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Circuito Desafiante 2025 Split 1#s-|]]번 문단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Circuito Desafiante 2025 Split 1#|]] 부분을
#!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fe3f9,#0fe3f9> | LoL e스포츠 지역별 하위 리그 |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LCK & LPL 하위 리그 | |||
| | |||
한국 LCK CL | 중국 LDL | |||
LTA 하위 리그 | ||||
| | | | |
북아메리카 NACL | 중앙아메리카 LRN | 브라질 CD | 남아메리카 LRS | |
LCP 하위 리그 | ||||
| | | | |
일본 LJL | 대만 · 홍콩 · 마카오 PCS | 베트남 VCS | 태국 LTS | |
ERL 인증 리그 | ||||
| | 파일:LVP_SL_logo.png | | |
프랑스 LFL | 독일 PRM | 스페인 SL | 튀르키예 TCL | |
ERL 미인증 리그 | ||||
| | | | |
폴란드 외 6개국 RL | 영국 · 아일랜드 · 북유럽 NLC | 이탈리아 LIT | 아랍 AL | |
| | | | |
그리스 · 키프로스 HLL | 포르투갈 LPLOL | 체코 · 슬로바키아 HM | 발칸반도 EBL | |
| ||||
베네룩스 ROL | ||||
지역 리그 | 국제 대회 | 기타 국제 대회 | 폐지된 대회 | }}}}}}}}} |
| |
<colbgcolor=#ff6713><colcolor=#000> Circuito Desafiante 서킷 데사피안테 | |
지역 |
|
운영 주체 | 라이엇 게임즈 |
컬러 | ■ |
약칭 | CD |
스폰서 | |
중계 | |
최근 우승팀 | |
최다 우승팀 | |
최다 우승자 | |
상위 리그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 South |
1. 개요
라이엇 게임즈에서 주최하고 주관하는 브라질 지역의 리그 오브 레전드 리그이자 LTA South의 하부 리그. 실질적으로 2024년 이후 역사 속으로 사라진 CBLOL을 계승하는 리그라고도 볼 수 있다.2.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6713><tablebgcolor=#ff6713> | CD 참가팀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 | | | | |
RED Academy | VKS Academy | KaBuM! Ilha das Lendas | LOS | Rise Gaming | ||
| | | | | ||
Stellae Gaming | FLAMENGO MDL | RATZ | Corinthians Esports | Dopamina E-Sport | ||
LTA 참가팀 | 해체된 아메리카 LoL 프로게임단 |
2.1. 참가팀 로스터
3. 역대 기록
3.1. 역대 대회
3.2. 역대 우승팀 및 순위
3.3. 역대 우승자
4. 역사 및 진행 방식
2024년 이후 기존 브라질 리그인 CBLOL이 LTA로 통합되면서 출범했다.CD에서는 파트너 8개팀, 오픈예선 통과 2개팀[1]이 시즌을 진행한다.
이후 10개의 팀이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정규시즌을 거쳐 6개의 팀만이 플레이오프에 오른다. 이후 플레이오프 결과에서 1위는 1시드로 승강전 PO 2R에 직행, 2위는 2시드로 승강전 PO 1R에 진출한다.[2]
즉, 적어도 2위 안에 들어야 다음 시즌 LTA의 합류를 노릴 자격이 주어진다.
첫 CD에 참가하는 팀으로는 LTA South에 진출한 RED와 VKS의 아카데미 팀인 RED Academy와 VKS Academy, LTA 진출에 실패한 기존 CBLOL 소속 팀인 KBM과 LOS, CBLOL Academy에 참가했던 Flamengo MDL, IDL Esports, Tropa Raizen 총 8팀이 있으며, 2025년 2월에 진행되는 오픈예선에서 추가로 참가하는 두 팀을 선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