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5 20:15:05

AN/PVS-7 NVG

AN/PVS-7 NVG
Night Vision Goggles
야간 투시용 고글
<nopad> 파일:anpvs7d_profifle 0.png
AN/PVS-7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야간투시경
원산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85년~불명
개발 야간투시전자광학장비연구소
ITT 인더스트리즈
리튼 인더스트리즈[1]
생산 ITT 인더스트리즈
리튼 인더스트리즈
노스롭 그루먼
L3 커뮤니케이션즈
아머사이트
ATN
이오시스템
사용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르헨티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르헨티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프가니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프가니스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라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라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필리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필리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사용된 전쟁 파나마 침공
걸프 전쟁
코소보 전쟁
테러와의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대IS 군사 개입
기종
파생형 AN/PVS-7A
AN/PVS-7B
AN/PVS-7C
AN/PVS-7D
제원
가로 141 mm
세로 156 mm
높이 78 mm
중량 680 g
배율
시야각 40°
해상도 >64 lp/mm
식별 거리 225 m
탐지 거리 325 m
전원 공급 AA 2개 또는
BA-5567/U 1개
재고 번호 5855-01-228-0939(AN/PVS-7A)
5855-01-228-0937(AN/PVS-7B)
5855-01-363-7491(AN/PVS-7C)
5855-01-422-5413(AN/PVS-7D)
}}}}}}}}}

1. 개요2. 역사3. 특징4. 종류
4.1. AN/PVS-7A4.2. AN/PVS-7B4.3. AN/PVS-7C4.4. AN/PVS-7D
5. 여담6. 출처

1. 개요

제1차 팔루자 전투 영상 리뷰 영상
합동 전자장비 제식명 명명법
Joint Electronics Type Designation System
도입 도입 슬래시 위치 유형 용도 하이픈 번호 계열 번호
A N / P V S - 7
육군 해군 / 휴대형 가시광 탐지용 - 7
AN/PVS-7 NVG(야간 투시용 고글, Night Vision Goggles)미국 육군 야간투시전자광학장비연구소ITT 인더스트리즈 및 리튼 인더스트리즈 사에서 개발된 3세대 양안식 야간투시경이다.

2. 역사

파일:anpvs7_usa 2.jpg
미국 육군AN/PVS-7
이는 비싸고 착용이 불편한 AN/PVS-5를 대체하려는 미국 육군에서의 수요로 개발되었으며, 1985년의 시장 조사로[2] ITT 인더스트리즈 및 리튼 인더스트리즈 사와의 계약을 거쳐 도입이 결정된 다음 파나마 침공 등의 실전들을 통해 미군 전체로 운용이 확대되었다.
파일:pvs7-nvg_rokseal.jpg
해군특수전전단KAN/PVS-7
2000년에는 랜드워리어 사업의 AN/PVS-14 MNVD(단안식 야간투시경, Monocular Night Vision Device) 등에게 서서히 자리를 내주었지만,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동맹국에서 라이선스 생산되거나 대외 군사판매 형태로 수출되어 오랫동안 현용의 지위를 유지했다.

3. 특징

파일:anpvs7a-3x 0.jpg
3배율 렌즈가 부착된 AN/PVS-7A
3세대형임을 나타내는 갈륨-비소(Ga-As) 광음극 소자의 MCP(미세전자증폭관, Micro Channel Plate)가 적용되어 감지 대역폭이 근적외선 영역까지 넓어진 동시에 강한 빛에 의한 부품 보호 목적의 자동 차폐기능이 추가되거나 자체 수명 또한 기존의 2,000시간에서 7,500시간으로 크게 늘어났다.

운용 환경에 따라 헤드랜턴처럼 머리를 둘러싸는 벨트 형태와 헬멧 부착대 형태가 주로 쓰이며, 별도의 추가 배율렌즈 부착도 가능하다.

4. 종류

4.1. AN/PVS-7A

리톤 사의 전기형으로, 2세대 M872-001과 3세대 M873 및 MX-10130A 광증폭관 기종이 혼재한다. AN/PVS-7B에 비해 착용감이 뛰어났지만 높은 단가로 인해 비교적 적은 수량이 운용되었으며 민수용으로는 일반형 M972와 방수형 M972D가 있다.

4.2. AN/PVS-7B

ITT 사의 전기형으로, 2세대 M884와 3세대 MX-10130B~C 광증폭관 기종이 혼재한다. AN/PVS-7A에 비해 단가가 낮고 유지관리성이 좋아 비교적 많은 수량이 운용되었으며 민수용으로는 일반형 F4937 및 M973과 방수형 M973D가 있다.

4.3. AN/PVS-7C

리톤 사의 전기형으로, 제원은 AN/PVS-7A와 동일하나 미국 해군에서의 운용을 위해 20m 심도까지 견딜 수 있는 방수성을 갖추었다.

4.4. AN/PVS-7D

리톤 및 ITT 사의 개량형으로, 해상도가 이전에 비해 64 lp/mm로 크게 늘어난 MX-10130D 광증폭관이 적용되었다.

5. 여담

미국 민수 시장에선 이와 동형인 야간투시경을 아주 쉽게 구할수 있는데 경쟁상대인 AN/PVS-14기반에 비해 무게와 편의성 문제로 밀리는 모양새.

하지만 PVS-14의 단점인 운용중 눈 아픔과 한쪽 눈을 감아야만 집중할수 있는 구조 때문에 의외로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는데, 천문관측 분야에선 PVS-14보다 PVS-7쪽이 인기가 더 좋은 편. 어차피 망원경의 제한된 시야로 보다보니 양안식이나 단안식도 딱히 매리트가 없고. 가만히 앉아서보니 무게도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으며. 그저 편하게 양쪽 눈으로 망원경의 대물렌즈 시야를 즐길수 있으므로 나쁠게 하나도 없다. 다만 매뉴얼 게인 기능이 없는게 아쉽다곤 하지만. PVS-7쪽도 약간의 개조로 매뉴얼 게인 기능을 쓸수 있는지라 개조해서 쓰는 경우가 많다.

한국군의 주력 야간투시경 중 하나로 1997년 2세대 야간투시경인 KAN/PVS-5A를 대체할 목적으로 삼성전자에서 KAN/PVS-7란 제식명으로 면허생산하였다.

6. 출처

6.1. 웹사이트

6.2. PDF



[1] 1953년에 초기 투자자인 발명가 찰스 리튼의 성씨를 따서 창립된 미국의 항법 및 통신 등의 전자장비 관련 방위산업체이며, 전성기인 1960년대에는 문어발식으로 사업 영역을 늘려나가다가 베트남 전쟁 철수 이후부터 계속된 하락세를 견디지 못하고 2001년노스롭 그루먼 사에 인수되었다.[2] 이 때 베어드 사의 GP/NVG-1와의 경합이 벌어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