랙 마운트형 13세대 PowerEdge R630 서버 |
1. 개요
PowerEdge는 Dell의 서버 브랜드 입니다. 현재 스토리지 서버를 포함한 대부분 서버들은 DELL EMC로 변경되어 판매중입니다.대부분의 PE 서버는 x86 기반 프로세서를 사용하지만, 과거 일부 서버에서는 인텔 아이태니엄 시리즈를 사용하여 판매했습니다.
PE 제품군은 타워형, 랙 장착형, 블레이드 서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제품군 구별 방법
(앞 알파벳 구분)- R : 랙마운트 형
- T : 타워 형
- M : 블레이드 형
- C : 고집적 클라우드 형
고집적 클라우드 서버를 제외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xx : 기본 엔트리급 타워형 기종[1]
2xx : 엔트리급 랙마운트형 기종
3xx : 중소형 SOHO 레벨 랙마운트, 타워형 기종
4xx : 미드레인지급 SOHO 레벨 랙마운트, 타워형 기종
5xx : 미드레인지급 SOHO 레벨 랙마운트, 스토리지형 기종
6xx : 대표적인 플래그십 레벨, 1U 랙마운트, 타워형 기종
7xx : 대표적인 플래그십 레벨, 2U 랙마운트, 타워형 기종[2]
8xx : 하이엔드 레벨 중 2U 랙마운트 규격의 다중 4CPU를 지원하는 기종 또한 유닛 대비 엄청난 성능 및 메모리를 지원한다.
9xx : 하이엔드 레벨 중 4U 랙마운트 규격의 다중 4CPU를 지원하는 기종 엄청난 메모리를 지원한다.
2.1. 세대별 구분
뒷 두자리는 세대로 따지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모델명 및 CPU 설명은 모두 Intel 제품군 기준이다. AMD 제품군은 해당 아키텍처에 대응하는 CPU를 사용한다.
1950, 2950 등이 단종된 2008년 11세대 서버 이후 기준
10세대(x0x) : R200, R800, R900 등 초기 일부 넷버스트 기반 아키텍처 제품 군
11세대(x1x) : 네할렘, 웨스터미어-EP를 지원하며 DDR3를 지원하는 제품 군
12세대(x2x) : 샌디브릿지, 아이비브릿지-EP를 지원하며 DDR3를 지원하는 제품 군 (이때부터 사용된 파트는 후속기종인 13, 14세대 제품과 일부 호환 가능하다.)
13세대(x3x) : 하스웰, 브로드웰-E를 지원하며 이 때부터 DDR4를 지원한다. (파워서플라이 및 컨트롤러는 14세대와 호환 가능하다.)
14세대(x4x) : 스카이레이크, 케스케이드레이크 스케일러블
프로세서를 지원하며 DDR4 및 TPM2.0 보안을 지원한다.
(이 때부터 디스크가이드 및 라이저카드의 규격이 일부 변경되었으며 R640과 R740 등에는 4개의 NVMe를 지원한다.)
15세대(x5x) : 이전 14세대와 달리 소켓장난질로 인해 또 한번 모델체인지가 진행된 기종이다. 아이스레이크 프로세서를 지원하며 일부 레이아웃과 몇가지의 기능이 추가되었다.
16세대 (x6x) : LGA 4677을 사용하는 사파이어래피즈, 에메랄드래피즈를 지원하는 신 기종, DDR5 플랫폼으로 넘어왔다.
17세대 (x7x) : 제온 6(LGA 4710)을 사용한다. iDRAC 10을 지원하는 첫 기종이다.
2.2. 인텔, AMD 구분
세번째 또는 끝 단 넘버링은 인텔, AMD를 구분한다.인텔 : xx0
AMD : xx5 또는 xxx5
예를 들어, 14세대 Intel 플래그십인 R740의 경우 R7425가 AMD 버전이며 R740이 제온 스케일러블 1, 2세대를 사용하는 반면 R7425는 1세대 EPYC을 탑재한다. 일반적으로 같은 세대의 같은 제품군 (이 경우 2U 형태인 7xx 제품)은 상당 수 부품을 공유한다. 각 세대별 레이드카드, PCIe 라이저, NIC, CPU 팬 등.
3. 장단점과 기능
3.1. 장점
1. HP에 비해 DELL 서버가 동급 대비 저렴합니다.2. 동일 세대 서버 부품들은 대부분 서로 호환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다른 회사의 디스크, 메모리도 호환된다. [하지만]
3. DELL Repository Manager를 통한 펌웨어 업데이트가 손 쉬우며, 보증 기간 이후에도 펌웨어, 각종 메뉴얼들을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4]
4. DELL OME[5]로 여러 서버들을 쉽게 통합 관리할 수 있다.
5. DELL OMSA[6]와 후술할 관리 시스템인 DELL iDRAC등은 위 OME와 더불어 DELL 서버들의 관리가 쉬운 일등공신이다.
3.2. 단점
DELL의 공식 지원은 ProSupport 없이 이용이 어렵다.서버 제품군의 열 관리가 좋지 못하다[7].
3.3. Integrated Dell Remote Access Controller (iDRAC)
DELL의 서버 관리 모듈입니다. 이를 통해 전원 관리, 원격 콘솔, 가상 미디어 장치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1] T20, T30, T40과 같은 타워형 포함[2] 타워형은 T710을 기점으로 단종[하지만] PERC H740 이후 H350, H750 제품 군에서는 화이트리스트가 있는지 특성이 있다.[4] HPE의 경우 라이선스가 만료되면 상당 수 드라이버 / 펌웨어 업데이트가 막힌다.[5] OpenManage Enterprise[6] OpenManage Service Administrator[7] 15세대부터는 ipmi를 이용한 수동 쿨링팬 조절 기능이 비활성화됐다. 주변 온도가 조금만 높아지면 서버가 idle 상태에서도 300W 이상을 먹고 팬은 팬대로 이륙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는 쿨링 알고리즘이 CPU 온도 외에도 서버 흡기 온도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