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8 20:14:40

Drag x Drive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0012,#e60012><tablebgcolor=#e60012,#e60012>
파일:닌텐도 흰색 로고 (빨간색 배경).svg
닌텐도
주요 게임 시리즈
}}}
<colcolor=#e60012><colbgcolor=#fff,#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닌텐도 게임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파일:Mario_logo.png 파일:ssbserieslogo_02.png
파일:젤다의 전설 시리즈 로고.svg
파일:ssbserieslogo_04.png
마리오 동키콩
파일:패미컴 탐정 크루 시리즈 로고_black.png 파일:logo-fzero.png 파일:StarFox_lOgO.png 파일:동물의 숲 한글 로고.png
F-ZERO 스타폭스 동물의 숲
파일:pikmin-logo-p4direct.png 파일:51월드와이드게임.png 파일:리듬 세상 로고.svg 파일:Mii 로고.svg
피크민 리듬 천국 Mii
파일:moh8b6n47xg81.png 파일:external/static.giantbomb.com/2736752-main-logo.png 파일:Arms-logo.png 파일:애스트럴 체인.png
스플래툰 ARMS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닌텐도 퍼블리싱 게임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파일:패미컴워즈.png
파일:파이어 엠블렘 로고.png파일:파이어 엠블렘_로고_white.png
파일:별의 커비 시리즈 한글 로고.png 파일:피크로스 로고.png
별의 커비
파일:포켓몬스터 로고.svg
파일: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로고.png파일: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로고 화이트.png 파일:GirlsMode_LOGO.png 파일:롤링 웨스턴 로고.png
스매시​브라더스
파일:스니퍼 클립스 로고.png 파일:버디미션 본드 로고.png 파일:에버 오아시스 로고.png
버디 미션 BOND 에버 오아시스 }}}}}}}}}
{{{-3 닌텐도 대표작 · 닌텐도의 기능성 게임 · 닌텐도 관련 문서}}}
<colcolor=yellow><colbgcolor=#000> Drag x Drive
드래그 앤 드라이브
ドラッグ アンド ドライブ
파일:DRAGxDRIVE.jpg
개발 / 유통 <colbgcolor=#ffffff,#191919>닌텐도
플랫폼 Nintendo Switch 2
ESD 닌텐도 e숍
장르 스포츠
플레이 인원수 1~6명[1]
용량 GB
발매일 파일:세계 지도.svg 2025년 여름
심의 등급
대응 언어
판매량 ( 기준)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한국)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일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북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대만)

1. 개요2. 발매 전 정보3. 트레일러4. 특징5. 평가6. 흥행7. 기타

1. 개요

휠체어 농구를 소재로 한 닌텐도의 스포츠 게임.

2. 발매 전 정보

2025년 4월 2일 Nintendo Direct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다.

4월 4일, 닌텐도 트리하우스에서 플레이 영상이 공개되었다.
2025.4.4 닌텐도 트리하우스 플레이 영상

3. 트레일러

2025.4.2 닌텐도 다이렉트

4. 특징

Joy-Con 2의 마우스 기능과 자이로 기능을 활용해 전진하고 골대에 공을 넣는 체감형 스포츠 액션 게임이다.

3대 3으로 진행하는 멀티플레이 중심 게임이다.

5. 평가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
기준일:
20XX-XX-XX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drag-x-drive/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drag-x-drive/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기준일:
20XX-XX-XX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 평론가 평점
XX / 100
평론가 추천도
XX%
유저 평점
XX / 100


6. 흥행

7. 기타

  • 게임 컨셉이 컨셉이다 보니 닌텐도 다이렉트를 생중계 하던 세계 곳곳의 스트리머들은 나쁜 생각을 숨기지 못하고 그냥 웃어버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벌써 국내에서는 정식 명칭으로 안불리고 '전장연 게임', '♿️'이라는 흉악한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 닌텐도가 현장 체험 직원들에게 해당 게임을 소개할 때 휠체어라는 단어를 쓰지 말고 반드시 탑승물(Vehicle)이라는 단어를 쓰라고 교육해 논란이 되었다. 정치적 올바름을 중시하는 사람들의 반응이 더 안좋은데, 휠체어 농구가 부끄러운거냐며[2] 양쪽에서 각자의 이유로 비난하고 있다. #
  • 스위치 2의 주요 변화점 중 하나인 조이콘 2 마우스 조작 기능을 적극 활용한 실험작이라고 볼 수 있다. 스위치 1 출시 초기에는 조이콘의 특성을 적극 활용한 ARMS라는 실험작이 있었는데, 이 게임도 암즈 포지션에 해당하는 게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1] 로컬 및 인터넷 통신 플레이 인원수 2~6명[2] 휠체어 농구는 패럴림픽 정식 종목이다.