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16 11:40:36

Black Emperor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흑황제'''{{{#!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프랑스의 작곡가}}}에 대한 내용은 [[Kurokotei]]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Kurokotei#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Kurokotei#|]]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프랑스의 작곡가: }}}[[Kurokotei]]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Kurokotei#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Kurokotei#|]]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흑제익저.jpg

파일:Harp_Emperor.png

1. 개요2. 사운드 볼텍스
2.1. 채보 상세2.2. 당선자 코멘트
3. 팝픈뮤직4. DanceDanceRevolution

1. 개요

사운드 볼텍스의 수록곡. 작곡가는 黒魔. 대응하는 타로 카드는 21번, 세계(THE WORLD). Bangin' Burst/For UltraPlayers의 자켓 처럼, Harpuia의 자켓과 이어지는 그림이다. 약칭이자 별칭은 곡명을 직역한 흑황제.

2. 사운드 볼텍스

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
타로 카드 대응곡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 The Fool Erlung
I The Magician Verse IV
II The High Priestess -
III The Empress For UltraPlayers
IV The Emperor Bangin' Burst
V The Hierophant -
VI The Lovers LittleGameStar
VII The Chariot choux à la crème
VIII Strength take a step forward
IX The Hermit -
X Wheel of Fortune Last Concerto
XI Justice はなむけ
XII The Hanged Man odds and ends
XIII Death 超越してしまった彼女と其を生み落した理由
XIV Temperance TrailBlazer
XV The Devil BLACK or WHITE?
XVI The Tower Hellfire
XVII The Star EOS -INFINITE EDIT-
XVIII The Moon ウバワレ
XIX The Sun Hoshizora Illumination
XX Judgement Last Battalion
XXI The World Harpuia
Black Emperor
}}}}}} ||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KAC 2013 오리지널 곡 컨테스트'의 당선곡이다.
<colbgcolor=white,#1f2023>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난이도 NOVICE <colcolor=orange,#dd0> ADVANCED <colcolor=red> EXHAUST <colcolor=#dc6901,#e28712> GRAVITY
자켓 파일:Black_Emperor.png 파일:Black_Emperor.png 파일:Black_Emperor.png 파일:Black_Emperor_GRV.png
레벨 06 11 18 19
체인 수 0742 1015 2087[1] 2565[2]
일러스트 담당 蒼弐shio&ぺぬ(誰がどのキャラを) 蒼弐&shio&ぺぬ(描いたのか) 蒼弐&shio&ぺぬ(当ててみてね!)[3] 蒼弐&shio&ぺぬ+暗黒猫
이펙터 TEK-A-RHYTHM ごま-RHYTHM[4] Ether99
수록 시기 II 29(2014.3.20) III 60(2016.4.28)
BPM 30-195
  • SKILL ANAYZER 수록
    • NOVICE : "천하 (매화)"
    • ADVANCED : 세 번째 숙제 중등부 코스, "천하 (대나무)"
    • EXHAUST : Skill Level 11(2014.8.21 ~ 2014.11.20), 세 번째 숙제 고등부 코스, Skill Level 11 B코스(2015.8.21 ~ 2016.2.5), "천하 (소나무)"
    • GRAVITY : Skill Level ∞(2017.2.17 ~ 2017.4.27, 2019.6.19 ~ 2019.8.9)

자켓을 자세히 보면 눈치를 챈 사람들도 있겠지만, 타로카드 악곡의 자켓에 등장하는 캐릭터들과 거대한 타마네코 반쪽이 등장한다. 이것은 Harpuia 자켓도 마찬가지. 그리고 2년 후 저 캐릭터 배치 그대로 메들리가 만들어진다.

2.1. 채보 상세


EXH 손배치 포함 PUC 영상

전체적인 BPM 변동 순은 180-185-180-170-185-30-190-195이다. 곡 시작시 배속 설정에서 메인 BPM은 185로 설정되어있다.

초반부터 나오는 24비트 트릴과 급가속과 급저속 구간, 계단 직각노브 + 원핸드와 같이 어려운 구간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체인 수는 1900대로 그다지 많지 않아서 오래전에 나온 채보인데도 불구하고 클리어 난이도는 18레벨 상위권, 스코어링 난이도는 18레벨 최상위권에 속해있다.

2014년 8월 21일 스킬 애널라이저 업데이트를 통해 Skill Level 11 마지막 스테이지에 수록되었다.


GRV 손배치 포함 PUC 영상

2016년 3월 16일 홈페이지로부터 GRAVITY 자켓이 유출되었으며, 이후 2016년 4월 28일 BLASTER GATE로 나오면서 해금할 수 있게 되었다.

초반부의 트릴은 상당히 강화되어서 나왔는데 24비트 트릴이 한 번이 나오는게 아니라 BC→BA→CD로 연달아 나옴으로써 처리하기가 힘든 패턴으로 나오게 되었다. 심지어 마지막으로 등장하는 네 번째 트릴은 FX-L 롱노트가 가세하는 데다 길이도 더 길기 때문에 처리하기 더욱 힘들다.[5]

중반부는 EXH 패턴의 겹계단+폭타 트릴이 강화된 원핸드 형식 패턴으로 나왔는데, 노브 시작 부정화 탈선 패턴도 있으므로 암기를 하는 것이 좋다. 등장 구간에 살짝 변동이 있지만, EXH 패턴에서 등장하던 FX 단노트 + BT 끊어치기는 BT만을 사용한 끊어치기로 계승되었다. 보이는 것과는 달리 말리기 쉬운 배치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대망의 클라이막스 부근인 BPM 30 변속 직후엔 KAC 2013 ULTIMATE MEDLEY -HISTORIA SOUND VOLTEX- Emperor Side GRV 패턴에서 나온 대우주 폭타가 아니라 레이저 패턴처럼 BT-C 1번 + BT-B 3번식으로 나오게 되었다. 속도가 갑자기 변하는 구간이라서 이 구간에서 그동안 쌓아놓은 게이지 말아먹기에는 좋은 패턴이라 잘 치다가 니어→에러로 떨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정석으로 여겨지는 처리법은 오른손이 C와 B를 오가며 트릴처럼 처리하는 것이다. 번갈아치기에 자신이 없다면 판정을 약간 포기하고 BC를 오른손으로 처리한 후 남은 C 2연타를 왼손으로 처리하는 방법도 있다.

후반엔 건반-노브 간의 빠른 손이동을 요구하는 패턴, Ok!! Hug Me GRV 최후반을 연상시키는 동시치기 섞인 16비트 폭타를 거쳐 후살로 이어진다. 후살 패턴 역시 레이저 연타 형태로 등장하는데, 후살의 경우 오른손으로 시작하면 FX를 자연스럽게 모두 오른손으로 처리할 수 있어 손이 꼬이지 않는다. 후살은 BPM이 195로 증가한 상태로 시작하므로 중반 연타(190)보다 속도가 살짝 빠름에 유의하자.

이 채보가 나올 당시에는 초반의 24비트 트릴 패턴과 레이저 패턴이 무리수로 평가받아서 평가가 많이 좋지 않았지만 지금은 인플레가 많이 진행되기도 했고, 다른 곡들도 24비트 트릴이나 레이저 패턴을 차용하는 경우가 많아져 부정적인 평가가 많이 희석되었다. 대체로 FX 롱노트 + 24비트 트릴 구간을 제외하면 적당히 치는 맛이 있는 채보로 평가받고 있다.[6] 난이도는 맨 처음의 트릴과 재봉틀 처리력에 따라서 개인차가 많이 갈리는데 보통 19레벨 하위권 ~ 중상위권으로 평가받는편.

시간이 지나고 이 패턴은 스킬 애널라이저 업데이트를 통해 Skill Level ∞ 2스테이지에 수록되었다. 초반의 트릴 패턴에서 말리기 쉽기 때문에 1스테이지인 XHAOS JUDGE에서 게이지를 많이 남기지 않았다면 초반부터 상당히 위험해질 수 있으니 주의.

2.2. 당선자 코멘트

채용 감사합니다. 쿠로마입니다!
「Black Emperor」는 우주에서 갑자기 나타난 강적에게 인간이 투쟁해서 결말이 나기 직전까지를 이미지한 곡입니다.
플레이 해주는 분들을 뜨겁게 만들 수 있는 「검은 적」이 되어 있다면, 매우 기쁩니다. 그럼 잘 부탁드립니다!!

- 당선자 코멘트 -

3. 팝픈뮤직


EX 플레이 영상
파일:블랙엠퍼러팝픈.png BPM 30-195
곡명 Black Emperor
아티스트 명의 黒魔
담당 캐릭터 [ruby(RASIS, ruby=navigator)]
레이시스
수록된 버전 팝픈뮤직 토끼와 고양이와 소년의 꿈
난이도 EASY NORMAL HYPER EX
50단계 15(?) 31 44 49
노트 수 254(3) 581(6) 930(4) 1513(10)

2018년 1월 9일 FLOOR INFECTION으로 이식되었다.

4. DanceDanceRevolution



[1]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까지는 1956[2]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까지는 2428[3] 일러스트 담당을 자세히 보면 NOV부터 EXH까지 순서대로 '誰がどのキャラを', '描いたのか', '当ててみてね!'라고 적혀있다. 해석하면 '누가 어떤 캐릭터를 그렸는지 맞춰봐!' Harpuia에서 시작된 코멘트(?)이며, 그 쪽에선 나눠서 그렸다는 말이 적혀있다.[4] ごましおくん과 TEK-A-RHYTHM의 합작[5] 180BPM 24비트 한 손 트릴을 한 마디씩이나 치기는 매우 힘들기 때문에 보통은 어떻게든 손배치를 짜서 롱노트를 잡은 손과 다른 손으로 함께 트릴을 처리하는 게 정석 취급된다. 대부분은 D, R만 오른손이 담당하며, B, C, L을 왼손이 담당해서 새끼손가락으로 L만 잡아 C를 칠 검지에 영향이 최대한 안 가게 하는 배치가 최선으로 여겨진다. S까지가 목표라면 그냥 2버튼씩 뭉개고 뒤를 잘 치는 것도 방법이다. 2버튼씩 뭉개서 트릴 중 한 줄이 모조리 니어가 뜨면 대략 25000점 가량 손실을 본다.[6] 무리수라고 평가받을 당시에는 구16레벨 체계 기준 15렙으로 측정받았던 영향도 있다. 난이도 인플레이션 문제가 이루어지던 도중 16레벨과 크게 다르지 않는 15레벨 보스곡 수준으로 평가받았기 때문이다. 비슷한 상황으로 snow strom -euphoria- GRV 패턴도 비판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