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삼국시대,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에 있었던 동명의 각기 다른 사찰들이다. 한국에서 현존하는 '흥복사'라고 불리는 사찰들은 모두 재건한 건물들이며, 일본의 나라시에도 한자까지 완전히 똑같은 사찰이 존재한다.2. 전라도
고구려의 승려 보덕이 전라북도 김제시 승가산(僧伽山)에 '승가사(僧伽寺)'라는 이름의 절을 창건하였는데, 이는 당시 고구려가 도교를 숭상하려 하자 보덕이 불교 부흥을 보장왕에게 건의했을 때에 거부당해서 결국 백제로 내려와 지었던 것이다. 이후 여러 중건과 중수를 거듭했다가 정유재란으로 인해 불타버렸다. 인조 대에 한 흥복처사가 김제의 극락전을 중건하여 그곳을 흥복사라고 불렀는데, 이때의 극락전도 결국 퇴락하였기에 현존하는 극락전이나 정혜원(定慧院)은 1920년대에 건립한 것이고, 미륵전, 삼성각(三聖閣), 사천왕문(四天王門), 요사 등은 1970년대에 중건되었다. 극락전 안에 있는 '흥복사 대웅전 목조삼존불좌상이 숙종 대에 지어진 것이 가장 오래된 것이다.3. 평안도
고려시대 문종 7년인 1053년 음력 10월 흥복사로 행차한다는 고려사 및 고려사절요의 서술을 보면 적어도 이 이전에는 창건되었음이 분명하며, 당시 왕실의 행차가 빈번했던 중요한 사찰이었다. 보한집에 의하면 오학린도 이곳을 자주 놀러간 듯하다. 의종 22년인 1168년 이후 고려 관련 사서에서는 더 이상 언급되지 않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평양부 남쪽 백보 거리에 흥복사가 존재한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15~16세기까지는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4. 경기도
조선시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신원동에 있었던 월산대군의 원찰(願刹)[1]이다.1488년(성종19) 세조의 장손이자 성종의 친형이었던 월산대군이 35세의 나이로 요절하자 평소 독실한 불자였던 정실 승평부대부인 박씨[2]가 1490년(성종21) 남편의 묘 근처에 흥복사라는 원찰을 창건했다.
당시 성종과 인수대비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규모가 매우 큰 절이었으며 박씨 부인은 월산대군의 명복을 빌기 위해 흥복사에서 자주 불사(佛事)를 일으켰다. 여기에서 법회를 개최할 때면 사대부가의 부녀자와 승려들이 대규모로 참여하여 성황을 이루기도 하였다. 당연히 유생들은 극력 반발하였으나 불사를 막지는 못하였다.
현재 흥복사는 사라져서 터만 남은 상태로, 그 자리에 월산대군 사당이 자리 잡고 있다. 흥복사가 왜 없어지게 되었는지는 기록에 자세히 남아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