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09:15

Apple One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Apple 최초의 개인용 컴퓨터}}}에 대한 내용은 [[Apple I]]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Apple I#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Apple I#|]]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Apple 최초의 개인용 컴퓨터: }}}[[Apple I]]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Apple I#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Apple I#|]]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tablewidth=7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33,#ddd><bgcolor=#fff,#ddd>
||<tablebordercolor=#fff,#ddd><tablebgcolor=#fff,#ddd><tablealign=center> 파일:Apple 로고.svg||파일:애플 워드마크.svg
엔터테인먼트
||
||
One · TV+ · Music (Classical) · Arcade · Fitness+ · News+ · Podcast · Books · App Store · iTunes Store

<colbgcolor=#333><colcolor=#fff> Apple One
파일:Apple One.svg파일:Apple One 화이트.svg
제공사 Apple
출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0년 10월 30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0년 10월 31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1년 11월 4일
플랫폼 iOS, iPadOS, macOS, watchOS, tvOS, visionOS
제공 서비스 Apple Fitness+
Apple News+
Apple TV+
Apple Arcade
Apple Music
iCloud+
서비스 요금 월별 구독형 (데이터 요금 별도)
공식 홈페이지

1. 개요2. 요금제

1. 개요

파일:apple one.jpg
The best of Apple. All in one.
Apple 최고의 서비스, 모두 한자리에.
Apple One은 2020년 9월 15일 Apple 이벤트에서 발표한 자사의 여러 서비스를 묶어서 구독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우리나라와 중화권 국가(중국, 홍콩, 마카오)를 제외한 약 100여 개의 국가에서 2020년 가을부터 서비스 이용 개시를 예고했고, 동년 10월 30일(우리 시각 기준 31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후 우리나라에는 Apple TV+의 출시와 함께 2021년 11월 4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Apple News+나 Apple Fitness+의 경우 지원하지 않는 국가가 많다 보니, 일본 등 해당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국가에서는 가격을 좀 저렴하게 하면서 해당 서비스를 빼고 서비스를 시작했다. 또한 일본 서비스 기준으로는 개인은 iCloud 50GB, 패밀리는 200GB 용량을 제공하며, 다른 용량 옵션은 제공되지 않는다. 미국 기준으로는 프리미어 요금제가 존재해 2TB까지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iCloud 확장용량과 Apple One을 통한 확장용량은 별도로 계산되는데, 이를 통해 Apple One으로 200GB, iCloud 용량 구매로 200GB를 구독하면 합산하여 400GB까지 iCloud 용량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미국 기준 이를 통해 최대 4TB까지 iCloud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유사한 서비스로 Google One이나 Microsoft 365, Creative Cloud가 있다. 언급된 두 서비스 모두 Apple One 처럼 여러 서비스를 묶어 구독하는 형태이다. 다만, Google One은 드라이브 저장공간을 모든 Google의 서비스에서 활용하고, 전용 고객지원[1], 관련 구글 제품 제공 및 제품 할인[2]으로 드라이브와 지원[3] 등 서비스를 하나의 구독 서비스로 모아둔 형태이며, Microsoft 365Office[4], OneDrive, Skype[5] Creative Cloud는 모든 Adobe 서비스[6]들을 합쳐 놓은 형태이다. 이렇듯 최근 기업들의 서비스들은 하나의 구독 요금제로 합쳐 제공하는 것이 현재의 흐름이다.

2. 요금제

파일:apple one_service.png
Apple One 요금제
<rowcolor=#fff> 개인 가족[7] Premier[8]
한국
₩14,900/월
일본
¥1,200/월
미국
$19.95/월
한국
₩20,900/월
일본
¥1,980/월
미국
$25.95/월
한국
미출시
일본
미출시
미국
$37.95/월
Apple Music
Apple TV+
Apple Arcade
iCloud+ 50GB
Apple Music
Apple TV+
Apple Arcade
iCloud+ 200GB[9]
Apple Music
Apple TV+
Apple Arcade
iCloud+ 2TB
Apple News+
Apple Fitness+


[1] 일반 Google One 미구독자 또한 이용할 수 있지만, 창구가 정말 제한되어 있고, 유튜브에서 일정 구독자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이상 지원을 받기 어렵다.[2] 장기 구독자 (프리미엄 장기 구독자 포함)에게 Google Nest mini를 무료로 제공하기도 했다. 현재는 Google 포토에서 베타 앱을 미리 사용하는 형식으로 제공한다.[3] 사실 이 지원 또한 이전에 전용 서비스를 제품으로 구독 형식으로 받기도 했다. 현재는 Google One, Youtube 외 전용 서비스 이용 불가. 이 때문에 서비스로 정의하였다.[4] 일회용 키와는 다르게, 클래식 버전이 아닌 프리미엄 버전으로 제공한다. 클래식 버전과 프리미엄 버전의 차이점은 디자인 아이디어 등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의 제한일 뿐, 기본적인 편집에는 어떠한 제한이 없다.[5] 월 60분 무료 통화. 대한민국 사용 불가. Skype를 대성스카이프(자회사)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통합화 되어 있지 않아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60분 무료 통화는 해외를 포함한다.[6] 대표적으로 주로 쓰이는 AfterEffect, Photoshop 등... 물론 프리미어 또한 포함이다.[7] 최대 5명을 초대해 함께 공유 가능.[8] 한국, 일본은 Apple News+와 Apple Fitness+를 서비스하지 않기 때문에 출시되지 않았다.[9] 용량이 N분의 1로 공유되기 때문에 5인 초대(총 6명)를 꽉 채웠을 경우 1인당 실질적인 사용가능 용량은 33GB이다. 각각 200GB가 아니니 주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