서 수감 인원이 늘어나버린 것이다. 2007년부터 여자교화소가 생겼는데, 함경북도 여자들이 개천교화소나 증산교화소에 수감되면 가족이 면회가기가 힘들어 사망자가 많이 발생했기에 전거리교화소에 여자교화소가 신설되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아예 2009년을 전후해서 정치범수용소 수준의 고강도로 노동을 시키는 교화소가 되었다.

삼촌을 사고로 죽인 리준하가 이 곳에 수감되었다가 탈출에 성공했는데 이 사람의 증언에 따르면 수용소의 실상은 다음과 같다.
  • 구리 광산, 조그만 공장, 벌목장 등에서 수감자들이 하루에 14시간 일을 한다. 실제로 광산은 수용소에서 500m 정도 남쪽에 있다.
  • 1천 명의 수감자에게 배당된 화장실은 달랑 하나. 이토록 사람이 몰려 있기 때문에 불결하고 병에 걸리기 쉽다. 방 안에는 벌레들이 들끓을 정도.
  • 수감자들은 자주 죽거나 심하게 다친다. 일을 할 때 기초적인 장비 외에 다른 것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
  • 한 끼 식사에 받는 쌀의 양은 고작 140g. 이 때문에 수감자들은 매우 배고픈 상태이며 풀을 뜯어먹는 것은 예사. 심지어 소의 배설물 속의 옥수수까지 먹는 일이 있다고 하니 얼마나 열악한 상황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마저도 적발되면 주먹과 군화발, 개머리판이 종합세트로 날아온다.
  • 매달 3~40명의 수감자가 영양실조, 사고, 고문으로 목숨을 잃으며 시체는 인근의 불망산에서 화장된다. 때문에 가족들은 단지 사망 통지서 한 통으로 사망 소식을 전달받게 된다.
  • 규칙을 어길 시에는 극심한 고문 이후에 작은 방에 수감되는데 방의 크기가 1㎡에 불과. 다리를 뻗을 수 없을 정도.
  • 수용소 탈출을 시도했다가는 물론 즉결 처형.

강철환칼럼에 따르면 2007년 이전까지는 북한은 탈북자들을 세 부류로 나누어서 관리했는데 이 중 가장 정도가 낮은 식량난으로 인한 단순 탈북자는 3등급으로 되어서 6개월의 로동단련형이나 2년 이하의 로동교화형으로 처벌받는 정도였으나 당국에서 국경을 넘은 자들은 민족반역죄로 다스리라는 명령이 하달되면서 무조건 교화형을 받아 전거리에 수감된다고 한다.

동 칼럼의 말미에 보면 한 탈북자가 말하길 '차라리 요덕 제15호 관리소가 나을 정도로 전거리는 사람 잡는 곳'이라고 이야기할 정도니 말 다 했다.[1] 아무리 건강해도 석 달을 버티지 못하고 죽어나간다고. 하기사 북한은 구류장에 석 달 수감되기만 해도 출소 후 반 년을 버티지 못하고 사람이 죽어나가는 곳이다. 원칙적으로는 수감 생활을 한 뒤 사회로 되돌아가야 하지만, 전거리로 올 정도면 선고되는 형량도 길고 교화소의 노동 강도도 참혹해서 수감자들이 영양실조와 질병으로 죽어나가는게 현실이다.

북한 내 인사도 데일리NK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전거리교화소를 "살아있는 지옥"에 비유하며 내부 생활은 "너무 한심한 최하층 바닥 그 이하"로 평했을 정도니 말 다 한 셈이다. 참고로 해당 소식통의 증언대로라면 이 수용소의 연간 사망자는 100명 정도라고 하며,[2] 당과 법기관은 탈북자들을 '국제사회가 인권 공세를 취하는 데 빌미를 제공한 사람들'로써 '국가를 망신시킨' 요주의 인물로 간주해 이들이 죽는다고 해도 전혀 문제가 없다고 여긴다고 한다. #
북한 주민이 직접 이야기하는 전거리교화소
죄수들은 가족들이 면식을 가져다 주지 못하면 버티지 못하고 굶어죽으며, 교화소 안전원들은 전거리교화소로 면회를 오는 가족들을 이용해 돈벌이를 하고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2017년 전거리교화소 수감자 20명을 조사한 결과 이들이 목격한 동료 수감자 276명 중 24.3%가 사망했다고 한다. 물론 중복 집계 가능성도 감안해야 한다. #[3] 그러나 김정은 집권 초 로동교화소에 수감자 가족들의 면회를 허용하면서 수감자들이 가져온 음식에 따라 사망자 비율이 대폭 감소했다고 한다. #

결론을 말하면 한마디로 완전통제구역의 트라이얼판. 그나마 이곳이 완전통제구역보다 나은 점은 형량을 받아 수감되는 곳인지라 형기를 마치면 석방될 수 있다는 것이다. 탈북 기도로 전거리교화소에 수감되었다가 출소한 뒤 다시 탈북에 성공한 사람들이 한국에 와서 전거리교화소의 실상에 대해 증언을 한 사례가 많기에 살아서 나가는게 불가능한 곳은 아니다. 또한 사면을 받거나 병보석으로도 나올 수도 있다. 그러나 노동 강도만 따지면 5년만 살아도 기적이라고 할 정도로 사람 잡는 곳이라 중형을 받으면 형량을 다 채우고 살아서 나올 확률은 희박하다.

3. 참고 문헌 및 링크

  • 《교화소 이야기》 - 전거리수용소에 관한 탈북민 리준하의 수기이다. 인터넷에도 일부 수기가 연재되어 읽어볼 수 있다.

[1] 물론 이는 요덕수용소의 생존자들이 전부 혁명화구역(석방이 가능한 구역이다. 완전통제구역은 석방 자체가 불가능하다.) 출신이기 때문이란 것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2] 상술한 수감자 수(약 2000명)를 고려하면 연간 사망률이 무려 5%에 육박하는 셈이다. 이는 정치범수용소의 연간 사망률과 비슷한 수준이다.[3] 해당 연구에서는 로동교화소의 사망률을 0.1%로 추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