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vinkään rautatieasema Hyvinge järnvägsstation 휘빈캐역 | ||
파일:VR_Group_logo.svg | ||
주소 | ||
Rautatienkatu 9, Hyvinkää | ||
역 운영기관 | ||
VR | ||
개업일 | ||
1862년 3월 17일 | ||
VR 통근열차 | ||
헬싱키 방면요켈라 ← 10.8 ㎞ | T선 | 리히매키 방면리히매키 12.7 ㎞ → |
헬싱키 방면얘르벤패 ← 22.0 ㎞ | D선 | 리히매키 방면리히매키 12.7 ㎞ → |
헬싱키 방면요켈라역 ← 10.8 ㎞ | R선 |
|
역전 광장에서 바라본 역사 |
|
역 전경 |
1. 개요
우시마 휘빈캐 중심가에 위치한 철도역.2. 안내도
|
크게보기(PDF) |
3. 역사
1862년 개통 당시 휘빈캐역 주변은 아무도 살지 않는 무주지였으나, 열차 승객들의 편의를 위해 약 4km 떨어진 휘빈캐퀼래[1]에 위치한 여관이 역 근처로 옮겨졌다. 1873년에는 사철인 휘빈캐-항코선[2]이 완공되고, 늘어난 상주 직원과 가족들을 위한 상점 및 복지시설이 지어지면서 휘빈캐역 주변은 발전하기 시작했다.20세기에 접어들면서 휘빈캐역의 중요도는 공업 발전 및 늘어나는 이민자들에 의해 높아져갔다. 1895년에는 역 주변에 공장이 처음 들어섰고, 그 이후에 옆 동네인 하우스얘르비 및 누르미얘르비에도 공장지대가 생기면서 역전 마을은 점점 성장해갔다. 반면 미국으로 떠나는 핀란드 각지의 이민자들은 휘빈캐까지 온 후 영국행 배가 정기적으로 운행했던 항코항까지 열차를 타고 이동했다. 항코 내 숙박시설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일부 이민자들은 휘빈캐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항코로 이동했고, 휘빈캐역에는 해운회사 직원이 파견 나와서 승선권을 팔기도 했다.
1949년에는 역 옆에 차량 기지가 완공되었고, 1962년에는 역 근처에 철길 침목용 철도청 소유 나무농장을 다른 곳으로 옮기면서 그 자리에 휘빈캐 시립 도서관, 시청사 및 중앙광장 등이 지어졌다.
1995년에는 역사에서 승강장으로 갈 수 있는 지하도가 지어졌다.
4. 승강장 구조
↑ 리히매키 | |||||||||
1 | | | | | | | | | 4 | 5 | | | ||
↓ 요켈라 |
1 | 헬싱키 방면 T R 선 |
4 | 리히매키 방면 T R 선 |
5 | 미사용 승강장 |
3면 5선으로 이루어져있다. 1번 및 4번 승강장 사이 중간 두 선로는 통과선으로 사용되고 있다.
5. 역 주변 정보
역 동편에는 중앙 우시마 보건소, 체육관, 스포츠센터, 휘빈캐 음악학교가 있고, 역 서편에는 빌라(Willa) 쇼핑몰, 휘빈캐 문화회관, 휘빈캐 미술관, 휘리아 직업학교, 호텔이 있다.6. 연계 교통
6.1. 버스
6.1.1. 맛카후올토 노선
휘빈캐역 버스 연계 정보 | ||
정류장 | 승강장 번호 | 노선 |
휘빈캐역 | 1번 | 45(라야매키) 45A(누르미얘르비) 46(클라우칼라) |
7번 | 12(리다스얘르비) 헬싱키-휘빈캐 |
6.1.2. 휘빈캐 교통국 노선
휘빈캐역 버스 연계 정보 | ||
정류장 | 승강장 번호 | 노선 |
휘빈캐역 | 1번 | 1(휘빈캐퀼래) 2(마우이말라) 2A(마우이말라) |
2번 | 2B(사하매키공단) | |
3번 | 3(베이카리) 4(하칼라) | |
5번 | 5(마르티) 6(파볼라) | |
7번 | 7(맷채칼테바) 11(아흐덴칼리오) 12(카우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