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18:59:32

반합

Canteen에서 넘어옴
1. 개요2. 군대에서
2.1. 냄비형
2.1.1. 유럽식 냄비형2.1.2. 일본제국군/자위대2.1.3. 한국군2.1.4. 북한군
2.2. 후라이팬형
2.2.1. 미군2.2.2. 유럽식 후라이팬형
3. 민간용

1. 개요

'반합()'은 현대 육군/해병대에서 사용하는 개인 식기를 의미한다.

그 어원은 일본어 '飯盒/반합(はんごう/항고、飯ごう)'이다. 일본어 はんごう/항고의 어원으로는 밥을 지을 때 반합을 고리에 매달아 불 위에 올려놓는다는 점에 착안해서 영어 'HANGER'로 작명하였는데 이를 일본식 한자로 음차하여 만들어 낸 단어가 항고(飯盒)/반합이라는 설도 있다.

광복 후 창군 당시 일본군이 패퇴하면서 두고 간 물자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명칭이 그대로 이어졌다. 대신 飯盒의 일본어 발음 '항고' 대신 한국식 독음 '반합'을 사용하였다. 일본어 회화가 가능했던 광복 이전 세대는 입에 베인 일본어 발음 그대로 '항고'라고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해병대 실무 용어에도 일부 잔재가 남아있었다고 한다. 현재 해병대는 일명 오리지날 용어를 공식적으로 폐기하였다.

영어로는 'mess tin' 또는 'mess kit'라고 한다.

2. 군대에서

군용 개인야전식기의 형상은 크게 냄비+밥그릇 형태와 후라이팬+식판 형태로 구분 할수있다.

2.1. 냄비형

2.1.1. 유럽식 냄비형

유럽 군대는 고대시절부터 병사들 각자가 조리하는 것이 전통이였고 [1] 그 풍조를 반영해 개인용 반합은 자체로 냄비이자 밥그릇 겸 빵자루이며, 야전에서 모닥불/에스빗 스토브 위에 바로 올려서 조리할 수 있게 만들어졌다. 대부분 속뚜껑이 있는데 여기에 반찬을 담는다. 뚜껑 자체도 프라이팬이나 그릇으로 쓸 수 있다. 뚜껑에는 위아래로 접히는 접이식 손잡이가 달려있는데 접힌 상태에선 반합이 열리지 않게 해주는 일종의 잠금장치 역할을 해준다. 그리고 손잡이에 찬합을 결합할수 있는 모델도 존재한다. 또 반합 본체의 손잡이가 중간에 걸쳐져서 손잡이가 완전히 돌아가지 않게하는 기능이 있는 모델도 존재한다. 이러한 반합에 스푼/포크 등이 붙어서 개인 식기 세트가 된다.

파일:반합_유럽식_1.jpg
파일:반합_유럽식_3.jpg
  • 콩팥처럼 생긴 C형
    2차대전 1908년 즈음 독일군에서 개발되어 이후 다른 유럽/일본/한국/북한 반합에도 영향을 주었다. 독일은 이런 형태의 반합을 지금까지도 사용하고 있다.
    2차 대전 당시 독일군의 개인 군장을 보면, 장교든 사병이든 모두 빵주머니(잡낭)에 수통과 반합을 기본적으로 휴대 하였다. 수통과 반합 모두 잡낭에 달린 일부 결속 장치들에 의해 외부에 부착되었기에, 이러한 휴대법은 구조적으로 다소 걸리적거리고 불가피한 소음을 유발시키기도 하는 편이다.
    독일군 계열 반합의 본체가 수직으로 잘록하게 오목한것은 반합을 허리띠에 고정해 엉덩이위에 달고 다니는 독일군만의 독특한 휴대방식 때문인데, 이외에도 실용성이 있어서인지 POT 형태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상이 되었다.
  • D형
    과거 영국군에선 독일군 반합을 기반으로 하되 당시 사용하던 각진 군장 배낭에 부착하기 위해 단면이 D형에 가깝고 위아래로 길쭉한 냄비 형태의 반합을 사용했다.
  • O형
    스웨덴군은 그냥 스튜 끓이기 편한 0형/타원형 단면에 위아래로 길쭉한 형태의 냄비를 사용했다. 걸리적거리는 틈새가 적어서 설거지하기도 더 편하다.
  • 원형

    • 체코군. 스웨덴군과 마찬가지로 걸리적거리는 각이 적어서 요리하거나 세척하기 편하다.

2.1.2. 일본제국군/자위대

파일:반합_일본식_1.jpg
파일:반합_일본식_2.jpg
파일:반합_일본식_3.jpg
일본제국군은 우리가 흔히 반합으로 아는 그 묘하게 굽은 콩팥 형태(C형)의 것을 사용했다. 일본군은 작전 중에는 소단위 부대를 위해 야전 식당을 운영하는 일이 드물었기에 병사들이 개별적으로 보급받은 쌀을 조리할 필요가 있었고, 이 일본군식 반합은 속뚜껑(찬합)과 밀폐형 바깥뚜껑 덕분에 밥 짓기 좋은 형태로 만들어졌다.[2] (물론 요령이 없으면 설익은 3층밥이 만들어지지만.) 반합 뚜껑과 찬합이 밥을 지을때 쌀 계량컵 역할을 하기도 했고, 반합 자체가 쌀자루 역할을 하기도 적합했다. 일본군 관련 기록에서는 해지기 몇 시간 전부터 불 피워 밥 지어 두는 냄새가 솔솔 퍼졌다고 한다. 물론 고체연료 지급같은 건 없었기 때문에 직접 불을 피워야 했다.

이러한 일본식 반합의 형태는 당시 일본의 영향력 확장과 더불어, 쌀밥을 짓는 데에 적합하다는 특성 때문에 한국군과 중국군 등 동아시아 전반의 반합 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파일:반합_일본식_4.jpg
자위대에서는 전투식량의 보급으로 야전에서 밥을 짓는 일이 줄어들었다고 판단하여 반합의 크기를 줄였다. 그리고 식기의 기능을 살린 반합 2형을 지급하고 있다.

2.1.3. 한국군

파일:군용 반합.jpg

광복 직후 창군기의 대한민국 국군은 일본군이 두고 간 다량의 반합을 그대로 사용했다. 6.25전쟁이 발발하면서 미군용 mess kit와 일본에서 제작된 반합이 미국의 군사원조 물자로 함께 보급되어 사용되었다. 이때 같이 보급되었던 2차대전 수통은 아직도 남아있는데 반해, mess kit는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다만 1960~70년대 기록영화상에 장병 1인당 mess kit 2세트로 밥과 국을 나누어 배식받아 취식하는 장면이 발견되기도 한다. 이후 공업화가 되면서 국산 반합이 보급되는데 구일본군 반합의 규격을 그대로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일본식 반합의 특징은 독일군 반합을 모방하면서 뚜껑의 손잡이를 제거하고 뚜껑과 속접시의 깊이를 얇게 만든것이다. 이는 일본군과 독일군의 식습관 차이로 볼수있다. 독일군반합에서 뚜껑손잡이의 용도는 뚜껑을 개인 취사시 후라이팬으로 사용하거나, 배식시 사이드디쉬를 배식받기 편하게 반합의 다른 구성품과 끼워맞춰 반합전체를 세트화 하는 용도인데, 대전시 일본군 식사는 다량의 쌀밥에 말린생선, 단무지/우메보시등 한 두가지 단촐한 반찬류가 전부여서 손잡이달린 뚜껑의 활용도가 없고, 속접시도 굳이 깊게 만들 필요가 없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국군은 60년대 1식2찬(국포함)에서 출발해 80년대 1식3찬(국포함), 90년대 1식3찬(국제외)로 발전하여 일본식 반합으로는 더이상 맞지 않아 2010년대 반합의 국방규격이 변경되었다. 특이점은 독일군 반합으로 다시 회귀한것으로 뚜껑에 손잡이를 재설치하고 뚜껑과 속접시의 깊이를 깊게하여 속접시에 여러가지 반찬을 더 많이 담을수있고 뚜껑을 국그릇으로 사용할수있도록 개선되었다.

군대에서 훈련 중에 반합을 쓰게 되면 대부분 사용후 설거지의 부담을 덜기 위해 반합에 비닐을 씌워서 쓰게 된다. 훈련 중엔 마실 물조차 부족하기 십상이고, 수세미나 세제를 지참하는 경우도 잘 없기에 배식 때마다 비닐을 쓰는게 여러모로 편리하다.[3] 게다가 군용품이란 게 다 그렇지만 가능한한 오래 써먹으려 하다보니 변색이 되었다거나,[4] 언제 묻었는지도 모를 찌꺼기 같은 것이 붙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렇듯 대체로 비주얼이 영 꺼림칙한 경우가 많기에 그냥 맘편히 비닐을 쓰는 것이다. 여기서 조금 더 나가면 반합도 안 쓰는 비닐밥이 된다. 사람 생각하는 건 다 같은지 자위대에서도 이런 식으로 비닐을 씌워 사용한다.#

단순히 배식 추진용 식판이 아니라 냄비처럼 불 위에 올려 조리하는 상황이 생길 경우 자연스레 겉이 검게 그을리게 되는데, 웃기게도 거기에다 페인트나 락카칠을 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반합을 본연의 용도에 맞게 사용하다 보면 생기는 당연한 흔적인데도, 검열 때를 대비해서 이딴 짓을 하는 것. 원래 반합 겉면의 도장은 내열 페인트나 내열 피막 등을 사용하기에, 불에 직접 가까이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하지만 그런 내열성이 전혀 없는 일반 도료를 칠하게 되면... 다만 과거에는 애초에 공장에서 정식으로 생산된 반합에 조차 사용되는 페인트의 질이 안 좋아, 불에 올리면 페인트 타는 냄새가 났다고 한다. 그렇기에 그 시절 한정으론 매한가지긴 했을 것이다.

2010년대 들어서 기존 반합과 다른 신형반합이 보급되기 시작했는데, 기본적인 형태는 동일하나, 코팅이 기존의 양은 코팅에서 경질 코팅[5]으로 바뀌고 반합 뚜껑에도 손잡이가 추가되었다.[6] 찬합의 경우 2개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어 반찬이 섞이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반합 뚜껑과 결합이 가능해[7] 배식 후 운반시에 용이하다. 그리고 반합의 손잡이를 고정하는 기능도 추가되었다. 손잡이를 수직으로 위로 향하게 맞춰 집어들면, 손잡이가 아래의 홈에 맞물려 지면서 돌아가지 않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런식으로 여러모로 유용한 기능들이 추가 되었다.

미디어에서는 유머 1번지 동작그만에서 이경래 대원 자신이 신었던 양말을 담거나 이상운 대원과 김한국 대원, 이경래 대원이 몰래 술 마시는 용도로 썼다. 그 대가는 대원들이 팬티차림에 단독 군장을 차고 연병장으로 끌려갔다.

생활관 난방을 페치카로 했을 때는 반합에 봉지라면을 넣어서 끓여 먹는 반합라면이 인기가 있었다. 페치카의 온도가 물을 끓일 수 있을 정도로 높았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페치카가 없어진 이후에는 휴대용 가스버너와 냄비가 대세가 되고, 또한 컵라면이 보급되면서 반합에 라면을 끓이는 문화는 서서히 사라졌다.

2.1.4. 북한군

북한군 역시도 반합의 형태는 국군과 비슷하게 일본식 형태이다. 이는 한중일 모두 쌀 문화권이라는 공통점에서 야기된 현상이라 볼 수 있다.

2.2. 후라이팬형

2.2.1. 미군

파일:반합_미국식_1.jpg
파일:반합_미국식_2.jpg
미국식 메스킷은 개인용 휴대 식판+스포크 등의 식기 개념이다. 보급의 미국 답게, 1차대전 이전부터 미국은 야전에서도 개인 취사를 거의 상정하지 않았다. 과거에도 소부대 단위로 야전 주방을 설치해서 거기서 조리한 음식을 병사들이 각자 식판 가지고 와서 밥 타먹는 형태(A레이션, B레이션)가 기본이었고, 2차대전과 베트남전을 통해 C-레이션 타입의 미리 조리된 야전 전투식량이 널리 퍼지면서 더더욱 야전 조리 개념이 멀어졌다. 때문에 미국식 메스킷은 4각형이나 타원형의 소형 식판과 스포크, 식판 뚜껑 겸 접시를 겸할 수 있는 스킬렛(후라이팬)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일:반합_미국식_3.jpg
파일:반합_미국식_4.jpg
여기에 불 위에 올려서 물을 끓일 필요가 있을 때는 반합과 함께 지급되는 수통 (Canteen Bottle)과 수통컵(Canteen Cup)을 사용한다. 즉 미국식은 냄비의 기능은 메스킷에 직접 요구하지는 않고, 주로 수통컵이 냄비 역할을 대신한다. 때문에 미국식 메스킷은 우리가 아는 냄비형(유럽식) 반합에 비해 용량이 작은 접시형에 가깝다. 세계적으로 보면 미국식 메스킷은 다소 마이너한데, 필리핀과 같이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거나 미국으로부터 무상 공여를 받은 나라에서 주로 쓰이기 때문이다.

미군은 2002년 이후로 반합의 지급을 중단한 상태이다. 현대 전투식량이 그만큼 발전한 데다 내장된 1회용 종이용기를 쓰는편이 훨씬 위생적이고 간편하기 때문이다. 다만 고립된 상황에서 당장 이것저것 필요할 때는 난감할 수도 있다.

2.2.2. 유럽식 후라이팬형

파일:반합_유럽식_2.jpg

미군의 영향을 받아서 영국군과 프랑스군도 후라이팬 형태를 새롭게 도입하였는데 미국식과는 달리 반합이 사각형이다.

3. 민간용

파일:캠핑 반합 라면.jpg

과거에는 전쟁 이후 유출되거나 주한 미군의 잉여 장비로 민간에 불하되어 나온 군용 장비가 민간용 캠핑 장비로 물려지는 일이 많았기에, 반합 역시 민간에서 자주 사용되다. 피서가서 매운탕이나 라면을 반합에 끓이기도 했어서, 검정고무신 3기 20화 "꼬부랑 트위스트" [8]편에서 이기철이 라면을 반합에 끓이는 장면이 나온다.

하지만 민간 캠핑 시장이 성장하고 크고 작은 냄비 여러개를 겹치는 형태의 민간용 코펠이 70년대 초 등장하면서 곧 퇴출되었다. 게다가 군용 반합은 모닥불 위에 조리하는 것을 상정했기에 저 납작한 형태로도 문제 없고 여러개의 반합을 가로막대에 꿰어서 한 번에 모닥불에 올리기는 오히려 편한 형태이기도 했으나 민간 캠핑에서는 제어된 화력을 내는 가스/기름 스토브를 주로 사용하므로, 휴대성을 위해 세로로 납작하게 만들어버린 군용 반합의 불편한 모양새는 그다지 어울리지 않았다.

현대에 들어서는 사실 반합 뿐만 아니라 민간용 야영 장비 전반이 군용보다 훨씬 발전해서, 과거와는 반대로 민간용 야영 장비가 군용에 영향을 주는 역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다만 메스틴(mess tin, 일본에서도 발음 그대로 メスティン)으로 부르는 사각형의 납작한 물건은 1인 분량의 캠핑 밥 짓기 좋아서 일본의 캠퍼 사이에서 스테디셀러로 꽤 애용되고 있다. 이 형태도 원래는 영국군 메스틴에서 기인한 것이지만 트랜지아 등에서 민수용으로 나와서 군용 냄새가 적다.


[1] 사실 각자가 조리하기보다는 일종의 조를 짜서 같이 요리하곤 했다. 땔감도 모자란데 각자 조리하다간 제대로 가열도 못하고. 그냥 한두명 요리 시키고 나머진 개인정비든 경계 근무를 하는편이 이득이였다. 삼국지 같은데서 나오는 식사용 아궁이가 이런 식사조 한개를 위한 아궁이다.[2] 독일군의 반합이나 다른 유럽 군대식의 반합의 경우 뚜껑에 달린 위아래로 접히는 손잡이 때문에 뚜껑을 덮은 채로 조리하기가 어렵다. 반면 일본군식 반합의 경우, 뚜껑에 손잡이가 없어 뚜껑을 덮은 채로 조리하기 유리하다.[3] 물론 개인이 따로 준비할 수도 있지만, 애초에 부대 차원에서 비닐로 설거지를 해결한다는 걸 전제로 식기세척도구 대신 비닐을 준비, 지급하는 것이다. 혼자만 비닐 안쓰고 열심히 반합 닦고 있으면.... 이하생략[4] 으레 걱정하는 것처럼 녹은 아니고 때에 가까운 거다. 반합은 용도상 물과 밀접하고 더욱이 개인건강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이기에 알루미늄 합금 등 녹이 절대로 발생하지 않는 소재로 만들어 진다.[5] 아웃도어용 코펠에 쓰이는 그 회색 코팅.[6] 독일식 반합 뚜껑에 달린 위아래로 접히는 손잡이는 아니고, 아웃도어용 코펠에 흔히 쓰이는 양옆으로 접히는 형태의 손잡이다. 손잡이 형태가 뚜껑을 덮은 채로 취사하기 좋은 형태이다.[7] 찬합에 있는 2개의 구멍에, 뚜껑 손잡이 끝에 튀어나온 2개의 돌기를 결합해 사용한다.[8] 그 유명한 거지 형제편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