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
Paper Rex | Fnatic |
| |
2. 경기 전 정보
Paper Rex | <colbgcolor=#6F4ACC,#6F4ACC><colcolor=#fff> | Fnatic | ||
매치 5승 1패 세트 10승 3패 | 마스터스 토론토 전적 | 매치 4승 1패 세트 10승 5패 | ||
전적 | 거부 | 맵 통계 | 거부 | 전적 |
2승 1패 | 0 | 스플릿 | 0 | 3승 0패 |
- | 6 | 헤이븐 | 0 | 0승 2패 |
1승 1패 | 4 | 어센트 | 1 | 3승 0패 |
1승 1패 | 0 | 아이스박스 | 0 | 2승 0패 |
1승 0패 | 1 | 펄 | 5 | - |
3승 0패 | 1 | 로터스 | 1 | 2승 1패 |
2승 0패 | 0 | 선셋 | 2 | 0승 2패 |
Paper Rex | |||||
<colbgcolor=#6F4ACC,#6F4ACC><rowcolor=white><colcolor=white><colkeepall> | PatMen | something | d4v41 | f0rsakeN | Jinggg |
ACS | 198.7 | 194.5 | 187.9 | 204.6 | 235.9 |
KD | 1.06 | 1.05 | 1.09 | 1.06 | 1.20 |
KPR | 0.70 | 0.70 | 0.71 | 0.71 | 0.83 |
Fnatic | |||||
<rowcolor=white> | Chronicle | kaajak | Boaster | Alfajer | crashies |
ACS | 210.3 | 221.8 | 147.2 | 254.7 | 186.4 |
KD | 1.18 | 1.17 | 0.83 | 1.32 | 1.14 |
KPR | 0.72 | 0.78 | 0.50 | 0.93 | 0.68 |
<rowcolor=#000,#fff> 순위 | 요원 | 선택률 |
1 | 오멘 | 84% |
2 | 바이퍼 | 64% |
3 | 소바 | 52% |
4 | 페이드 | 40% |
5 | 레이즈 | 33% |
6 | 사이퍼 | 32% |
7 | 요루 | 31% |
8 | 킬조이 | 30% |
<keepall> 결승 진행 전 기준 |
2.1. 관련 영상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결승 티저 |
3. 경기 전 전망
역대 마스터스 최다 진출 1, 2위인 PRX(7회)와 프나틱(6회)이 결승에서 만났다. 양 팀은 이번 결승이 마스터스 3번째 맞대결로 2022 마스터스 코펜하겐에서는 PRX가, 2023 마스터스 도쿄에서는 프나틱이 각각 2:0으로 승리한 적이 있다.권역별 지역리그 시스템으로 개편된 2023년 이후 처음으로 3시드 결승 진출팀이 된 PRX는 킥오프를 망치고 스테이지 1에서는 플레이오프 진출마저도 의심스러운 상황도 있었지만 아무튼 가까스로 진출한 플레이오프에서 T1 - 붐 - DRX를 연달아 잡아내는 반전을 보여주며 마스터스 막차를 타게 되었다. 비록 RRQ에게 패배하며 퍼시픽 결승과 EWC를 동시에 날려먹긴 했으나 어쨌든 반전의 기회를 잡아냈고, 스위스 스테이지에서는 젠지한테 한 번 얻어맞기는 했지만 젠지에게 맞으며 혈이 뚫린 것인지 파격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며 스위스 스테이지를 통과했고 플레이오프에선 G2 - 센티넬 - 울브스라는 만만치않은 일정을 세트 6전 전승으로 완벽하게 뚫고 2023년 챔피언스 이후 2년 만에 국제 대회 결승에 진출하는데 성공, 이번에야 말로 첫 국제 대회 트로피를 들어올릴 절호의 기회를 얻어냈다.
EMEA 스테이지 1 플레이오프에서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우승한 프나틱은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하필 모두가 꺼리는 젠지 폭탄을 줍게 되었고 아니나 다를까 젠지에게 1:2로 패하면서 패자조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1년 전 마스터스 상하이에서 첫 경기 젠지에게 패배하고 광탈을 하게 되었던 불길한 기억이 떠오르기 시작했으나 RRQ전부터 다시 폼을 끌어올렸고 상대전적에서 밀리고 있던 센티넬과 울브스를 모두 쓸어담으며 2023년 마스터스 우승 이후 오랜만에 결승에 진출, 이제 통산 2회 마스터스 우승에 도전한다.
두 팀 중 어떤 팀이 우승하더라도 로얄 로더가 탄생하게 된다. 팻맨과 카약 둘 다 팀이 위기일 때 투입된 구원 투수였던 만큼, 이번 결승에서 얼마나 좋은 폼을 보여줄지가 관전 포인트이다.
3.1. Paper Rex
PRX가 우승할 시 | |
팀 | 1. 창단 이후 첫 국제대회 우승을 거머쥐게 된다. 2. VCT Pacific 소속 팀이 3연속 마스터스 우승을 차지하게 되며, 이는 마스터스 최초로 권역 리그가 3연속 우승을 한 사례가 된다. 3. 2024년부터 시작된 헤레틱스의 저주[1][2]가 유지된다. 4. 모든 국제대회에서 최초로 3시드가 우승하게된다. 5. 2024년 국제대회부터 무대 입장 시 먼저 입장하는 팀이 우승하는 징크스가 유지된다. |
개인 | 1. 팻맨은 마스터스 로얄로더를 달성하게 된다. 2. 알렉스 감독, 판다 코치, 포세이큰, 다바이, 찡, 마인드프릭, 썸띵, 팻맨은 커리어 첫 마스터스 우승 커리어를 기록한다. |
3.2. Fnatic
FNC이 우승할 시 | |
팀 | 1. 국제대회 기준 3회 우승[3]으로 최다 우승 횟수 단독 1위에 오른다.[4] |
개인 | 1. 카약은 마스터스 로얄로더를 달성하게 되며, 첫 마스터스 우승 커리어를 기록한다. 2. 크로니클은 VCT 국제대회 최초 4회 우승을 달성한다.[5][6] 3. 보스터와 알파예르는 VCT 국제대회 3회 우승을 달성한다.[7] 4. 크래시스는 VCT 국제대회 2회 우승을 달성한다.[8] |
4. 중계진 승부 예측
정용검 | 채민준 | 김수현 | 정인호 | 김진영 | 유정선 | 박동진 |
| | | | | | |
5. 경기 내용
| 3 | 1 | | ||||||||
Paper Rex | Fnatic | ||||||||||
○ | × | ○ | ○ | - | × | ○ | × | × | - | ||
우승 | 결과 | 준우승 | |||||||||
| |||
<rowcolor=#6F4ACC,#6F4ACC> 캐스터 | 해설자 | 인터뷰어 | |
채민준 | 정인호 | 김진영 | 이정현 |
| <colbgcolor=#6F4ACC,#6F4ACC> | |
Paper Rex | Fnatic | |
<colbgcolor=#ff0066,#ff0066><colcolor=#000,#000> 패트릭 멘도사 (PatMen)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티모페이 흐로모프 (Chronicle) | |
일리야 페트로프 (something) | 카예탄 하렘스키 (kaajak) | |
할리시 루샤이디 (d4v41) | 제이크 하울릿 (Boaster) | |
제이슨 수산토 (f0rsakeN) | 에미르 베데르 (Alfajer) | |
왕징제 (Jinggg) | 오스틴 로버츠 (crashies) |
, advteam=PRX, ban1=헤이븐, ban2=어센트
, p_apic=선셋, p_bpic=아이스박스, p_apic2=펄, p_bpic2=로터스, p_cpic=스플릿
, 1attack=수비, 2attack=수비, 3attack=공격, 4attack=수비, 5attack=공격)]
5.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선셋, set=1, teamD=Fnatic, teamA=Paper Rex, dplayer1=Chronicle, dplayer2=kaajak, dplayer3=Boaster, dplayer4=Alfajer, dplayer5=crashies
, aplayer1=PatMen, aplayer2=something, aplayer3=d4v41, aplayer4=f0rsakeN, aplayer5=Jinggg
, dpic1=바이퍼, dplayer1kda=11 / 13 / 2, dplayer1acs=140
, dpic2=네온, dplayer2kda=20 / 14 / 0, dplayer2acs=265, dplayer2mvp=
, dpic3=오멘, dplayer3kda=10 / 16 / 10, dplayer3acs=120
, dpic4=사이퍼, dplayer4kda=23 / 18 / 4, dplayer4acs=264
, dpic5=소바, dplayer5kda=13/ 16 / 4, dplayer5acs=178
, apic1=바이퍼, aplayer1kda=16 / 17 / 6, aplayer1acs=190
, apic2=소바, aplayer2kda=14 / 16 / 3, aplayer2acs=171
, apic3=세이지, aplayer3kda=16 / 14 / 9, aplayer3acs=167
, apic4=오멘, aplayer4kda=22 / 17 / 7, aplayer4acs=255, aplayer4mvp=
, apic5=레이즈, aplayer5kda=15 / 17 / 9, aplayer5acs=205)]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FNC, dscore=11, ateam=PRX, ascore=13
, dfirstk=15, dthrift=0, dpostpwin=6, dpostp=6, dclutch=0
, afisrtk=9, athrift=0, apostpwin=8, apostp=10, aclutch=0)]
선셋에서 세이지를 기용하는 유일한 팀인 PRX가 기가 막힌 세이지 활용을 보여주며 첫 맵을 선취한다.
5.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아이스박스, set=2, teamD=Paper Rex, teamA=Fnatic, dplayer1=PatMen, dplayer2=something, dplayer3=d4v41, dplayer4=f0rsakeN, dplayer5=Jinggg
, aplayer1=Chronicle, aplayer2=kaajak, aplayer3=Boaster, aplayer4=Alfajer, aplayer5=crashies
, dpic1=바이퍼, dplayer1kda=22 / 25 / 1, dplayer1acs=192
, dpic2=제트, dplayer2kda=18 / 23 / 5, dplayer2acs=168
, dpic3=킬조이, dplayer3kda=29 / 21 / 3, dplayer3acs=222
, dpic4=소바, dplayer4kda=16 / 27 / 7, dplayer4acs=223
, dpic5=오멘, dplayer5kda=23 / 22 / 10, dplayer5acs=170, dplayyer4mvp=
, apic1=세이지, aplayer1kda=24 / 19 / 15, aplayer1acs=207
, apic2=제트, aplayer2kda=32 / 23 / 4, aplayer2acs=278, aplayer2mvp=
, apic3=바이퍼, aplayer3kda=11/ 22 / 16, aplayer3acs=124
, apic4=킬조이, aplayer4kda=25 / 25 / 2, aplayer4acs=217
, apic5=소바, aplayer5kda=26 / 19 / 7, aplayer5acs=201)]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PRX, dscore=15, ateam=FNC, ascore=17
, dfirstk=12, dthrift=0, dpostpwin=8, dpostp=14, dclutch=1
, afisrtk=20, athrift=0, apostpwin=9, apostp=11, aclutch=0)]
5.3. 3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펄, set=3, teamD=Paper Rex, teamA=Fnatic, dplayer1=PatMen, dplayer2=something, dplayer3=d4v41, dplayer4=f0rsakeN, dplayer5=Jinggg
, aplayer1=Chronicle, aplayer2=kaajak, aplayer3=Boaster, aplayer4=Alfajer, aplayer5=crashies
, dpic1=페이드, dplayer1kda=13 / 13 / 8, dplayer1acs=156
, dpic2=요루, dplayer2kda=14 / 17 / 6, dplayer2acs=162
, dpic3=바이스, dplayer3kda=20 / 11 / 4, dplayer3acs=230, dplayer3mvp=
, dpic4=아스트라, dplayer4kda=20 / 14 / 14, dplayer4acs=228
, dpic5=레이즈, dplayer5kda=15 / 14 / 6, dplayer5acs=217
, apic1=킬조이, aplayer1kda=14 / 15 / 4, aplayer1acs=167
, apic2=요루, aplayer2kda=8 / 18 / 4, aplayer2acs=100
, apic3=아스트라, aplayer3kda=14 / 16 / 11, aplayer3acs=195
, apic4=네온, aplayer4kda=22/ 19 / 5, aplayer4acs=269, aplayer4mvp=
, apic5=소바, aplayer5kda=11 / 14 / 6, aplayer5acs=152)]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PRX, dscore=13, ateam=FNC, ascore=10
, dfirstk=12, dthrift=0, dpostpwin=8, dpostp=10, dclutch=0
, afisrtk=11, athrift=0, apostpwin=7, apostp=7, aclutch=0)]
5.4. 4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로터스, set=4, teamD=Paper Rex, teamA=Fnatic, dplayer1=PatMen, dplayer2=something, dplayer3=d4v41, dplayer4=f0rsakeN, dplayer5=Jinggg
, aplayer1=Chronicle, aplayer2=kaajak, aplayer3=Boaster, aplayer4=Alfajer, aplayer5=crashies
, dpic1=페이드, dplayer1kda=16 / 17 / 9, dplayer1acs=160
, dpic2=요루, dplayer2kda=22 / 21 / 4, dplayer2acs=238
, dpic3=바이스, dplayer3kda=12/ 18 / 12, dplayer3acs=158
, dpic4=오멘, dplayer4kda=23 / 17 / 4, dplayer4acs=239, dplayer4mvp=
, dpic5=레이즈, dplayer5kda=16 / 16 / 3, dplayer5acs=182
, apic1=바이퍼, aplayer1kda=26 / 17 / 4, aplayer1acs=276
, apic2=레이즈, aplayer2kda=17 / 19 / 2, aplayer2acs=178
, apic3=오멘, aplayer3kda=6 / 17 / 9, aplayer3acs=77
, apic4=킬조이, aplayer4kda=29 / 17 / 2, aplayer4acs=330, aplayer4mvp=
, apic5=페이드, aplayer5kda=11 / 19 / 10, aplayer5acs=127)]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PRX, dscore=14, ateam=FNC, ascore=12
, dfirstk=14, dthrift=0, dpostpwin=6, dpostp=10, dclutch=1
, afisrtk=12, athrift=0, apostpwin=5, apostp=8, aclutch=0)]
6. 총평
6.1. 우승 | Paper Rex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결산#s-4.1.3|4.1.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결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2. 준우승 | Fnatic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결산#s-4.2.1|4.2.1]]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결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여담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발로란트 마스터스 역대 결승전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 2021 S2 | 2021 S3 | 2022 S1 | 2022 S2 | 2023 |
2024 MA | 2024 SH | 2025 BK | 2025 TR | }}}}}}}}} |
[1] 헤레틱스가 국제대회에 진출한 경우, 헤레틱스와의 대결에서 이긴 팀들이 각각 그 대회의 1위와 3위를 차지했다.[2] 2024 마스터스 마드리드: SEN(우승), PRX(3위) / 2024 마스터스 상하이: GEN(우승), G2(3위) / 2024 챔피언스 서울: EDG(우승), LEV(3위) / 방콕은 진출실패로 제외[3] 2023년 락인 상파울루, 2023년 마스터스 도쿄, 2025년 마스터스 토론토[4] 2위는 SEN(2021년 마스터스 레이캬비크, 2024년 마스터스 마드리드), 공동 3위는 그외의 모든 국제대회 우승팀이 된다.[5] 2021년 마스터스 베를린, 2023년 락인 상파울루, 2023년 마스터스 도쿄, 2025년 마스터스 토론토[6] S티어급 대회를 모두 합쳐도 단독 1위가 되며, 대한민국 최다 S티어급 대회 우승을 달성한 메테오의 기록을 2배 이상으로 제친다.[7] 2023년 락인 상파울루, 2023년 마스터스 도쿄, 2025년 마스터스 토론토[8] 2022년 마스터스 레이캬비크, 2025년 마스터스 토론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